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저출생·고령사회의 심화에 따른 한국사회 생애주기별·지역별 사회적 위험의 분포에 관한 연구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10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 배경: 인구학적 위기와 돌봄의 위기 19

제2절 연구 목적과 개요 20

제2장 문헌검토 22

제1절 저출산 고령화 현황 23

1. 한국의 인구감소(저출산) 및 고령화 심화 현상 23

2. 신사회 위험과 사회 서비스의 확대 25

제2절 사회적 위험의 영향 28

1. 개인의 맥락의 함수로서의 사회적 위험: 사회적 계층 28

2. 개인이 속한 맥락의 함수로서의 사회적 위험: 지역 31

제3절 사회 서비스의 접근성과 격차 45

1. 사회 서비스 접근성과 지역간 격차 45

2. 노인 사회 서비스의 수요 공급 격차 48

3. 아동 사회 서비스의 불균형 문제 50

제3장 연구 방법 71

제1절 개인 단위 분석: 생애사적 위기 72

1. 분석 자료 72

2. 통계분석 방법 74

제2절 지역 단위 분석: 지역 서비스 분포와 격차 75

1. 분석 자료 75

2. 통계분석 방법 76

제4장 연구 결과 77

제1절 개인 단위 위험의 분포 78

1. 빈곤 78

2. 정신건강(우울) 79

3. 신체건강 88

4. 실업 97

5. 자살 위험 106

6. 소결: 생애사적 위험과 빈곤 완화 113

제2절 지역 단위 돌봄 서비스 분포 114

1. 아동 서비스 분포 114

2. 노인 서비스 분포 133

3. 소결 152

제5장 결론 158

제1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159

제2절 연구의 한계 164

참고문헌 165

[표 2-1] 개인의 맥락의 함수로서 사회적 위험 - 사회적 계층 관련 선행 연구 32

[표 2-2] 개인의 맥락의 함수로서 사회적 위험 - 지역 관련 선행 연구 38

[표 2-3] 사회 서비스 격차 관련 연구 52

[표 4-1] 유형별 상위 지역(유치원) 118

[표 4-2] 유형별 시도 분포(유치원) 119

[표 4-3] 유형별 상위 지역(어린이집) 124

[표 4-4] 유형별 시도 분포(어린이집) 126

[표 4-5] 유형별 상위 지역(초등학교) 131

[표 4-6] 유형별 시도 분포(초등학교) 132

[표 4-7] 유형별 상위 지역(주야간보호서비스) 138

[표 4-8] 유형별 시도 분포(주야간보호서비스) 139

[표 4-9] 유형별 상위 지역(공동생활가정) 144

[표 4-10] 유형별 시도 분포(공동생활가정) 145

[표 4-11] 유형별 상위 지역(요양병원) 150

[표 4-12] 유형별 시도 분포(요양병원) 151

[표 4-13] 아동 서비스 과잉 가능성 상위 15개 지역 156

[표 4-14] 노인 서비스 과잉 가능성 상위 15개 지역 157

[그림 2-1] 연령에 따른 생애 상태의 비중 변화(성별 및 소득수준별) 30

[그림 4-1] 화폐적 빈곤과 물질적 곤궁 경험의 생애사적 분포 78

[그림 4-2] 소득 수준과 정신건강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80

[그림 4-3] 소득 수준의 AME(DV: 우울감) 81

[그림 4-4] 물질적 곤궁과 정신건강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82

[그림 4-5] 물질적 곤궁의 AME(DV: 우울감) 83

[그림 4-6] 학력과 정신건강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84

[그림 4-7] 학력의 AME(DV: 우울감) 85

[그림 4-8] 지역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86

[그림 4-9] 거주지역의 AME(DV: 우울감) 87

[그림 4-10] 소득 수준과 신체건강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89

[그림 4-11] 소득 수준의 AME(DV : 신체건강) 90

[그림 4-12] 물질적 곤궁과 신체건강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91

[그림 4-13] 물질적 곤궁의 AME(DV: 신체 건강) 92

[그림 4-14] 학력과 신체건강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93

[그림 4-15] 학력의 AME 94

[그림 4-16] 거주지역에 따른 신체건강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95

[그림 4-17] 거주지역의 AME 96

[그림 4-18] 소득 수준과 실업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98

[그림 4-19] 소득 수준의 AME 99

[그림 4-20] 물질적 곤궁과 실업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100

[그림 4-21] 물질적 곤궁의 AME(DV: 실업) 101

[그림 4-22] 학력과 실업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102

[그림 4-23] 학력의 AME(DV: 실업) 103

[그림 4-24] 거주지역에 따른 실업 수준의 생애사적 분포 104

[그림 4-25] 거주지역의 AME 105

[그림 4-26] 소득수준과 자살 생각의 생애사적 분포 106

[그림 4-27] 소득수준의 AME(DV: 자살 위험) 107

[그림 4-28] 물질적 곤궁과 자살 생각의 생애사적 분포 108

[그림 4-29] 물질적 곤궁의 AME(DV: 자살 위험) 109

[그림 4-30] 학력과 자살 생각의 생애사적 분포 110

[그림 4-31] 학력의 AME(DV: 자살 위험) 111

[그림 4-32] 거주지역에 따른 자살생각의 생애사적 분포 112

[그림 4-33] 거주지역의 AME(DV: 자살 위험) 112

[그림 4-34] 서비스 공급(좌)과 경쟁 수준(우)의 공간적 분포(유치원) 114

[그림 4-35] 거리별 서비스 경쟁 수준 분포(유치원) 115

[그림 4-36] 거리별 서비스 소외 수준(유치원) 116

[그림 4-37] 경쟁 수준과 소외 수준의 산포(유치원) 117

[그림 4-38] 서비스 경쟁과 소외 수준의 공간적 분포(어린이집) 120

[그림 4-39] 거리별 서비스 경쟁 수준 분포(어린이집) 121

[그림 4-40] 거리별 서비스 소외 수준(어린이집) 122

[그림 4-41] 경쟁 수준과 소외 수준의 산포(어린이집) 123

[그림 4-42] 서비스 공급(좌)과 경쟁 수준(우)의 공간적 분포(초등학교) 127

[그림 4-43] 거리별 서비스 경쟁 수준 분포(초등학교) 128

[그림 4-44] 거리별 서비스 소외 수준(초등학교) 129

[그림 4-45] 경쟁 수준과 소외 수준의 산포(초등학교) 130

[그림 4-46] 서비스 공급(좌)과 경쟁 수준(우)의 공간적 분포(주야간보호서비스) 134

[그림 4-47] 거리별 서비스 경쟁 수준 분포(주야간보호서비스) 135

[그림 4-48] 거리별 서비스 소외 수준(주야간보호서비스) 136

[그림 4-49] 경쟁 수준과 소외 수준의 산포(주야간보호서비스) 137

[그림 4-50] 서비스 공급(좌)과 경쟁 수준(우)의 공간적 분포(공동생활가정) 140

[그림 4-51] 거리별 서비스 경쟁 수준 분포(공동생활가정) 141

[그림 4-52] 거리별 서비스 소외 수준(공동생활가정) 142

[그림 4-53] 경쟁 수준과 소외 수준의 산포(공동생활가정) 143

[그림 4-54] 서비스 공급(좌)과 경쟁 수준(우)의 공간적 분포(요양병원) 146

[그림 4-55] 거리별 서비스 경쟁 수준 분포(요양병원) 147

[그림 4-56] 거리별 서비스 소외 수준(요양병원) 148

[그림 4-57]/[그림 4-47] 경쟁 수준과 소외 수준의 산포(요양병원) 149

[그림 4-58]/[그림 4-48] 서비스 경쟁 및 배제 수준과 지역간 관련성에 대한 MCA 결과 153

해시태그

#저출산문제 #고령화사회 #노인복지서비스 #아동복지서비스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