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국방비 관련 경제모형 구축 연구 : 산업연관분석의 국방부문 적용 방법을 중심으로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12

Ⅰ. 연구 개요 15

1. 연구 배경 15

2. 연구 내용 16

3. 주요 추진 사항 16

Ⅱ. 국방비 지출 경제적 효과분석의 최근 동향 18

1. 개요 18

2. 최근 국방비 지출효과분석의 연구 방법 판단 19

가. 구조적 VAR(SVAR) 모형 활용 19

나. DSGE 모형 활용 21

다. 산업연관분석 활용 22

라. 종합 평가 24

Ⅲ. 국방 산업연관분석 방법 연구 25

1. 개요 25

가. 산업연관분석 의의 및 연혁 25

나. 2015년 기준년 산업연관표의 주요 내용 27

다. 2008 SNA 주요 개정 내용 30

라. 산업연관분석에 이용되는 각종 계수 및 활용 분야 31

2. 국방 산업연관분석 의의 및 체제 36

가. 분석 의의 36

나. 국방산업연관표 분석 체제 38

3. 국방 산업연관표 부문별 추계 방법 40

가. 개요 40

나. 예산각목명세서를 이용한 산업연관표 부문 추계 41

다. 세출예산 부문분류와 결산과 연계 60

4. 국방비 지출의 경제적 효과 66

가. 2015년 국방비 지출의 경제적 효과(산업연관효과) 66

나. 2017년 국방비 지출의 경제적 효과 70

다. 2018년 국방비 지출의 경제적 효과 71

5. 산업연관표 국방부문 적용 발전 방향 72

가. 국방위성체계 및 사회회계행렬(SAM) 활용방안 검토 72

나. 방위산업 연관표 활용(KIDA 용역발주, KIET 수행) 73

Ⅳ. 국방 지역산업연관분석 방법 연구 79

1. 개요 79

가. 지역산업연관분석 의의 79

나. 국방지역산업연관분석 의의 79

2. 지역산업연관표의 유형 및 구조 80

가. 지역산업연관표 유형 80

나. 지역산업연관표 구조 83

다. 지역산업연관분석에 이용되는 각종 계수 84

3. 국방지역산업연관표 작성 방법 검토 91

가. 국방산업연관표 활용과 구조 91

나. 지역산업연관표의 정부부문 작성기준 분석 96

다. 국방 지역산업연관표 작성 방법 검토 98

4. 결론 100

Ⅴ. 결론 및 향후 추진계획 102

1. 결론 102

참고문헌 103

[부록 1] 2015년 기준년 상품분류표 106

[부록 2] 유형별 고정자산의 처리 119

[부록 3] 부가가치 124

[부록 4] 방위력개선비 세목 및 용도(예시) 125

[부록 5] 2015년 국방비 지출의 산업연관효과 128

[부록 6] 2017년 국방비 지출의 산업연관효과 130

[부록 7] 2018년 국방비 지출의 산업연관효과 134

〈표 Ⅱ-1〉 SVAR 모형 재정승수 관련 기존 실증 연구결과 20

〈표 Ⅱ-2〉 DSGE 모형 재정승수 관련 기존 실증 연구결과 22

〈표 Ⅲ-1〉 2008 SNA가 적용된 산업연관표 26

〈표 Ⅲ-2〉 2015년 투입산출표 상품 부문 분류 28

〈표 Ⅲ-3〉 상품 부문 분류 요약 내역 29

〈표 Ⅲ-4〉 SNA 개정 전ㆍ후 고정자산의 범위 30

〈표 Ⅲ-5〉 세출예산의 구분 41

〈표 Ⅲ-6〉 2015년 예산각목명세서의 전력운영비(예시) 44

〈표 Ⅲ-7〉 2015년 예산각목명세서의 방위력개선비(예시) 45

〈표 Ⅲ-8〉 2015년 예산각목명세서 기준 외화편성 금액(예시) 46

〈표 Ⅲ-9〉 정부 세출각목명세서 구분과 산업연관표 부문 분류와 연계(요약) 47

〈표 Ⅲ-10〉 정부 세출각목명세서 구분과 산업연관표와의 연계(세부 자료) 48

〈표 Ⅲ-11〉 전력운영비 결산서 예시(2015년) 61

〈표 Ⅲ-12〉 방위력개선비 결산서 예시(2015년) 62

〈표 Ⅲ-13〉 전력운영비 편성-집행내역 비교 사업개요(예시) 63

〈표 Ⅲ-14〉 전력운영비 편성-집행내역 비교(예시) 63

〈표 Ⅲ-15〉 방위력개선비 편성-집행내역 비교 사업개요(예시) 64

〈표 Ⅲ-16〉 전력운영비 편성-집행내역 비교(예시) 64

〈표 Ⅲ-17〉 방위력개선비 편성-집행내역 비교 사업개요(예시) 65

〈표 Ⅲ-18〉 공통코드를 부여하고 공통 비율을 설정한 경우 편성-집행내역 비교(예시) 65

〈표 Ⅲ-19〉 2015년 국방산업연관표에 의한 국방비 구분 66

〈표 Ⅲ-20〉 국방소비지출의 유발계수(2015년 기준) 67

〈표 Ⅲ-21〉 국방고정자본형성의 유발계수(2015년 기준) 68

〈표 Ⅲ-22〉 국방예산 외화 지출 편성 내역 69

〈표 Ⅲ-23〉 2017년 국방산업연관표에 의한 국방비 구분 70

〈표 Ⅲ-24〉 2017년과 2015년 국방비 지출의 유발계수 비교 71

〈표 Ⅲ-25〉 2018년 국방산업연관표에 의한 국방비 구분 71

〈표 Ⅲ-26〉 2018년과 2015년 국방비 지출의 유발계수 비교 72

〈표 Ⅲ-27〉 지상장비의 주요 전투기능별 핵심기능과 핵심품목(예시) 76

〈표 Ⅲ-28〉 해상장비의 주요 전투기능별 핵심기능과 핵심품목(예시) 77

〈표 Ⅲ-29〉 공중장비의 주요 전투기능별 핵심기능과 핵심품목(예시) 78

〈표 Ⅳ-1〉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의 지역 및 권역 대조표 95

〈표 Ⅳ-2〉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의 분류 및 통합부문 대조표 96

〈그림 Ⅲ-1〉 2015년 투입산출표 기본구조(생산자가격 기준) 28

〈그림 Ⅲ-2〉 국민계정과 5대 국민경제통계의 관계 36

〈그림 Ⅲ-3〉 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생산ㆍ부가가치ㆍ수입 유발경로 37

〈그림 Ⅲ-4〉 국방산업연관표 개념도(생산자가격, 대분류 기준) 39

〈그림 Ⅲ-5〉 세출예산의 과목구조 예시(방위력개선비) 41

〈그림 Ⅲ-6〉 기동전력 방위산업의 산업연관표(예시) 74

〈그림 Ⅲ-7〉 WBS 기반 분석 적용 예시 75

〈그림 Ⅳ-1〉 전국 산업연관표 80

〈그림 Ⅳ-2〉 지역 산업연관표 81

〈그림 Ⅳ-3〉 지역 간 산업연관표의 기본 구조 83

〈그림 Ⅳ-4〉 지역 간 산업연관표를 행렬로 표기할 경우의 구조 84

〈그림 Ⅳ-5〉 지역 간 산업연관표와 지역 간 투입계수 산출 방법 85

〈그림 Ⅳ-6〉/〈그림 Ⅳ-5〉 국방지역산업연관표 구조 92

〈그림 Ⅳ-7〉/〈그림 Ⅳ-6〉 국방부문이 분리된 지역 간 산업연관표를 행렬로 표기하였을 경우 Zij의 구조 93

〈그림 Ⅳ-8〉/〈그림 Ⅳ-7〉 분할 전ㆍ후 전국 및 지역 산업연관표 94

해시태그

#국방비용 # 국방산업 # 국방비지출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