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한국 청년은 언제 집을 떠나는가 : OECD 국가 비교

본 보고서는 한국 청년의 성인 이행 경로의 특징을 OECD 국가 29개국과 비교하는 맥락에서 확인한다.

한국은 졸업과 취업, 분가와 결혼, 출산 등 주요 이행 사건을 경험하는 시점이 전반적으로 늦고 분가, 결혼, 출산 시점이 몰려 있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은 교육 기회 확대를 통해 사회이동을 가능하게 했던 한국사회 특유의 교육-노동 체제가 2000년대 이래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서 생긴 현상으로, 향후 한국사회가 교육 기회의 평등보다는 노동 시장 결과의 평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출처 :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1. 성인 이행 경로의 다양성 5

2. OECD 국가 비교 7

1. 2000년대 중반 시점의 성인 이행 국면 7

2. 유형화 작업 11

3. 이행 경로의 여섯 가지 유형 12

1. 성인기 이행 지형 12

2. 여섯 가지 이행 경로 14

4. 동아시아형: 느슨한 제도 연계와 늦은 이행 20

참고문헌 24

판권기 2

〈표 1〉 분석 변수 9

〈표 2〉 참고 변수 10

〈표 3〉 성인 이행 경로 유형별 소속 국가 14

〈표 4〉 성인 이행 경로 유형별 속성(비표준화 값) 18

〈그림 1〉 성인기 이행 지형(OECD 국가): 차원 1과 차원 2 12

〈그림 2〉 성인기 이행 지형(OECD 국가): 차원 1과 차원 3 13

〈그림 3〉 군집분석 결과(거리 측정 방식: ward) 14

〈그림 4〉 성인 이행 경로 유형별 속성(표준화 값) 15

해시태그

#사회정책 #청년정책 #사회불평등 #청년복지 #노동시장 #계층이동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