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국가 핵심 의제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과학기술혁신 전략 방향을 모색하고자 「STEPI 아웃룩(Outlook) 2023」을 발간했다.
□ 「STEPI Outlook 2023」에 참여한 백서인 과학기술외교안보연구단장과 송치웅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2022년을 “미국의 「반도체와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및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제정,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와 오커스(AUKUS) 출범 등 미·중 전략경쟁으로 인한 경제·기술 안보화가 본격화된 한 해였다.”라고 진단했다.
□ 정일영 미래혁신연구본부장은「STEPI Outlook 2023」에서 “첨단바이오”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써 지원정책 수립 필요성을 강조하며, 세부 전략분야로 ‘합성생물학’을 언급했다.
□ 국민 4명 중 1명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첨단바이오를 선택한 조사결과를 뒷받침 하듯이 정일영 본부장은 첨단바이오 분야에서 ‘합성생물학’은 유전체 기술의 발전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고도화에 따라 혁신 성장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 이번「STEPI Outlook 2023」에서는 국가 과학기술혁신정책을 혁신시스템, 미래혁신, 글로벌혁신 관점에서 과기정책연 전문가 14인의 테마별 진단과 전망을 통해 2023년 국가정책 시사점과 추진 방향성을 제시했다.
□ 아울러,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대한 인식 ▲경쟁력을 확보해야할 기술분야 ▲고령화, 기위변화, 인력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방식 등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목차
[표지] 1
발간사 / 문미옥 4
목차 6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대한 혁신 리더의 화두 7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대한 STEPI 14인의 전망 9
01. 임무중심형 혁신정책 전망 : 임무라는 시대적 화두, 성공적 임무 정책의 요건 / 홍성주 11
02. 데이터 정책 전망 : 증거기반 R&D 정책 강화를 위한 과학기술혁신(STI) 디지털플랫폼 구축이 필요한 때 / 이정우[이미지참조] 13
03. 과학기술혁신정책 전망 : 과학기술 G5 도약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도전과 혁신을 추동할 때 / 신은정 15
04. 정부 R&D 투자 정책 전망 : 대형 R&D사업 설계의 전략적 방향성을 고려할 때 / 최이중 17
05. 과학기술인력 정책 전망 : 인구 감소 시대에 과학기술 인재의 원활한 성장과 확보를 위한 연구 생태계 고도화 방안 / 홍성민 19
06. 국가전략기술 정책 전망 :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 협력적 혁신 생태계 강화가 필요한 시점 / 최종화 21
07. 디지털혁신 정책 전망 : 디지털 혁신 정책의 국가·사회 선순환 체계 구축이 필요한 때 / 오윤환 25
08. 기업 혁신 정책 전망 : 민간 주도 혁신 성장 관점에서 중소기업 R&D 지원을 재설계할 때 / 김선우 27
09. 바이오 정책 전망 : 바이오 대전환을 선도하는 디지털 바이오 구현 / 정일영 29
10. 국가 우주산업·정책 전망 : 우주정책 2.0, 우주경제 시대를 향한 첫걸음 / 안형준 31
11. STI 글로벌 전략 전망 : STI 기반의 글로벌 전략을 수립하자 / 박환일 33
12. 과학기술·외교안보 전망 : 우리의 국익을 고려한 과학기술·외교안보 전략의 수립과 실행에 집중해야 할 때 / 백서인 35
13. 인도·태평양 전략 및 기술동맹 전망 : 기술 중심의 인도·태평양 전략 수립과 기술동맹을 준비할 때 / 송치웅 37
14. 과학기술혁신 ODA전망 : 글로벌 중추국가, 제대로 설계된 디지털 전환 ODA 전략에서 시작하자 / 김지현 39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대한 국민의 생각 41
판권기 47
[뒷표지] 48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3) STEPI Outlook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혁신정책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