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인구변화에 대응한 지속 가능한 양성평등정책분야 이슈 발굴 모형 개발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다양한 가족 및 일·생애, 돌봄위기 증가, 양성평등가치 확산 등 사회변화에 따른 인구·가구 분야 정책지형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인구변화 대응 정책은 성별·세대별 인식과 경험이 상이한 대표적인 국가적 난제로, 공공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개발 및 의사결정에 있어 데이터를 토대로 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미래 전망을 추정하고 거시적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변화 대응을 양성평등정책 분야의 이슈발굴 모형 개발을 토대로 정책현안을 도출하고 수요동향을 예측함으로써 효과적 공공 의사결정의 도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크게 다섯 가지로 구성되었다. 첫째, 인구구조 변화 추이에 대한 선행연구 및 사례조사로 주요 집단별 전망을 살펴보고, 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양성평등 분야 이슈 및 쟁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인구변화와 관련된 주요 양성평등정책 분야의 사회 이슈 현안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모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향후 정책수요 변화 추이를 예측하고 중요도가 증가하는 현안을 분석하는 미래 전망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넷째, 모형 분석결과에 대한 시각화 도구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다섯째, 개발모형의 개선사항을 점검하고, 차년도 연구에서 모형 성능을 고도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출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6

Abstract 7

01. 서론 1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8

1. 연구의 필요성 18

2. 연구목적 19

3. 기대효과 19

제2절 연구방법 20

1. 연구방법 20

2. 보고서 구성 21

02. 선행연구 및 사례조사 23

제1절 인구구조 변화와 주요 양성평등 이슈 및 쟁점 24

1. 우리나라 양성평등정책 현황 24

가. 여성정책 기본계획 24

나.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 27

2. 인구변화 관련 주요 양성평등 이슈 및 쟁점 분석 30

가. 선행연구 30

나. 인구구조 변화 예측에 따른 주요 양성평등 이슈 및 쟁점 분석 32

제2절 방법론 및 데이터 현황 39

03. 분석모형 개발 43

제1절 배경 및 연구개요 44

제2절 방법론 45

1. 분석방법 45

가. 이슈 모니터링 모형 45

나. 정책수요 예측 모형 46

다. 시각화 도구 48

2. 분석자료 48

가. 자료수집 48

나. 수집 키워드 지정 및 분류 50

다. 데이터 전처리 53

3. 분석영역 및 키워드 54

가. 분석영역 및 키워드 도출 방법 54

나. 주요 기본계획 검토에 의한 영역ㆍ키워드 산정 56

다. 학술자료에 의한 분석 영역ㆍ키워드 적합성 검토 65

라. 최종 분석영역 및 키워드 도출 69

4. 데이터 수집 및 분류 결과 75

가. 분석자료 특성 75

나. 분석영역 간 정보량 오버랩(overlap) 비율 80

04. 이슈 모니터링 및 미래예측 분석 83

제1절 이슈 모니터링 분석 결과 84

1. 이슈 모니터링 분석 84

가. 사회적 돌봄 84

나. 성평등 노동환경 90

다. 다양한 가족 97

라. 성재생산 권리 100

2. 분석결과 종합 및 적정성 검토 102

제2절 정책수요 미래예측 모형 104

1. DMR 분석 결과 104

가. 뉴스기사 DMR 결과 104

나. 학술자료 DMR 결과 110

2. 분석결과 종합 및 적정성 검토 114

제3절 분석결과 시각화 117

1. 네트워크 분석 117

가. 사회적 돌봄 117

나. 성평등 노동환경 122

다. 다양한 가족 129

라. 성재생산 권리 131

2. 출처별 키워드 교차분석 134

가. 사회적 돌봄: 아동 136

나. 성평등 노동환경: 조직문화 138

다. 다양한 가족 140

3. 분석결과 종합 및 적정성 검토 142

가. 네트워크 시각화 142

나. 출처별 키워드 교차분석 142

05. 결론 144

제1절 요약 및 결론 145

1. 인구변화 대응과 주요 양성평등정책 현안 145

가. 우리나라 양성평등정책 현황 145

나. 인구변화 관련 주요 양성평등 이슈 및 쟁점 분석 146

2. 분석방법 146

가. 분석자료 146

나. 분석영역 및 키워드 도출 147

3. 이슈 모니터링 모형 개발 147

가. 분석방법 147

나. 분석결과 148

4. 미래예측 모형 개발 148

가. 분석방법 148

나. 분석결과 149

5. 분석모형 시각화 방안 150

가. 네트워크 시각화 150

나. 출처별 키워드 교차분석 150

제2절 정책제언 152

1. 개발모형 개선사항 152

2. 모형 고도화 방안 153

가. 개발모형 수정보완 153

나. 양성평등 이슈 발굴 내용 개선방안 154

다. 정형-비정형데이터 연계 방안 155

라. 데이터 표준화 방안 모색 156

참고문헌 157

판권기 161

〈표 2-1〉 제1차~제4차 여성정책 기본계획 요약 26

〈표 2-2〉 제1차~제3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 요약 29

〈표 2-3〉 빅데이터 활용 선행연구 사례 40

〈표 3-1〉 수집 뉴스기사 목록 49

〈표 3-2〉 수집 학술자료 목록 50

〈표 3-3〉 분석자료 수집 및 분류 과정 51

〈표 3-4〉 분석자료 요약 52

〈표 3-5〉 불용어 목록 예시 53

〈표 3-6〉 추진전략(저출산고령화 대응) 주요내용 57

〈표 3-7〉 주요 기본계획과 양성평등 정책목표 관련 분석영역 도출 60

〈표 3-8〉 양성평등 대상 문서의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67

〈표 3-9〉 양성평등정책 이슈발굴을 위한 최종 분석영역 및 키워드 71

〈표 3-10〉 정보량 추이(2020.1~2022.12): 뉴스기사 76

〈표 3-11〉 정보량 추이(2020.1~2022.12): 학술자료 77

〈표 3-12〉 영역별 오버랩 비율(뉴스기사) 81

〈표 3-13〉 영역별 오버랩 비율(학술자료) 82

〈표 4-1〉 사회적 돌봄: 아동(뉴스기사) 85

〈표 4-2〉 사회적 돌봄: 아동(학술자료) 86

〈표 4-3〉 사회적 돌봄: 노인(뉴스기사) 88

〈표 4-4〉 사회적 돌봄: 노인(학술자료) 89

〈표 4-5〉 성평등 노동환경: 조직문화(뉴스기사) 91

〈표 4-6〉 성평등 노동환경: 조직문화(학술자료) 92

〈표 4-7〉 성평등 노동환경: 일생활균형(뉴스기사) 93

〈표 4-8〉 성평등 노동환경: 일생활균형(학술자료) 94

〈표 4-9〉 성평등 노동환경: 경력 및 역량개발(뉴스기사) 95

〈표 4-10〉 성평등 노동환경: 경력 및 역량개발(학술자료) 96

〈표 4-11〉 다양한 가족(뉴스기사) 98

〈표 4-12〉 다양한 가족(학술자료) 99

〈표 4-13〉 성재생산 권리(뉴스기사) 100

〈표 4-14〉 성재생산 권리(학술자료) 101

〈표 4-15〉 뉴스기사 DMR 토픽 수 산출 105

〈표 4-16〉 뉴스기사 DMR 결과: 토픽 분류 105

〈표 4-17〉 뉴스기사 DMR 결과: Importance score(토픽 30개) 109

〈표 4-18〉 학술자료 DMR 토픽 수 산출 110

〈표 4-19〉 학술자료 DMR 결과: 토픽 분류 111

〈표 4-20〉 학술자료 DMR 결과: Importance score(토픽 20개) 113

〈표 5-1〉 인구변화 관련 정형데이터 자료 목록 예시 155

[그림 1-1] 연구개요 21

[그림 2-1] 양성평등정책의 흐름 30

[그림 2-2] 1960~2070년 연령별 인구수 변화 추이 33

[그림 2-3] 1960~2070년 부양비 변화 추이 34

[그림 2-4] 1인 가구 추이 35

[그림 2-5] 남녀 임금 격차 국가 비교 36

[그림 2-6] 육아휴직 이용자 수 및 성별 비중 37

[그림 2-7] 육아휴직 이용자 수 및 성별 비중 38

[그림 3-1] DMR 모형의 구조 47

[그림 3-2] 분석자료 수집 및 분류 도식 52

[그림 3-3] 분석키워드 선정 도식 56

[그림 3-4] 주요 기본계획 정책체계도 59

[그림 3-5] 주제의 수에 따른 모형의 성능 평가 65

[그림 3-6] LDA 군집화 coherence score 결과 66

[그림 3-7] LDA 군집화 분석 결과 67

[그림 3-8] 분석영역 70

[그림 3-9] 정보량: 사회적 돌봄 78

[그림 3-10] 정보량: 성평등 노동환경 79

[그림 3-11] 정보량: 다양한 가족 80

[그림 3-12] 정보량: 성재생산 권리 80

[그림 4-1] 뉴스기사 DMR 결과 110

[그림 4-2] 학술자료 DMR 결과 114

[그림 4-3] 사회적 돌봄: 아동(네크워크 분석, 뉴스기사) 119

[그림 4-4] 사회적 돌봄: 아동(네크워크 분석, 학술자료) 120

[그림 4-5] 사회적 돌봄: 노인(네크워크 분석, 뉴스기사) 121

[그림 4-6] 사회적 돌봄: 노인(네크워크 분석, 학술자료) 122

[그림 4-7] 성평등 노동환경: 조직문화(네크워크 분석, 뉴스기사) 125

[그림 4-8] 성평등 노동환경: 조직문화(네크워크 분석, 학술자료) 126

[그림 4-9] 성평등 노동환경: 일생활균형(네크워크 분석, 뉴스기사) 127

[그림 4-10] 성평등 노동환경: 경력 및 역량개발(네크워크 분석, 뉴스기사) 128

[그림 4-11] 성평등 노동환경: 경력 및 역량개발(네크워크 분석, 학술자료) 129

[그림 4-12] 다양한 가족(네크워크 분석, 뉴스기사) 130

[그림 4-13] 다양한 가족(네크워크 분석, 학술자료) 131

[그림 4-14] 성재생산 권리(네크워크 분석, 뉴스기사) 133

[그림 4-15] 성재생산 권리(네크워크 분석, 학술자료) 134

[그림 4-16] 뉴스기사-학술자료 주요 키워드 출현율 비교 135

[그림 4-17] 사회적 돌봄: 아동(교차표, 2020년 4분기) 136

[그림 4-18] 사회적 돌봄: 아동(교차표, 2021년 4분기) 137

[그림 4-19] 사회적 돌봄: 아동(교차표, 2022년 4분기) 137

[그림 4-20] 성평등 노동환경: 조직문화(교차표, 2020년 2분기) 138

[그림 4-21] 성평등 노동환경: 조직문화(교차표, 2021년 2분기) 139

[그림 4-22] 성평등 노동환경: 조직문화(교차표, 2022년 4분기) 139

[그림 4-23] 다양한 가족(교차표, 2020년 4분기) 140

[그림 4-24] 다양한 가족(교차표, 2021년 4분기) 141

[그림 4-25] 다양한 가족(교차표, 2022년 2분기) 141

해시태그

#저출산 #고령화 # 인구구조 # 양성평등 # 돌봄위기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