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National Climate Resilience Framework
(국가 기후 회복력 프레임워크)

□ 백악관은 2023년 9월, 「국가 기후 회복력 프레임워크」를 발표함

□ 이 프레임워크는 미국의 기후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빌표되었으며, 기후 변화로 인한 극단적인 기상 현상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함

□ 미국은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여섯 가지 기후 탄력성 목표를 제시하고, 기존의 재난 대응 방식을 넘어 미래를 대비하는 탄력성을 구축하기 위한 투자 방향을 제시함

□ 6가지 기후 회복력 목표
① 기후 변화에 대한 이해와 관리: 기후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리 및 대응 전략을 개발하고 구현하기 위해 노력
② 인프라 및 자산 보호: 인프라와 자산을 보호하고, 재난 발생 시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노력
③ 자원 보호 및 관리: 자원 보호와 관리를 강화하여,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 사용을 촉진
④ 사회적 공정성: 사회적 공정성을 강화하여, 모든 사람들이 기후 변화로부터 보호받을수 있도록 함
⑤ 경제적 안정성: 경제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기후 변화로 인한 위협으로부터 경제를 보호
⑥ 국제적 협력: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여, 세계적인 기후 문제에 대처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목차

Introduction 3
A National Climate Resilience Framework 5
Becoming a Climate-Resilient Nation 7
Principles of Climate Resilience 7
 
Objective 1: Embed climate resilience into planning and management 8
Opportunities for Action 9
 
Objective 2: Increase resilience of the built environment to both acute climate shocks and chronic stressors 11
Opportunities for Action 13
 
Objective 3: Mobilize capital, investment, and innovation to advance climate resilience at scale 14
Opportunities for Action 15
 
Objective 4: Equip communities with information and resources needed to assess their climate risks and develop the climate resilience solutions most appropriate for them 17
Opportunities for Action 18
 
Objective 5: Sustainably manage lands and waters to enhance resilience while providing numerous other benefits 22
Opportunities for Action 23
 
Objective 6: Help communities become not only more resilient, but also more safe, healthy, equitable, and economically strong 26
Opportunities for Action 28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기후회복력 # 기후변화 # 자원보호 # 기상현상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