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은 에너지·식량 자급도가 높고 공급 병목 현상도 상당 부분 사라지면서 공급 측면의 물가 불안은 많이 해소된 반면, 민간소비가 견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수요 측면의 불안은 여전히 강한 상황임. 유로 지역의 경우 성장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 측면의 불안과 높은 수준의 임금 상승률로 인해 인플레이션 억제가 어려운 상황임
□ 한국은 정보기술(IT)·중국 경기의 부진, 고금리에 따른 가계의 원리금 부담 증대 등으로 수요 측 물가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했음. 다만, 한국의 경우 원자재 대외의존도가 높은 데다 환율까지 상승하면서, 공급 측면에서 상품시장을 중심으로 비용 상승 압력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함. 주요 예측기관들은 물가목표(2%) 도달 시점을 미국은 2026년경, 유로지역은 2025년 하반기, 우리나라는 2025년 상반기로 전망하고 있음
[출처] 한국은행
“물가 2% 시대, 2025년은 돼야” (2023.10.30.) / 경향신문
목차
I. 검토배경
II. 주요국 디스인플레이션 현황
(1) 인플레이션 둔화 양상 및 속도, 목표와의 격차
(2) 품목별 디스인플레이션 기여도 및 물가상승 확산 정도
III. 주요국 디스인플레이션의 차별화된 동인(drivers)
(1) 디스인플레이션의 수요·공급 요인 분해
IV. 향후 물가 흐름 및 리스크 요인
V. 종합평가 및 시사점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