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 향후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공공시설은 보건의료시설, 공원‧녹지‧산책로 순이며, 복지서비스는 고용(취업)지원, 보건의료‧건강관리 순임
◇ 10명 중 7명이 노후 준비를 하고 있으며, 준비 방법은 국민연금이 가장 높음
◇ 국민의 노후를 위해 사회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노후 소득지원, 의료·요양보호 서비스, 노후 취업 지원 순으로 응답함
◇ 60세 이상 고령자 4명 중 3명은 본인·배우자가 주로 생활비를 마련함
[사회참여]
◇ 19세 이상 인구 중 도움이 필요한 특정 상황 발생 시 나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2년 전보다 증가함
◇ 우리 사회를 신뢰하는 사람은 58.1%로 2년 전보다 2.4%p 증가함
◇ 단체활동 참여율은 64.2%로 2년 전에 비해 크게 증가(28.4%p)함
◇ 지난 1년 동안 기부 경험률 및 자원봉사활동 경험률은 모두 2년 전보다 높음
[여가]
◇ 현재 하고 있는 여가 활동은 동영상 컨텐츠 시청, 휴식 순이나 향후 하고 싶은 여가 활동은 관광 활동, 취미·자기 개발 활동 순임
◇ 국내관광 66.7%, 해외여행 15.1%로 2년 전보다 각각 26.9%p, 14.0%p 증가함
◇ 문화예술·스포츠 현장 관람률은 55.3%로 2년 전의 2배 이상 수준으로 증가함
◇ 레저시설을 이용한 사람은 69.1%로 2년 전보다 25.6%p 증가함
◇ 13세 이상 인구의 절반 이상은 독서를 하지 않음
[소득과 소비]
◇ 가구 소득수준이 여유 있다는 응답은 13.7%로 2년 전보다 1.8%p 증가함
◇ 1년 전보다 가구 소득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21.3%, 감소했다는 응답은 18.9%임
◇ 가구주 4명 중 1명은 내년에 가구의 재정상태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함
◇ 재정상황 악화시 우선적으로 줄일 지출항목은 외식비, 식료품비, 의류비 순임
[노동]
◇ 직업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수입, 안정성, 적성‧흥미 순임
◇ 13~34세 청(소)년이 선호하는 직장은 대기업, 공기업, 국가기관 순임
◇ 19세 이상 인구 중 일과 가정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사람, 일을 우선시 하는 사람, 가정생활을 우선시하는 사람의 비중은 각각 47.4%, 34.4%, 18.2% 순임
◇ 임금근로자의 전반적 일자리 만족도는 35.1%로 2년 전보다 0.1%p 상승함
(출처: 통계청)
목차
□ 2023년 사회조사 결과 요약 1
□ 2023년 사회조사 결과
Ⅰ. 복 지
1. 생활 여건의 변화 7
2. 향후 늘려야 할 공공시설 및 복지서비스 8
3. 사회보험료 부담에 대한 인식 9
4. 노후 준비 방법 10
5. 노후를 위한 사회의 역할 11
6.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 12
7. 노후 생활 방법 13
8. 생활비 마련 방법 14
9. 자녀와 동거 여부 15
10. 선호하는 장례 방법 16
11. 장애인 유대관계 및 대상 17
12. 장애인 관련 시설 설립에 대한 견해 18
13. 장애인 복지사업 19
Ⅱ. 사회참여
14. 사회적 관계망 20
15.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 22
16. 단체 참여 23
17. 기부 24
18. 자원봉사활동 26
19. 계층의식 28
20. 계층이동 29
Ⅲ. 여가
21. 여가 활용 30
22. 여가 활용 만족도 31
23. 여행 32
24. 문화예술 스포츠 관람 33
25. 레저시설 이용 34
26. 독서 35
Ⅳ. 소득과 소비
27. 주관적 소득수준 36
28. 가구 소득과 부채의 변화 37
29. 내년 가구의 재정상태 38
30. 소비 생활 만족도 39
31. 우선적으로 줄일 지출항목 40
Ⅴ. 노 동
32. 직업 선택 요인 41
33. 청(소)년이 선호하는 직장 42
34. 고용의 안정성 43
35. 여성 취업에 대한 견해 44
36.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도 45
37. 근로 여건 만족도 46
□ 통계표 48
□ 2023년 사회조사 개요 121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