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 통계청은 12월 6일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를 발표함.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645만개로 전년보다 87만개(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일자리가 44만개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고, 20대 이하 일자리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1만개 늘어나면서 전 연령대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작았음

□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주요 내용

➢ 일자리 규모 및 증감
ㅇ '22년 일자리는 2,645만개로 전년대비 87만개(3.4%) 증가
ㅇ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2,000만개(75.6%), 퇴직·이직 등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03만개(11.5%)
ㅇ 기업 생성,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일자리는 342만개(12.9%), 기업 소멸·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일자리는 255만개

➢ 기업 특성별 일자리
ㅇ (조직형태) 회사법인 1,253만개(47.4%), 개인기업체 829만개(31.4%) 등의 순으로 많고, 회사법인에서 가장 많이 증가(42만개)
ㅇ (기업규모) 중소기업 1,644만개(62.2%), 비영리기업 561만개(21.2%), 대기업 440만개(16.6%) 순으로 많고, 중소기업 62만개, 비영리기업 15만개, 대기업 10만개 증가  
ㅇ (산업) 제조업 507만개(19.2%), 도소매 328만개(12.4%), 보건·사회복지 253만개(9.6%) 등의 순으로 많음
- 보건·사회복지(12만개), 도소매(11만개), 제조업(9만개), 정보통신(9만개) 등 증가, 금융·보험(-1만개) 감소

➢ 근로자 특성별 일자리
ㅇ (성별) 남자 1,499만개(56.7%)로 여자 1,146만개(43.3%)의 1.31배 , 전년대비 남자 42만개(2.9%), 여자 45만개(4.1%) 증가
ㅇ (연령) 50대(635만개), 40대(631만개), 30대(528만개), 60세 이상(486만개) 순, 전년대비 60세 이상(44만개), 50대(26만개), 40대(10만개) 순으로 증가
ㅇ (종사상지위) 임금근로 2,160만개(81.7%), 비임금근로 485만개(18.3%)로, 전년대비 각각 65만개(3.1%), 22만개(4.7%) 증가

(출처: 통계청)

목차

목차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1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요약) 6

1. 일자리 규모 및 증감 8

2. 기업 특성 항목 분석 9

가. 조직형태별 일자리 9

나. 기업규모별 일자리 11

다. 종사자규모별 일자리 12

라. 개인기업체의 종사자규모별 일자리 13

마. 산업별 일자리 14

바. 산업별ㆍ조직형태별 일자리 16

3. 근로자 특성 항목 분석 17

가. 성별 일자리 17

나. 연령별 일자리 18

다. 근속기간별 일자리 19

라. 종사상지위별 일자리 20

마. 성별ㆍ연령별 일자리 21

바. 종사상지위별ㆍ성별 일자리 21

사. 종사상지위별ㆍ연령별 일자리 22

4. 기업-근로자 연계 특성 분석 23

가. 조직형태별ㆍ성별 일자리 23

나. 조직형태별ㆍ연령별 일자리 24

다. 조직형태별ㆍ근속기간별 일자리 25

라. 기업규모별ㆍ성별 일자리 26

마. 기업규모별ㆍ연령별 일자리 26

바. 기업규모별ㆍ근속기간별 일자리 27

[참고] 2022년 12월말 종사자 28

[통계표] 29

1. 일자리 규모 및 증감 30

2. 조직형태별 일자리 30

3. 기업규모별 일자리 31

4. 종사자규모별 일자리 32

5. 산업분류별 일자리 35

6. 산업대분류별ㆍ조직형태별 일자리 47

7. 성별 일자리 50

8. 연령별 일자리 50

9. 근속기간별 일자리 52

10. 종사상지위별 일자리 53

[부록 1] 일자리행정통계 작성 개요 55

[부록 2] 주요 용어 설명 57

[부록 3] 중소기업 규모 기준(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17.10.17. 개정) 59

[부록 4] 한국표준산업분류 약칭 60

해시태그

#노동시장 #일자리 #고용시장 #노인일자리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