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연구원은 1월 15일 「도시 AI(Urban AI) 구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하고, 최근 새롭게 등장한 ‘Urban AI’의 개념과 분야별 최신 사례를 조사해 향후 정책방향과 과제를 제안함
□ 보고서 주요 내용
➢ Urban AI의 개념
(광의) 도시와 AI 기술이 혼합된 ‘AI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모든 행위
(협의) 도시에서 AI 기술 도입을 통해 도시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성 확보를 시도하는 행위 (정책·사업·서비스 등)
➢ 도시(지자체)가 공공행정에 AI 기반 인프라와 활용 서비스 도입 시 우선해야 할 정책과제
ㅇ 지자체 관련 부서 및 산하 기관의 역할과 수요 발굴
ㅇ AI 학습을 위한 ‘도시 데이터 생산체계 및 인프라 구축’ 우선 시행
ㅇ ‘AI 연구개발-인재 유입-스타트업’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AI 생태계 육성
ㅇ 사회적 안전, 인권, 신뢰성 등 책임감 있는 AI(Responsible AI)에 대한 제도적 기반 조성
ㅇ 중앙·지자체에 AI 총괄기관, 전담 실행기관, 윤리 협의체, 연구개발센터 등으로 구성된 ‘도시 AI 거버넌스’ 마련
(출처: 국토연구원)
□ 보고서 주요 내용
➢ Urban AI의 개념
(광의) 도시와 AI 기술이 혼합된 ‘AI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모든 행위
(협의) 도시에서 AI 기술 도입을 통해 도시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성 확보를 시도하는 행위 (정책·사업·서비스 등)
➢ 도시(지자체)가 공공행정에 AI 기반 인프라와 활용 서비스 도입 시 우선해야 할 정책과제
ㅇ 지자체 관련 부서 및 산하 기관의 역할과 수요 발굴
ㅇ AI 학습을 위한 ‘도시 데이터 생산체계 및 인프라 구축’ 우선 시행
ㅇ ‘AI 연구개발-인재 유입-스타트업’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AI 생태계 육성
ㅇ 사회적 안전, 인권, 신뢰성 등 책임감 있는 AI(Responsible AI)에 대한 제도적 기반 조성
ㅇ 중앙·지자체에 AI 총괄기관, 전담 실행기관, 윤리 협의체, 연구개발센터 등으로 구성된 ‘도시 AI 거버넌스’ 마련
(출처: 국토연구원)
목차
01. AI 기술의 성장과 도시 변화
02. Urban AI 등장 배경과 정의
03. 국가와 도시 수준의 AI 정책과 대응
04. 한국형 도시 AI 정책방향과 과제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도시 AI(Urban AI) 구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