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팬데믹 이후 글로벌 성장·교역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 한국은행은 1월 18일 「팬데믹 이후 글로벌 성장, 교역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하고, 팬데믹 이후 세계 교역은 ①글로벌 분절화, ②통화긴축, ③서비스 중심 회복 등에 기인하여 미약한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함

□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크게 부진했던 세계 교역이 24년 세계 경제의 성장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통화 긴축과 서비스 선호 충격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IT 경기가 반등하면서 올해 한국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됨

□ 다만 ▲글로벌 분절화 지속, ▲중동정세 불안, ▲중국 경제지표 부진 등을 감안할 때, 올해 교역신장률(3.5%, IMF 전망기준)은 과거 장기 평균(07~18년중 3.8%)을 하회하는 가운데 회복 속도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판단됨

(출처: 한국은행)

목차

표제지

목차

Ⅰ. 검토 배경 2

Ⅱ. 최근 글로벌 성장과 교역 흐름 평가 2

Ⅲ. 2024년 세계교역 및 우리수출 전망 7

Ⅳ. 중ㆍ장기 세계교역 환경과 시사점 10

[참고 1] 금융위기 이후 세계교역 둔화의 구조적 원인 13

[참고 2] 세계교역 동인(drivers)의 역사적 분해 방법 및 결과 14

[참고 3] 우리수출 전망 시 예측력이 가장 높은 지표 식별 방법 및 결과 15

참고문헌 16

〈그림 1〉 경제위기 전후 세계 교역탄성치 2

〈그림 2〉 세계 GDP 및 교역 구성비 3

〈그림 3〉 세계 GDP 및 교역 증가율 표준편차 3

〈그림 4〉 세계교역 서비스업 구성비 3

〈그림 5〉 세계 교역탄성치 3

〈그림 6〉 지정학적 근접성별 상품교역 추이 4

〈그림 7〉 글로벌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 4

〈그림 8〉 EPU 충격에 따른 세계교역의 반응 4

〈그림 9〉 주요국 정책금리 추이 5

〈그림 10〉 미국 석유제품 순수출 5

〈그림 11〉 국제유가와 달러화 지수 5

〈그림 12〉 세계 상품 및 서비스 교역 증가율 차이 5

〈그림 13〉 글로벌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5

〈그림 14〉 세계교역 동인의 역사적 분해 6

〈그림 15〉 미국 재화-서비스 소비 순환 7

〈그림 16〉 세계성장과 상품교역 7

〈그림 17〉 달러화 지수 전망 7

〈그림 18〉 반도체 경기 8

〈그림 19〉 모바일 기기 IT 수요 8

〈그림 20〉 글로벌 투자 전망 8

〈그림 21〉 글로벌 수입수요 증가율 9

〈그림 22〉 우리수출과 글로벌 수입수요 간 상관관계 9

〈그림 23〉 우리나라, 대만, 베트남 수출 9

〈그림 24〉 대만 및 베트남 경제 전망 9

〈그림 25〉 지역무역협정 누적 건수 10

〈그림 26〉 국제기구 교역탄성치 전망 10

〈그림 27〉 중국 중간재 교역 비중 11

〈그림 28〉 중국 산업별 생산 비중 11

〈그림 29〉 미국의 국가별 수입 비중 11

〈그림 30〉 세계 서비스 및 디지털서비스 수출액 11

〈그림 31〉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투자 규모 12

〈그림 32〉 국가별 4차산업혁명 인력경쟁력 12

〈그림 33〉 주요국 에너지ㆍ자원분야 기술 수준 12

해시태그

#세계무역 #국제무역 #교역량 #국제통상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