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1. 들어가며 4
2. 아세안의 CSP 관계 현황 6
가. 호주 6
나. 중국 10
다. 인도 11
라. 미국 13
마. 일본 15
3. 한국의 대아세안 CSP 추진 배경 17
가. 글로벌 질서 변화 속, 한-아세안 협력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한 외교적 노력 17
나. 인도태평양 시대, 아세안을 한국 외교의 중심축으로 포지셔닝 18
4. 한-아세안 CSP 격상의 의미 20
가. 한-아세안 협력 강화를 통한 글로벌 중추 국가 도약의 중대한 기틀 마련 20
나. 상대적으로 호혜적ㆍ이익균등적인 한-아세안 관계 반영 21
다. CSP 격상을 통한 아세안과의 포괄적 전략 협력 시대로의 본격적 견인 21
5. 정책적 고려사항 23
가. 한-아세안 CSP, 차별화된 비전 내러티브로 새로운 역동성 보여줘야 23
나. 한-아세안 CSP 심화를 위해 양자 협력을 넘어 글로벌 사우스로의 확장 검토 필요 24
다. 한-아세안 CSP 협력, 전략ㆍ안보 협력 확대로 완성도 강화 필요 24
라. 향후 CSP 협력의 시너지 창출을 위한 국제 공조 확대 모색 25
마. 한-아세안 CSP 고도화를 위한 포괄적 교류 네트워크 확대 25
판권기 2
〈표 1〉 아세안 주요국의 무기 공급국, 2019-2023(수입 총액 대비 비율 %) 19
〈그림 1〉 경제적 영향력 19
〈그림 2〉 전략적 영향력 19
〈그림 3〉 대안적 파트너 19
〈그림 4〉 대화상대국 선호 순위 19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격상 의미와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