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Ⅰ. 서론 3
1. 데이터 공유와 활용의 중요성 4
2. 보고서의 목적과 구성 7
Ⅱ.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통한 산업 혁신 사례연구 8
1. 보건의료분야에서의 데이터 활용 / 정집민 9
2.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 밸류체인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 / 천승훈 20
3. 기상ㆍ기후 데이터의 융복합 활용 가치 및 전략 / 방철한 28
4. 산림산업의 디지털전환 및 미래가치로의 전환 / 전성기 40
Ⅲ. 종합 59
1. 분야별 기술 및 정책 도입 현황 요약 60
2. 데이터 공유를 통한 기대효과 및 전망 62
참고문헌 65
판권기 67
[표 1-1] 보건의료분야 활성화 정책 및 관련 서비스 운영 현황 9
[표 1-2] 주요국 건강보험 데이터 제공 현황 10
[표 1-3] 주요국 보건의료데이터 연계서비스 현황 11
[표 1-4] 주요국 보건의료데이터 통합 서비스 현황 13
[표 1-5] EHDS Proposal 요약 13
[표 1-6] EHDS 2차활용 프로젝트 15
[표 1-7-가] 보건의료데이터 빅데이터 활용 가능 데이터셋 현황 16
[표 1-7-나] 보건의료데이터 데이터 제공 연도 17
[표 2-1] 혁신 사례 ➁ 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DRT) 도시부 운영 내용 23
[그림 1-1] 보건의료데이터 공공 및 의료기관의 분절화된 데이터 17
[그림 1-2] K-CURE 데이터서비스 개념도 18
[그림 2-1] 서비스 밸류체인 기반 통합형 서비스 예시 21
[그림 2-2] 혁신 사례 ➀ 서울시 올빼미 버스 22
[그림 2-3] 혁신 사례 ➂ 주차 플랫폼 연동 서비스(카카오T) 24
[그림 2-4] 혁신 사례 ➃ 재난 정보 연계 내비게이션 25
[그림 2-5] 혁신 사례 ➄ 코레일 MaaS 26
[그림 3-1] 기상청 API 허브 29
[그림 3-2] 농업기상 데이터분석 및 활용사례 32
[그림 3-3] 도시기상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사례 33
[그림 3-4] 재해 대응 기상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사례 34
[그림 3-5] 재해대응 기상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사례 35
[그림 3-6] 알파웨더를 통한 기상예보생산 과정 38
[그림 4-1] 치산녹화 성공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평가 40
[그림 4-2] 국립산림과학원, 2020년 산림의 공익기능 평가 41
[그림 4-3] 산림빅데이터 플랫폼 42
[그림 4-4] 산림분야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핵심 데이터 생산 확대 42
[그림 4-5] 산림과 지방소멸의 연관성 43
[그림 4-6] 산촌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한금융그룹 협업 사례 46
[그림 4-7] AI기반 병해충 탐지와 확산예측 솔루션 구축 47
[그림 4-8]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48
[그림 4-9] 스마트 양봉 서비스에 표기되는 산림 데이터 49
[그림 4-10] 지구 연평균 기온 편차 시계열 50
[그림 4-11] 탄소배출권 선물 시세 추이 51
[그림 4-12] EU 탄소국경조정제도 52
[그림 4-13] 세계 생산 지도 53
[그림 4-14] 플랜테이션 농업을 통한 산림탄소 흡수 54
[그림 4-15] 탄소 크레딧 55
[그림 4-16] 자발적 탄소시장(프로젝트 시장) 56
[그림 4-17] 산림탄소상쇄제도 56
[그림 4-18] 산림탄소활용 기후 변화산업 생태계 5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통한 산업 혁신 사례연구.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