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자유민주주의 통일교육의 내용과 체계

목차

표제지 1

목차 5

요약 10

Abstract 12

Ⅰ. 서론 14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5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18

Ⅱ.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운영현황 21

1. 한국의 통일정책 변화와 통일교육 등장 22

가. 1970년대 전후 통일정책 변화 22

나. 통일교육 등장 26

다. 「통일교육 지원법」 입법근거 및 주요 내용 27

2. 통일교육 변천과정 30

가. 1970년대~2000년대: 통일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변화 30

나. 2010년대~현재: 통일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변화 37

다. 2016년 이후: 광역 시ㆍ도 교육청 통일교육 관련 법ㆍ제도 현황 49

3. 통일교육 운영과정 52

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 운영계획 현황 52

나. 통일교육 전문강사 양성과정 현황 58

다. 학교ㆍ사회 통일교육지원 현황 61

4. 통일교육 운영실태 64

가. 통일ㆍ북한 정보 획득과 통일교육 자료활용의 문제 65

나. 통일교육 내용체계의 문제 68

다. 통일교육 교수방법의 문제 75

Ⅲ. 민주시민교육에서 통일교육: 해외 민주시민교육의 시사점 79

1. 독일 민주시민교육(정치교육)의 시사점 82

가. 통일교육을 포함한 독일 민주시민교육 82

나. 독일 민주시민교육이 한국의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 88

2. 프랑스 민주시민교육의 시사점 92

가. 공교육 중심의 도덕교육 92

나. 프랑스 민주시민교육이 한국의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 95

3. 스웨덴 민주시민교육의 시사점 97

가. 소외된 계층에 대한 교육 97

나. 스웨덴 민주시민교육이 한국의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 103

4. 미국 민주시민교육의 시사점 106

가. 실천 중심의 시민교육: 봉사학습(Service Learning) 106

나. 미국 민주시민교육이 한국의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 111

5. 영국 민주시민교육의 시사점 114

가. 세계시민교육 114

나. 영국 민주시민교육이 한국의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 119

Ⅳ. 자유민주주의 통일교육: 개념, 내용, 체계 125

1. 자유민주주의 통일교육이란 무엇인가? 126

가. 자유민주주의 개념과 한국적 맥락 126

나. 자유민주적 가치와 통일교육 144

2. 자유민주주의 통일교육과 국가정체성 153

가. 왜 자유민주주의 통일교육인가? 154

나. 자유민주주의와 대한민국 국가정체성 157

다. 국가정체성으로서의 자유민주주의와 통일교육 164

Ⅴ. 결론 178

참고문헌 184

최근 발간자료 안내 198

판권기 3

표 Ⅱ-1. 1970년대 전후 한국의 통일방안 비교 24

표 Ⅱ-2. 정부별 통일ㆍ대북정책과 추진 내용 25

표 Ⅱ-3. 2000~2004년간 '통일교육 기본지침서' 내용체계 35

표 Ⅱ-4. 2005~2012년간 '통일교육 지침서' 내용체계 36

표 Ⅱ-5. 이명박 정부 통일교육 목표 및 추진방향 38

표 Ⅱ-6. 2013년 '통일교육 지침서' 내용체계 40

표 Ⅱ-7. 박근혜 정부 통일교육 목표 및 추진방향 41

표 Ⅱ-8. 2014, 2016년 '통일교육 지침서' 내용체계 42

표 Ⅱ-9. 문재인 정부 통일교육 목표 및 추진방향 43

표 Ⅱ-10. 2018년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 내용체계 46

표 Ⅱ-11. 윤석열 정부 통일교육 목표 및 추진방향 47

표 Ⅱ-12. 2023년 '통일교육 기본방향' 내용체계 49

표 Ⅱ-13. 17개 광역 시ㆍ도 교육청 통일교육 조례 50

표 Ⅱ-14. 2021/2023년 통일교육 운영방향 비교 53

표 Ⅱ-15.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 전문강사 양성과정 60

표 Ⅱ-16. 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 전문강사 양성현황 60

표 Ⅱ-17. 국립통일교육원 초중고생 통일교육 프로그램 61

표 Ⅱ-18. 국립통일교육원 대학생 통일교육 프로그램 62

표 Ⅱ-19. 2015/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도덕과 통일교육 내용체계 비교 68

표 Ⅱ-20. 2022 개정 교육과정 초ㆍ중등 통일교육 내용 및 성취기준 69

표 Ⅲ-1. 해외 시민교육의 특징 80

표 Ⅲ-2. 독일 통일교육이 주는 시사점 88

표 Ⅲ-3. 스웨덴 교육법 내용체계 98

표 Ⅲ-4. 2017년 유럽 국가의 반이민자ㆍ소수민족 태도 지수 101

표 Ⅲ-5. 스웨덴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이 주는 시사점 103

표 Ⅲ-6. 체험ㆍ봉사형 통일교육 111

표 Ⅲ-7. 영국 옥스팜의 세계시민의 핵심 자질 117

표 Ⅲ-8. 영국 세계시민교육의 '지식', '기술', '태도'가 주는 시사점 119

표 Ⅲ-9. 통일교육 해외 확산 방안 123

표 Ⅳ-1. 민주화 이후 대통령별 '자유민주주의'와 '민주주의'가 언급된 연설의 비율 129

표 Ⅳ-2. 윤석열 정부 주요 기념사와 핵심 내용 167

그림 Ⅱ-1. 2019년 통일교육 거버넌스 추진체계 45

그림 Ⅱ-2. 2023년 통일교육 거버넌스 추진체계 48

그림 Ⅱ-3. 전국통일관 현황 63

그림 Ⅱ-4. 지역통일교육센터 현황 64

그림 Ⅱ-5. 학생들의 통일, 북한 등 관련 정보 얻는 경로 66

그림 Ⅱ-6. 교사들의 통일, 북한 등 관련 정보 얻는 경로 66

그림 Ⅱ-7. 교사들의 통일교육 실행의 어려움 67

그림 Ⅱ-8. 학생들이 학습한 통일교육 내용 70

그림 Ⅱ-9. 학생들이 향후 배우고 싶은 통일교육 내용 71

그림 Ⅱ-10. 교사들이 지도한 통일교육 내용 72

그림 Ⅱ-11. 교사들이 생각하는 통일교육의 중요한 내용 72

그림 Ⅱ-12. 교사들이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중요하게 가르친 내용 73

그림 Ⅱ-13. 교사들이 최근 1년간 통일교육 실시한 시간 74

그림 Ⅱ-14.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통일교육 실시한 시간 74

그림 Ⅱ-15. 학생들이 받았던 통일교육 교육방법 75

그림 Ⅱ-16. 교사들이 활용했던 통일교육 교수방법 76

그림 Ⅱ-17. 학생들이 선호하는 통일교육 교육방법 77

그림 Ⅱ-18. 교사들이 생각하는 효과적일 것 같은 교수방법 77

그림 Ⅳ-1. 자유민주주의와 헌법에 기반한 정부 158

그림 Ⅳ-2. 8.15 통일 독트린 체계도 170

그림 Ⅳ-3. 한반도 통일을 위한 글로벌 구상 체계도 173

해시태그

#자유민주주의 # 통일교육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자유민주주의 통일교육의 내용과 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