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미국의 개발협력은 급격한 변화에 직면하였다.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의 예산 삭감으로 개도국, 국제기구, 시민사회 등 주요 파트너에 대한 지원이 대폭 축소되었고, 원조이행기관인 국제개발처(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의 해체가 시작되었다. 이미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지속적인 원조 예산 삭감 시도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유엔인구기금(UN Population Fund, UNFPA) 등 일부 국제기구에 대한 지원중단이 있었던 만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 원조 축소는 예견된 바였으나, 예상보다 더 빠른 속도와 규모로 미국 개발협력이 변화하고 있다.
미국은 전체 OECD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회원국 원조의 약 1/3을 제공해온 최대 공여국인 만큼, 미국 개발협력 축소의 파급효과는 미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글은 미국 개발협력을 둘러싼 변화를 살펴보고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출처: 외교안보연구소)
미국은 전체 OECD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회원국 원조의 약 1/3을 제공해온 최대 공여국인 만큼, 미국 개발협력 축소의 파급효과는 미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글은 미국 개발협력을 둘러싼 변화를 살펴보고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출처: 외교안보연구소)
목차
목차 1
1. 서론 1
2. 미국 개발협력의 변화: 현황 및 특징 1
3. 미국 개발협력 정책변화의 영향 및 전망 4
4. 한국 개발협력에의 시사점 6
[첨부 1] 미국 개발협력 관련 타임라인 (2025.4.14. 기준) 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개발협력 정책변화와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