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How Global Governance Can Survive : With the Right Reforms, the G-7 Can Sustain the Rules-Based Order
(글로벌 거버넌스의 생존 전략 : 올바른 개혁을 통한 G7의 규범 기반 질서 유지 방안)

□ 미국 전문가들이 G7 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 및 호주로의 회원국 확대 필요성을 주장
   ㅇ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존 햄리 소장, 빅터 차 한국석좌, 프린스턴대 존 아이켄베리 석좌교수가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
(Foreign Affairs) 기고문에서 주장함
   ㅇG7에 가입하기 위한 대열 앞에 호주와 한국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함

□ 호주와 한국은 G7 신규 회원 자격 기준을 분명히 충족하며 여러 강점을 보유함
   ㅇG7 대표들은 신규 회원이 국제 경제의 책임 있는 관리자로서의 능력과 의지가 있어야 하며, 기존 회원들의 신뢰를 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가짐
   ㅇ호주는 미국을 제외한 모든 G7 국가보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크고 민주주의 국가 중 세계 12번째로 큰 경제 규모이며, 1차 세계 대전 이후 모든 주요 전쟁에서 민주주의와 규범 기반 질서 편에서 싸워왔음
   ㅇ한국은 기술 및 문화 강국이며, G7 회원이 아닌 민주주의 산업국 중 인도와 브라질을 제외하면 가장 큰 경제를 가짐
   ㅇ한국은 우크라이나에 경제 지원 및 간접적인 군사 지원을 제공한 주요 국가이며, 서방과 중국의 반도체 기술 경쟁에서 미국, 일본과 함께 서방의 우위를 지키는 데 대단히 중요한 국가라고 평가함

□ 호주와 한국의 G7 합류는 지역 대표성 강화 및 국제 질서 유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ㅇ현재 G7 회원국은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7개국으로 유럽 국가나 기관이 9석 중 6석을 차지하며, 아시아 전체는 일본 한 국가만 대표하고 개발도상국 대표는 없음
   ㅇ호주와 한국을 G7에 추가하면 더 넓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대표성을 강화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의 이해관계에 더 강력한 목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함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G7 확대에 관심을 가질 여지가 있다고 평가됨
   ㅇG7 확대와 개혁은 동맹국들이 세계 질서 유지 비용을 더 부담하게 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와도 부합
   ㅇ트럼프 대통령은 인도태평양 국가들을 새 회원으로 받아들여 유럽 국가들의 영향력을 희석하기를 원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호주와 한국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G7 가입을 빚지게 될 것이라고 관측함



 
[출처] 美전문가 'G7 강화 위해 한국·호주로 회원 자격 확대해야' (2025.06.12.) / 연합뉴스
 

해시태그

#G7 # 국제정세 # 한국G7합류 # G7회원국확대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How Global Governance Can Survive : With the Right Reforms, the G-7 Can Sustain the Rules-Based Order

(글로벌 거버넌스의 생존 전략 : 올바른 개혁을 통한 G7의 규범 기반 질서 유지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