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1
한일관계 '뉴노멀(New Normal)'의 배경들 2
1.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 변화와 새로운 구도의 한일관계 2
2. 한일 상호인식의 변화: 젊은 세대(20, 30대)가 견인하는 양국의 높은 상호 호감 5
(1) (한국) 비호감 일변도(一邊倒)의 균열, (일본) 비호감을 넘은 전반적인 한국에 대한 호감 5
(2) 상호 호감도의 상승을 이끌고 있는 양국 젊은 세대 9
한일관계의 진정한 '뉴 노멀(New Normal)'을 향해: 국익에 기반한 실용적 대일외교를 위한 정책 제언 11
1. 새로운 구도의 한일관계와 한일 협력의 의의 11
2. '실용'과 '신뢰'에 기반한 대일외교의 방향 13
[표 1] 한국과 G7의 분야별 지표 비교 3
[표 2] 2020~2025년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호감 및 비호감 비율 6
[그림 1] 한국과 일본의 1인당 GDP 변화 4
[그림 2] 한국과 일본의 상호 수출입 비중 변화 4
[그림 3]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호감 및 비호감 비율 변화 6
[그림 4]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호감(위) 및 비호감 비율(아래) 변화(상세) 7
[그림 5]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친근감 비율 변화 8
[그림 6]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친근감 비율 변화(1978~2024) 9
[그림 7] 연령에 따른 한국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 응답 9
[그림 8] 연령에 따른 일본의 한국에 대한 긍정 인식 10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이재명 정부의 실용적 대일외교를 위한 제언 : 한일관계의 '뉴노멀(New Normal)'을 향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