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3
연구요약 8
Ⅰ. 서론 15
1. 연구 배경 및 목적 16
2. 연구 방법 20
1) 연구 기간 20
2) 연구 범위 및 대상 20
3) 자료 수집 및 분석 20
3. 연구 추진 체계 24
Ⅱ. 이론적 배경 25
1. 사회정서역량 구성요소와 연령별 발달 개요 26
1) 사회정서역량 구성요소의 개념과 발달에 대한 이론적 정립 26
2) 사회정서역량 구성요소별 개념 및 발달 특성 28
2. AI시대 주요 사회적 변화 69
1) 오감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맥락 해석이 가능한 멀티모달(옴니모달) AI 69
2) 생활의 동반자가 될 챗봇과 사물에 지능을 더한 AIoT 70
3) 스토리와 페르소나가 있는 AI 캐릭터의 감정적 지원 71
4) 메타버스 세계관 몰입도 증가, 디지털 디톡스 능력 및 디지털 정체성 73
5) AI를 길들이는 파인튜닝(Fine-tuning) 기술 74
6) AI 안전성과 윤리적 위험성, 책임성 대두 75
7) 노동 시장과 인간-AI 협업 방식의 변화 76
8)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의 심화 77
9) 언어ㆍ문화적 경계 약화 77
10) 스크린 타임의 증가 78
3. AI시대 사회정서역량 발달의 쟁점 80
4. 소결 83
1) 아동기 사회정서역량의 발달 특성과 지원 필요성 83
2) AI시대의 사회적 변화와 아동 발달 환경의 재편 83
3) 사회정서역량과 AI시대 사회적 변화의 통합적 접근 필요성 84
4) 전문가 델파이 조사의 방향 제시 84
Ⅲ. AI시대 아동에게 요구되는 사회정서역량과 지원 방안 85
1. 전문가 조사 개요 86
1) 응답자 특성 86
2) 조사지 내용 구성 87
3) 자료수집 및 통계처리 90
2. 조사 결과 분석 91
1) AI시대에 요구되는 아동의 사회정서역량 91
2) AI시대 주요 변화요소가 아동의 사회정서역량 발달에 미칠 영향 97
3) AI시대 아동기 사회정서역량 발달 지원을 위한 방안 106
3. 결과 종합 및 시사점 116
1) AI시대 사회정서역량의 핵심: 관계 중심성과 인간 고유 가치의 부상 116
2) 초등 저학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 116
3) AI시대 변화요소의 복합적 영향과 위험 관리의 중요성 117
4) 통합적 지원 체계: 인간 중심 경험의 우선순위화 117
5) 소결 118
Ⅳ. 아동기 사회정서역량 지원을 위한 정책 제언 119
1. 연구 결과 종합 및 정책 제언 방향 120
1) 이론적 검토와 전문가 조사 결과의 종합 120
2) 정책 제언의 방향 설정 121
2. 정책 제언의 기본 원칙과 영역 설계 122
1) 기본 원칙 122
2) 정책 영역 설계 123
3) 영역별 지원 방향 127
3. 물리적ㆍ인적 기반 조성 131
1) 아동 생활권 내 자유놀이 공간 구축 131
2) 아동 놀이 및 사회정서 지원 인력 양성 및 배치 134
4. 사회적 생태계 구축 137
1) 아동친화동네 문화 조성 137
2) 양육자 간 사회관계망 형성 촉진 139
5.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142
6. 보호 및 안전망 구축 147
7. 결론 150
참고문헌 151
Abstract 158
[부록 1] 1차 델파이 조사지 161
[부록 2] 2차 델파이 조사지 181
판권기 199
표 Ⅰ-1. 사회정서역량 발달 문헌 고찰 개요 21
표 Ⅰ-2. 전문가 면접조사 개요 21
표 Ⅰ-3. 델파이 조사 개요 22
표 Ⅰ-4. 실무자 자문 개요 23
표 Ⅰ-5. 연구 추진 체계 24
표 Ⅱ-1. 사회정서역량의 구성요소 27
표 Ⅱ-2. 「자기인식」의 세부요소별 발달 수준 36
표 Ⅱ-3. 「자기관리」의 세부요소별 발달 수준 44
표 Ⅱ-4. 「관계인식」의 세부요소별 발달 수준 50
표 Ⅱ-5. 「관계관리」의 세부요소별 발달 수준 57
표 Ⅱ-6. 「공동체성」의 세부요소별 발달 수준 67
표 Ⅱ-7. AI시대 주요 사회적 변화와 사회정서역량 관련 쟁점 81
표 Ⅲ-1. 델파이 조사 응답자 특성 87
표 Ⅲ-2. AI시대 아동 사회정서역량 발달에 PEO 모델 적용 88
표 Ⅲ-3. 델파이 조사 문항 구성 내용 89
표 Ⅲ-4. 델파이 지표 개요 90
표 Ⅲ-5. AI시대 중요성이 증가하는 사회정서역량 요소와 발달 지원 필요성 분석 결과표 92
표 Ⅲ-6. AI시대 새롭게 요구되는 사회정서역량 요소와 발달 지원 필요성 분석 결과표 94
표 Ⅲ-7. AI시대 변화요소가 사회정서역량에 미칠 영향 분석 결과표 99
표 Ⅲ-8. AI시대 초등 저학년 아동의 사회정서역량 발달의 기회요소 분석 결과표 102
표 Ⅲ-9. AI시대 초등 저학년 아동의 사회정서역량 발달의 위험요소 분석 결과표 104
표 Ⅲ-10. 개인(P) - 근본적 지원 방안 분석 결과표 107
표 Ⅲ-11. 개인(P) - AI시대 대응 역량 지원 방안 분석 결과표 108
표 Ⅲ-12. 환경(E) - 근본적 지원 방안 분석 결과표 109
표 Ⅲ-13. 환경(E) - AI시대 디지털 환경 지원 방안 분석 결과표 111
표 Ⅲ-14. 작업(O) - 근본적 지원 방안 분석 결과표 112
표 Ⅲ-15. 작업(O) - AI시대 디지털 활동 지원 방안 분석 결과표 114
표 Ⅳ-1/표 Ⅵ-1. 영역별 주요 정책 및 세부 과제 129
표 Ⅳ-2/표 Ⅵ-2. 물리적ㆍ인적 기반 조성 정책 과제 131
표 Ⅳ-3/표 Ⅵ-3. '서울형 동네 놀이터' 놀이 재료 모듈화 예시 132
표 Ⅳ-4/표 Ⅵ-4. 놀이터 기반 사회정서역량 프로그램 예시 136
표 Ⅳ-5/표 Ⅵ-5. 사회적 생태계 구축 정책 과제 137
표 Ⅳ-6/표 Ⅵ-6.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정책 과제 142
표 Ⅳ-7/표 Ⅵ-7. 「AI와 함께 자라는 마음」 프로그램 활동 예시 143
표 Ⅳ-8/표 Ⅵ-8.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과제 예시 144
표 Ⅳ-9/표 Ⅵ-9. AI기술 활용 디지털 균형잡기 가족 프로젝트 예시 145
표 Ⅳ-10/표 Ⅵ-10. 보호 및 안전망 구축 정책 과제 147
그림 Ⅰ-1. 사회정서역량 지원의 유형 18
그림 Ⅳ-1/그림 Ⅵ-1. 정책 제언의 기본 원칙 122
그림 Ⅳ-2/그림 Ⅵ-2. PEO 분석 내용과 4대 정책 영역 간 연결 124
그림 Ⅳ-3/그림 Ⅵ-3. 영역별 정책 지원 방향 127
그림 Ⅳ-4/그림 Ⅵ-4. 영국 피넛(Peanut) 앱 화면 예시 140
해시태그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AI시대, 아동기 사회정서역량 발달의 쟁점과 대응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