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신규 개정된 ‘러시아연방 대외정책개념’에서는 서방과의 대결 구도 속에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와의 협력을 강조하고 있음
- 러시아는 신흥 협력의 축으로서 동남아에 대한 진출 확대를 푸틴 집권 5기 새로운 대외정책 과제로 실행함
- 러시아는 러․우 전쟁으로부터 주의를 분산시키고 역내 존재감을 확대하는 한편, 향후 인도-태평양 국가로 인식될 기반을 조성함
□ 러시아는 동남아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동남아 진출을 확대함
- [전략적 차원]: 다극화 촉진을 위한 ‘글로벌 사우스’의 핵심 지역
- [실용적 차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수출 대체시장
- 동남아 주요국과의 연대 강화를 위해 정상외교를 적극 추진하고, 러시아 주도의 다자협의체 내 참여를 독려함
- 미얀마 내전에 개입하여 역내 입지를 확대하고, 동남아 전력난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외교를 강화함
□ 아세안 회원국들은 러시아를 주요 헤징 옵션이 아닌 추가적이지만 보조적인 헤징 옵션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주로 에너지 및 무기 공급국으로 주목함
-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대러제재에 동참한 국가는 없으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도 러시아에 대한 위협인식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
□ 러시아의 역내 관여 확대에 대한 입장 차이가 더해지며 아세안의 내적 단결과 외적 중심성 약화라는 이중고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됨
- 미얀마 군부에 대한 러시아의 군사 및 에너지 지원으로 미얀마 내전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동남아 에너지 전환의 핵심축으로 원자력 에너지가 부상할 것임
□ 미얀마의 인도적 위기가 장기화할 것에 대해 대비해 대미얀마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재개를 검토할 필요가 있음
- 한-아세안 원자력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고 동남아 원전 수출 전략을 수립하여 한국형 원전 수출 기반을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음
목차
Contents 1
Introduction 1
Russia's Broadening Engagement in Southeast Asia 2
1. Background: Strategic Reassessment of Southeast Asia 2
2. Means of Engagement 2
Southeast Asia's Perceptions and Responses 4
1. Strategic Perception 4
2. Country-Specific Responses and Key Issues 7
Regional Impact and Policy Implications 9
1. Regional Impact 9
2. Policy Recommendations 10
Tables 3
Table 1. Summit-Level Diplomatic Engagements between Russia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Following the Russo-Ukrainian War (As of June 2025) 3
Table 2. ASEAN Member States' Votes on Key UN General Assembly Resolutions Concerning the Russo-Ukrainian War (2022-2025) 5
Table 3. Survey Results on Geopolitical Concerns in 2025 (Three Responses Allowed Per Respondent) 6
Table 4. ASEAN Member States' Perceptions of the Strategic Importance of Dialogue Partners (2025) 7
Figures 6
Figure 1. ASEAN's Perception of the Strategic Importance of Dialogue Partners (202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