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대북지원 다각화 : 다자협력을 중심으로

목차

표제지 1

목차 2

요약 3

Ⅰ. 서론 4

Ⅱ. 다자기구의 협력국 지원 방식 6

1. 유엔기구의 펀드 유형 7

2. MDB의 펀드 유형 12

3. 유엔 펀드와 MDB 펀드의 비교 16

Ⅲ. 다자기구의 대북지원 분석 20

1. 시기별 다자기구 대북지원 20

2. 다지지원의 성과와 한계 26

1) 다자지원의 성과 26

2) 기존 다자지원의 한계점 28

Ⅳ. 결론: 다자채널 다변화를 통한 대북지원 방안 모색 29

1. 남북협력의 다각화 필요와 다자기구 활용 29

2. 상황별ㆍ단계별 지원 유형 선택 30

참고문헌 33

[부록 1] 개별 다자기구의 대북지원 현황 2002년-2023년 35

[표 1] 유엔기구 펀드 특징 비교 7

[표 2] MDB 펀드 특징 비교 12

[표 3] MDB 혁신적 개발재원 펀드 사례 15

[표 4] MDB 특수목적기금 사례 16

[표 5] 유엔기구 vs MDB 펀드 운용 방식 비교 18

[표 6] 다자기구 대북지원의 시기별 특징 25

[그림 1] 주요 공여국의 UN 지원 구성(2022) 9

[그림 2] 다자 vs 양자 지원규모 20

[그림 3] 다자기구의 대북지원 현황(1993-2001) 22

[그림 4] 다자기구의 대북지원 현황(2002-2023) 23

해시태그

#대북지원 # 남북관계 # 다자협력 # 북한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대북지원 다각화 : 다자협력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