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국방 공급망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 제언: 국내외 위험관리 동향 분석과 우리 군 도입 방안을 중심으로

공급망은 지정학적 긴장 및 자국 중심주의가 고조되면서 국가 차원의 경제안보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25년 공급망 3법과 안정화 기본계획(2025~2027)을 시행하면서 대응하고 있다. 특히 국방 공급망은 경제안보뿐 아니라 군사안보 측면의 특수성과 복잡성을 내포한다. 한편 미국은 국방 분야를 우선으로 공급망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2020년 전후부터 최근까지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중점으로 정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2025년에도 6월에 공급망 위험관리(SCRM) 지침을 제정하여 공개했다. 국방 공급망은 군에 필요한 군수품을 원활하게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투준비태세 및 지속지원에 필수적이다. 아직 우리 군은 공급망 관리를 효율성 위주로 강조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회복탄력성 강화에 더 큰 중점을 두어 위험 발생에 대비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 정부와 미국군의 공급망 위험관리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 군이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발전전략을 ① 공급망 관측 및 위험요인 식별, ② 위험 완화 방안 마련, ③ 위험 평가 및 대응 결정, ④ 대응 조치 이행 및 모니터링으로 단계를 구분해 제언하고자 한다.



(출처: 한국국방연구원(KIDA))

해시태그

#국방공급망 # 공급망위험관리 # 경제안보 # 군사안보 # 회복탄력성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국방 공급망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 제언: 국내외 위험관리 동향 분석과 우리 군 도입 방안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