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5
요약 9
Ⅰ. 서론 / 한동호 11
Ⅱ. 통일환경의 변화와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미래: 미중 전략경쟁을 중심으로 / 정성철 15
1. 21세기 탈(脫)단극시대의 도래와 전망 16
가. 단극시대의 도래와 9ㆍ11 테러 16
나. 글로벌 금융위기와 미국의 쇠퇴 19
다. 소결 25
2. 미중 전략경쟁과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미래 25
가. 미중 세력전이, 동맹전이, 질서전이 25
나. 트럼프 행정부의 귀환과 미국 주도 질서 29
다.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과제와 도전 31
라. 소결 33
3. 미중 생태경쟁과 동아시아 국제정치의 미래 33
가. 국제정치에서 세계정치로 33
나. 세계정치의 무대: 체제, 사회, 생태 35
다. 미중 생태경쟁과 동아시아 39
라. 소결 40
Ⅲ. 국가건설의 패러다임으로 본 한반도 통일전략 / 고용준 42
1. 국가건설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고찰 43
가. 근세 유럽대륙의 근대국가 탄생 (Early-modern State-building) 44
나. 제3세계에서의 탈식민 국가건설 (Post-colonial State-building) 45
다. 분쟁 이후 국제적 국가건설 (Post-conflict State-building) 47
라. 통합적 분석틀: 국가조직ㆍ사회세력ㆍ정치리더십ㆍ국제사회 48
2. 국가건설 패러다임의 역사적 적용: 대한민국과 남베트남의 국가건설 50
가. 대한민국의 초기 국가건설: 해방부터 6ㆍ25 전쟁 발발까지 50
나. 남베트남 제1공화국(1954~63년)의 국가건설과 실패 55
3. 한반도 통일전략구상과 국가건설 패러다임 62
가. 통일국가 건설과정의 다양한 행위자들에 대한 이해 62
나. 통일국가 건설을 대비한 정치리더십 육성 64
다. '국민형성' 패러다임의 도입을 통한 통일 한반도의 국민정체성 방향 검토 66
라. 미래세대의 행복과 번영을 위한 통일 관념 67
Ⅳ. 한반도 통일전략구상 / 한동호 70
1. 광복 80주년과 대한민국 통일전략구상 72
2. 대한민국 국가정체성과 통일전략구상 78
3. 행복과 번영의 통일전략구상 85
Ⅴ. 결론 / 한동호 94
참고문헌 97
최근 발간자료 안내 109
판권기 3
〈표 Ⅱ-1〉 체제접근, 사회접근, 생태접근 38
〈표 Ⅲ-1〉 국가건설 패러다임의 세 연구경향 49
〈표 Ⅳ-1〉 한국인의 목표와 열망 (총 10개 조항) 88
〈그림 Ⅳ-1〉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여론의 변화: 2014~2024 72
〈그림 Ⅳ-2〉 남북한 합계출산율 하락 추세와 전망 77
〈그림 Ⅳ-3〉 글로벌 통일구상 81
〈그림 Ⅳ-4〉 남북한 통일의 당위성 82
〈그림 Ⅳ-5〉 남북한 통일의 이유 84
〈그림 Ⅳ-6〉 통일 추진 핵심 가치 84
〈그림 Ⅳ-7〉 행복과 번영의 통일전략구상 85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한반도 통일전략구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