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초·중고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성화 방안

목차

표제지

목차

I. 배경 및 목적 6

배경 6

목적 6

II.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과 교과 교육과정 간 연계 7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 내용 설정 7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 내용과 교과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 분석 7

III.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 실태 10

학교교육계획 및 학교 특색 프로그램을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 실태 11

교과 수업을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 실태 11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 12

IV.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13

정책 제언 1.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 보장을 위한 제도적 지원 14

정책 제언 2.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력 제고를 위한 기관 간 협력 체제 강화 15

정책 제언 3.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 확대를 위한 인적 역량 강화 지원 17

정책 제언 4.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효과 제고를 위한 다양한 교육자료 지원 19

정책 제언 5.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체계화 및 지속성 확보를 위한 정책 연구 추진 20

참고문헌 21

판권기 2

〈표 1〉 설문 구성 및 문항 내용(배주경 외, 2022b: 130 수정) 10

[그림 1]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별 종합 분석: Ⅰ 지속가능한 현재와 미래(배주경 외, 2022b: 84) 8

[그림 2]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별 종합 분석: Ⅱ 지속가능한 환경과 시민 생활(배주경 외, 2022b: 85) 8

[그림 3]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별 종합 분석: Ⅲ 지속가능한 사회와 시민 생활(배주경 외, 2022b: 86) 9

[그림 4]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별 종합 분석: Ⅳ 지속가능한 경제와 시민 생활(배주경 외, 2022b: 87) 9

[그림 5]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배주경 외, 2022a: 17) 12

[그림 6] 초ㆍ중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개요(배주경 외, 2022b: 195) 13

[그림 7] 교육부를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업무 담당자 간 상시 협력 체제 운영(배주경 외, 2022b: 211) 16

[그림 8] 교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수 역량 확보를 위한 교육 지원 방안(배주경 외, 2022b: 219) 18

해시태그

#교육과정 # 환경교육 # 인권보호 # 문화다양성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초·중고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활성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