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SUMMARY 10
Ⅰ. 서론 3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2
1.1. 연구의 필요성 32
1.2. 연구의 목적 34
2. 연구내용과 범위 36
2.1. 연구 범위 36
2.2. 연구 목차 36
2.3. 연구 내용 36
3. 추진전략 및 방법 42
3.1. 추진전략 42
3.2. 추진 방법 43
4.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44
Ⅱ. 주요 국가별 연구윤리 제도 및 조직 현황 조사 46
1. 주요 국가별 연구윤리 제도와 조직 현황 조사 47
1.1. 미국 47
1.2. 캐나다 60
1.3. 일본 65
1.4. 싱가포르 71
1.5. 호주 77
1.6. 영국 83
1.7. 프랑스 94
1.8/1.5. 독일 100
1.9. 스위스 107
1.10. 덴마크 117
1.11. 노르웨이 126
1.12. 스웨덴 133
1.13. 네덜란드 140
1.14. 아일랜드 148
1.15. 크로아티아 153
1.16. 에스토니아 158
1.17. 스페인 167
2. 유형별 연구윤리 제도와 조직 종합 174
2.1. 조사 내용 종합 174
2.2. 각국의 거버넌스 174
2.3. 각국의 연구윤리 관련 법령 179
2.4. 국가주도형 국가의 중앙조직 180
2.5. 연구윤리 관련 위원회와 정책 181
2.6. 연구부정행위 조사기구와 내부고발자 보호 183
3. 시사점 185
3.1. 연구윤리 거버넌스 강화 185
3.2. 연구윤리 관련 주제의 확대 186
3.3. 연구윤리 연구문화의 자발적 확산 187
Ⅲ. 국내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윤리 관리 체계와 연구지원기관의 연구윤리 조직 현황 188
1. 국내 주요 대학의 연구윤리 관리 체계 189
1.1. 개요 189
1.2. 국내 주요 대학의 연구윤리 규정 현황 190
1.3. 국내 주요 대학의 연구윤리 규정 분석 요소 197
1.4. 국내 주요 대학의 연구윤리 규정 분석 199
1.5. 종합 및 시사점 303
2. 국내 연구기관의 연구윤리 관리 체계 307
2.1. 정부출연연구기관 307
2.2.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318
2.3. 종합 및 제안 335
3. 국내 연구지원기관의 연구윤리 조직 현황 336
3.1. 국내 연구지원기관 336
3.2. 종합 및 제안 358
Ⅳ. 해외 대학의 연구윤리 프로그램 현황 조사 359
1. 조사 개괄 360
1.1. 조사 대상 대학교 360
1.2. 연구윤리 담당 조직 (Organization) 363
1.3. 연구윤리 정책 (Policy) 365
1.4. 연구윤리 교육 (Education) 367
1.5. 연구윤리와 연구진실성 369
2. 연구 윤리 370
2.1. 사람 대상 연구 (Human Subject) 370
2.2. 동물 대상 연구 (Animal Subject) 372
2.3. 인간 줄기 세포 (Stem Cells) 373
2.4. 건강 및 안전 (Health & Safety) 375
2.5. 수출 통제 (Export Control) 377
2.6. 국제 활동 (Foreign Engagement) 378
3. 연구 진실성 379
3.1. 이해충돌 (Conflict of Interest) 379
3.2. 출판, 저작권, 동료검토 (Publication, Authorship, Peer-Review) 381
3.3. 연구 데이터 관리 (Research Data Management) 382
3.4. 오픈 엑세스 (Open Access) 384
3.5. 후원 연구 (Sponsored Research) 385
4. 기타 연구윤리 활동 386
4.1. 감독 및 멘토링 (Supervision & Mentorship) 386
4.2. 성평등계획 (Gender Equality Plan) 387
4.3. 표절과 자기표절 (Plagiarism and Self-Plagiarism) 388
4.4. 상업화 (Commercialization) 389
5. 사후 활동 390
5.1. 연구 부정 행위 (Misconduct of Research) 390
5.2. 연구진실성 보고서 392
6. 종합 및 시사점 393
6.1. 종합 393
6.2. 국내 시사점 396
Ⅴ. 해외 주요 연구기관의 연구윤리 관리 체계와 연구지원기관의 연구윤리 조직 현황 399
1. 해외 주요 연구기관의 연구윤리 관리체계 400
1.1. 해외 주요 연구소의 연구윤리 관리 체계 401
1.2. 종합 443
2. 해외 주요 연구지원기관의 연구윤리 관리체계 444
2.1. 해외 주요 연구지원기관의 연구윤리 관리체계 444
2.2. 종합 469
Ⅵ. 결론과 제언 471
1. 주요 국가의 연구윤리 관리체계 472
1.1. 각국의 연구윤리 거버넌스 472
1.2. 연구윤리 거버넌스 관련 요약 478
2. 대학, 연구기관, 연구지원기관의 윤리 관리체계 480
2.1. 대학의 연구윤리 관리체계 요약 480
2.2. 연구기관의 관리체계 요약 482
2.3. 연구지원기관의 관리체계 요약 483
3. 제언 485
3.1. 연구윤리 거버넌스의 미래 485
3.2. 대학의 연구윤리 거버넌스 정착 486
3.3. 연구기관의 연구윤리 거버넌스 강화 487
참고문헌 489
〈표 Ⅰ-1〉 국내 연구윤리 관련 기구들 33
〈표 Ⅰ-2〉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인증제도 평가 기준 34
〈표 Ⅰ-3〉 연구 대상 주요 국가 37
〈표 Ⅰ-4〉 국가별 연구윤리 제도와 조직 연구 분석 내용 37
〈표 Ⅰ-5〉 해외 대학 연구 분석 내용 38
〈표 Ⅰ-6〉 국내 연구지원기관 40
〈표 Ⅰ-7〉 해외 연구지원기관 41
〈표 Ⅰ-8〉 분석예정 주요 연구 목록 42
〈표 Ⅱ-1〉 연구진실성 관련 법제도 제정 연혁 48
〈표 Ⅱ-2〉 OIG의 역할 54
〈표 Ⅱ-3〉 ORI의 역할 55
〈표 Ⅱ-4〉/〈표 Ⅱ-3〉 연구윤리 관련 규정 제정 연혁 56
〈표 Ⅱ-5〉 크로아티아의 법령 155
〈표 Ⅱ-6〉 조사 내용 종합 174
〈표 Ⅱ-7〉 거버넌스 유형 177
〈표 Ⅱ-8〉 연구윤리 관련 법령 179
〈표 Ⅱ-9〉 국가주도형 중앙조직 180
〈표 Ⅱ-10〉 관련 위원회와 정책 182
〈표 Ⅱ-11〉 부정행위 조사기구와 내부고발자 보호 183
〈표 Ⅲ-1〉 대학교 연구윤리 규정 현황 190
〈표 Ⅲ-2〉 교육대학 연구윤리 규정 현황 195
〈표 Ⅲ-3〉 산업대학 연구윤리 규정 현황 195
〈표 Ⅲ-4〉 사이버대학(대학) 연구윤리 규정 현황 195
〈표 Ⅲ-5〉 방송통신대학 연구윤리 규정 현황 196
〈표 Ⅲ-6〉 연구윤리 위원회 명칭별 대학 (가나다순) 200
〈표 Ⅲ-7〉 판정 (교원윤리위원회-대학교) 202
〈표 Ⅲ-8〉 위원회 구성 (연구관리위원회-대학교) 203
〈표 Ⅲ-9〉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위원회-대학교) 204
〈표 Ⅲ-10〉 제보 및 접수 (연구위원회-대학교) 204
〈표 Ⅲ-11〉 예비조사 (연구위원회-대학교) 205
〈표 Ⅲ-12〉 본조사 (연구위원회-대학교) 205
〈표 Ⅲ-13〉 판정 (연구위원회-대학교) 206
〈표 Ⅲ-14〉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 및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06
〈표 Ⅲ-15〉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 및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07
〈표 Ⅲ-16〉 예비조사 (연구윤리 및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08
〈표 Ⅲ-17〉 본조사 (연구윤리 및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08
〈표 Ⅲ-18〉 판정 (연구윤리 및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08
〈표 Ⅲ-19〉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 및 진실성 검증 조사위원회-대학교) 209
〈표 Ⅲ-20〉 예비조사 (연구윤리 및 진실성 검증 조사위원회-대학교) 210
〈표 Ⅲ-21〉 본조사 (연구윤리 및 진실성 검증 조사위원회-대학교) 210
〈표 Ⅲ-22〉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 진실성 검증위원회-대학교) 211
〈표 Ⅲ-23〉 예비조사 (연구윤리 진실성 검증위원회-대학교) 212
〈표 Ⅲ-24〉 본조사 (연구윤리 진실성 검증위원회-대학교) 212
〈표 Ⅲ-25〉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검증위원회-대학교) 213
〈표 Ⅲ-26〉 예비조사 (연구윤리검증위원회-대학교) 214
〈표 Ⅲ-27〉 본조사 (연구윤리검증위원회-대학교) 214
〈표 Ⅲ-28〉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센터 운영위원회-대학교) 215
〈표 Ⅲ-29〉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센터 운영위원회-대학교) 216
〈표 Ⅲ-30〉 예비조사 (연구윤리센터 운영위원회-대학교) 216
〈표 Ⅲ-31〉 본조사 (연구윤리센터 운영위원회-대학교) 217
〈표 Ⅲ-32〉 판정 (연구윤리센터 운영위원회-대학교) 217
〈표 Ⅲ-33〉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심의위원회-대학교) 218
〈표 Ⅲ-34〉 예비조사 (연구윤리심의위원회-대학교) 219
〈표 Ⅲ-35〉 본조사 (연구윤리심의위원회-대학교) 219
〈표 Ⅲ-36〉 판정 (연구윤리심의위원회-대학교) 219
〈표 Ⅲ-37〉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위원회-대학교) 221
〈표 Ⅲ-38〉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위원회-교육대학) 223
〈표 Ⅲ-39〉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위원회-산업대학) 223
〈표 Ⅲ-40〉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위원회-사이버대학) 223
〈표 Ⅲ-41〉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위원회-방송통신대학) 224
〈표 Ⅲ-42〉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위원회-대학교) 224
〈표 Ⅲ-43〉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위원회-교육대학) 228
〈표 Ⅲ-44〉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위원회-산업대학) 229
〈표 Ⅲ-45〉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위원회-사이버대학) 230
〈표 Ⅲ-46〉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위원회-방송통신대학) 230
〈표 Ⅲ-47〉 제보 및 접수 (연구윤리위원회-대학교) 231
〈표 Ⅲ-48〉 제보 및 접수 (연구윤리위원회-교육대학) 233
〈표 Ⅲ-49〉 제보 및 접수 (연구윤리위원회-산업대학) 233
〈표 Ⅲ-50〉 제보 및 접수 (연구윤리위원회-사이버대학) 234
〈표 Ⅲ-51〉 제보 및 접수 (연구윤리위원회-방송통신대학) 234
〈표 Ⅲ-52〉 예비조사 (연구윤리위원회-대학교) 235
〈표 Ⅲ-53〉 예비조사 (연구윤리위원회-교육대학) 241
〈표 Ⅲ-54〉 예비조사 (연구윤리 위원회-산업대학) 241
〈표 Ⅲ-55〉 예비조사 (연구윤리위원회-사이버대학) 242
〈표 Ⅲ-56〉 예비조사 (연구윤리위원회-방송통신대학) 242
〈표 Ⅲ-57〉 본조사 (연구윤리위원회-대학교) 243
〈표 Ⅲ-58〉 본조사 (연구윤리위원회-교육대학) 250
〈표 Ⅲ-59〉 본조사 (연구윤리위원회-산업대학) 251
〈표 Ⅲ-60〉 본조사 (연구윤리위원회-사이버대학) 251
〈표 Ⅲ-61〉 본조사 (연구윤리위원회-방송통신대학) 252
〈표 Ⅲ-62〉 판정 (연구윤리위원회-대학교) 253
〈표 Ⅲ-63〉 판정 (연구윤리위원회-교육대학) 257
〈표 Ⅲ-64〉 판정 (연구윤리위원회-산업대학) 258
〈표 Ⅲ-65〉 판정 (연구윤리위원회-사이버대학) 258
〈표 Ⅲ-66〉 판정 (연구윤리위원회-방송통신대학) 259
〈표 Ⅲ-67〉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60
〈표 Ⅲ-68〉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교육대학) 262
〈표 Ⅲ-69〉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윤리 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63
〈표 Ⅲ-70〉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63
〈표 Ⅲ-71〉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교육대학) 269
〈표 Ⅲ-72〉 위원회 구성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70
〈표 Ⅲ-73〉 제보 및 접수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71
〈표 Ⅲ-74〉 제보 및 접수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교육대학) 273
〈표 Ⅲ-75〉 제보 및 접수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73
〈표 Ⅲ-76〉 예비조사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교육대학) 274
〈표 Ⅲ-77〉 예비조사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74
〈표 Ⅲ-78〉 본조사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교육대학) 274
〈표 Ⅲ-79〉 본조사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75
〈표 Ⅲ-80〉 판정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교육대학) 276
〈표 Ⅲ-81〉 판정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76
〈표 Ⅲ-82〉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조성위원회-대학교) 277
〈표 Ⅲ-83〉 예비조사 (연구조성위원회-대학교) 278
〈표 Ⅲ-84〉 본조사 (연구조성위원회-대학교) 278
〈표 Ⅲ-85〉 판정 (연구조성위원회-대학교) 278
〈표 Ⅲ-86〉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지원ㆍ윤리위원회-대학교) 279
〈표 Ⅲ-87〉 위원회 구성 (연구지원ㆍ윤리위원회-대학교) 279
〈표 Ⅲ-88〉 예비조사 (연구지원ㆍ윤리위원회-대학교) 280
〈표 Ⅲ-89〉 본조사 (연구지원ㆍ윤리위원회-대학교) 280
〈표 Ⅲ-90〉 판정 (연구지원ㆍ윤리위원회-대학교) 281
〈표 Ⅲ-91〉 본조사 (연구진실성 검증을 위한 조사위원회-대학교) 282
〈표 Ⅲ-92〉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84
〈표 Ⅲ-93〉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84
〈표 Ⅲ-94〉 위원회 구성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85
〈표 Ⅲ-95〉 위원회 구성 (연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86
〈표 Ⅲ-96〉 제보 및 접수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88
〈표 Ⅲ-97〉 제보 및 접수 (연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88
〈표 Ⅲ-98〉 예비조사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89
〈표 Ⅲ-99〉 예비조사 (연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91
〈표 Ⅲ-100〉 본조사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92
〈표 Ⅲ-101〉 본조사 (연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94
〈표 Ⅲ-102〉 판정 (연구진실성위원회-대학교) 295
〈표 Ⅲ-103〉 판정 (연구진실성위원회-사이버대학) 297
〈표 Ⅲ-104〉 그 외 용어의 정의 (연구진실성 조사위원회-대학교) 298
〈표 Ⅲ-105〉 위원회 구성 (연구진실성 조사위원회-대학교) 298
〈표 Ⅲ-106〉 예비조사 (연구진실성 조사위원회-대학교) 299
〈표 Ⅲ-107〉 본조사 (연구진실성 조사위원회-대학교) 299
〈표 Ⅲ-108〉 위원회 구성 (학술진흥 및 연구윤리 위원회-대학교) 300
〈표 Ⅲ-109〉 예비조사 (학술진흥 및 연구윤리 위원회-대학교) 301
〈표 Ⅲ-110〉 본조사 (학술진흥 및 연구윤리 위원회-대학교) 301
〈표 Ⅲ-111〉 판정 (학술진흥 및 연구윤리 위원회-대학교) 302
〈표 Ⅳ-1〉 분석에 포함된 세계 100대 대학교 360
〈표 Ⅳ-2〉 대학의 연구윤리 정책 365
〈표 Ⅴ-1〉 해외 주요 연구 기관 400
〈그림 Ⅰ-1〉 연구윤리에 관한 노르웨이의 거버넌스체계 (법과 제도) 37
〈그림 Ⅰ-2〉 분석 기준표 작성과 분석 순서 43
〈그림 Ⅱ-1〉 미국 연구윤리 거버넌스 체계 47
〈그림 Ⅱ-2〉 캐나다 연구윤리, 연구진실성 거버넌스 체계 61
〈그림 Ⅱ-3〉 일본의 연구윤리 관련 조직 체계 66
〈그림 Ⅱ-4〉 싱가포르의 연구윤리 관련 조직 체계 71
〈그림 Ⅱ-5〉 공동성명서 첫 페이지 74
〈그림 Ⅱ-6〉 '인간 생명 의학 연구를 위한 윤리 지침' 표지 76
〈그림 Ⅱ-7〉 연구윤리와 관련한 호주 연구기관 체계 77
〈그림 Ⅱ-8〉 영국의 연구윤리 관련 조직 84
〈그림 Ⅱ-9〉 영국의 국가연구위원회 87
〈그림 Ⅱ-10〉 영국 연구윤리실 홈페이지 88
〈그림 Ⅱ-11〉 영국연구윤리실에서 발간한 부정행위혐의조사절차 90
〈그림 Ⅱ-12〉 맨체스터 대학교 연구 윤리 홈페이지 92
〈그림 Ⅱ-13〉 옥스퍼드 대학교 연구윤리 홈페이지 93
〈그림 Ⅱ-14〉 옥스퍼드 대학교의 윤리심사 신청 절차 93
〈그림 Ⅱ-15〉 프랑스의 주요 조직 94
〈그림 Ⅱ-16〉 연구진실성을 위한 국가 헌장 98
〈그림 Ⅱ-17〉 윤리 및 과학적 무결성 헌장 98
〈그림 Ⅱ-18〉 파리 소르본 대학교 윤리위원회 웹사이트 99
〈그림 Ⅱ-19〉 파리 시티 대학교 윤리위원회 웹사이트 100
〈그림 Ⅱ-20〉 독일연구재단(DFG) 연구윤리 거버넌스 101
〈그림 Ⅱ-21〉 지침 105
〈그림 Ⅱ-22〉 뮌헨 공과대학교 사이트 (https://www.gs.tum.de/en/gs/doctoral-candidates/good-scientific-practice/) 106
〈그림 Ⅱ-23〉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사이트 (https://www.uni-heidelberg.de/en/university/about-the-university/good-academic-practice) 106
〈그림 Ⅱ-24〉 스위스의 연구윤리 관련 조직도 108
〈그림 Ⅱ-25〉 스위스의 전국 및 국제 단위 주요 연구 시설 (ETH Board, 2020) 109
〈그림 Ⅱ-26〉 스위스 인간 연구법 110
〈그림 Ⅱ-27〉 스위스의 윤리위원회협회 111
〈그림 Ⅱ-28〉 EPEL의 연구윤리위원회 112
〈그림 Ⅱ-29〉 연구를 위한 행동 강령 114
〈그림 Ⅱ-30〉 스위스의 과학부정행위에 대한 규정 114
〈그림 Ⅱ-31〉 연구진실성 위원회 규정 115
〈그림 Ⅱ-32〉 스위스 연방 공과 대학교의 연구 윤리 교육 116
〈그림 Ⅱ-33〉 바젤대학교의 연구윤리 지침 117
〈그림 Ⅱ-34〉 덴마크의 주요 조직 118
〈그림 Ⅱ-35〉 고등교육과학부 웹사이트의 연구진실성을위한 덴마크 행동 강령 122
〈그림 Ⅱ-36〉 훌륭한 과학적 관행에 대한 새로운 지침 123
〈그림 Ⅱ-37〉 코펜하겐 대학 실무위원회 웹사이트 124
〈그림 Ⅱ-38〉 코펜하겐 대학 사회과학부 연구윤리위원회 웹사이트 124
〈그림 Ⅱ-39〉 오르후스 대학 실무위원회 웹사이트 125
〈그림 Ⅱ-40〉 오르후스 대학 연구윤리위원회 웹사이트 125
〈그림 Ⅱ-41〉 노르웨이 주요 조직 126
〈그림 Ⅱ-42〉 연구윤리에 대한 일반 지침 130
〈그림 Ⅱ-43〉 사회과학 및 인문학 연구윤리지침 130
〈그림 Ⅱ-44〉 과학기술 연구윤리지침 131
〈그림 Ⅱ-45〉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의 의료 및 보건 연구 지침 131
〈그림 Ⅱ-46〉 연구윤리도서관 132
〈그림 Ⅱ-47〉 오슬로 대학교 연구윤리 위원회 웹사이트 132
〈그림 Ⅱ-48〉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연구윤리 위원회 웹사이트 133
〈그림 Ⅱ-49〉 스웨덴 연구윤리 거버넌스 134
〈그림 Ⅱ-50〉 지침 139
〈그림 Ⅱ-51〉 웁살라 대학교 사이트 (https://www.uu.se/en/research/ethics/) 139
〈그림 Ⅱ-52〉 예테보리 대학교 사이트 (https://www.aurora.umu.se/en/education-and-research/support-for-research/research-planning/ethics-in-research/) 140
〈그림 Ⅱ-53〉 네덜란드 연구윤리 체계 도식 141
〈그림 Ⅱ-54〉 LOWI의 연구진실성 위반 혐의 조사 절차 145
〈그림 Ⅱ-55〉 네덜란드 학술 관행 강령 146
〈그림 Ⅱ-56〉 네덜란드 연구진실성 행동 강령 147
〈그림 Ⅱ-57〉 암스테르담 대학의 학술적 진실성 관련 웹 페이지 148
〈그림 Ⅱ-58〉 아일랜드 연구윤리 거버넌스 149
〈그림 Ⅱ-59〉 가이드라인 152
〈그림 Ⅱ-60〉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연구 윤리 사무국 홈페이지 153
〈그림 Ⅱ-61〉 크로아티아의 주요 조직 154
〈그림 Ⅱ-62〉 과학 및 고등교육 윤리위원회 윤리강령 156
〈그림 Ⅱ-63〉 스플릿 의과대학의 연구윤리 위원회 웹페이지 158
〈그림 Ⅱ-64〉 에스토니아의 연구윤리 조직 159
〈그림 Ⅱ-65〉 의약품법 (Medicinal Products Act) 160
〈그림 Ⅱ-66〉 동물보호법 (Animal Protection Act) 160
〈그림 Ⅱ-67〉 연구 및 개발 조직법 (Organis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ct) 161
〈그림 Ⅱ-68〉 고등교육법 (Higher Education Act) 161
〈그림 Ⅱ-69〉 유럽 연구원 헌장 및 규칙 (The European Charter & Code for Researchers) 162
〈그림 Ⅱ-70〉 성별평등법 (Gender Equality Act) 162
〈그림 Ⅱ-71〉 평등대우법 (Equal Treatment Act) 163
〈그림 Ⅱ-72〉 연구윤리에 관한 에스토니아 행동강령 165
〈그림 Ⅱ-73〉 타트루 대학의 연구 윤리 위원회 166
〈그림 Ⅱ-74〉 타르투 대학의 연구윤리 위원 (2022~2025) 166
〈그림 Ⅱ-75〉 타르투 대학의 연구 윤리 센터 홈페이지 166
〈그림 Ⅱ-76〉 스페인 연구 윤리 관련 조직도 167
〈그림 Ⅱ-77〉 스페인 국가연구위원회의 우수 과학 관행 강령 170
〈그림 Ⅱ-78〉 연구진실성에 관한 스페인 국가 성명서 171
〈그림 Ⅱ-79〉 바르셀로나 대학의 연구진실성을 위한 행동강령 172
〈그림 Ⅱ-80〉 바르셀로나 대학의 윤리위원회 종류 173
〈그림 Ⅱ-81〉 오비에도 대학의 연구윤리위원회 173
〈그림 Ⅲ-1〉 연구윤리 위원회 명칭 빈도 200
〈그림 Ⅳ-1〉 미시간대학교-앤아버의 연구윤리 및 준수 홈페이지 362
〈그림 Ⅳ-2〉 미시간대학교-앤아버의 Office of the Vice President for Research 내부 조직 363
〈그림 Ⅳ-3〉 미시간대학교-앤아버의 OVPR Research Ethics & Compliance 조직도 364
〈그림 Ⅳ-4〉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교의 연구윤리 정책을 제시하는 페이지 366
〈그림 Ⅳ-5〉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Integrity and Ethics Training 프로그램들 367
〈그림 Ⅳ-6〉 CITI Program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연구윤리 교육들 368
〈그림 Ⅳ-7〉 뢰번카톨릭대학교의 연구진실성과 연구윤리의 구분 369
〈그림 Ⅳ-8〉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의 IRB 페이지 371
〈그림 Ⅳ-9〉 미국 미시간대학교의 IACUC 프로그램 홈페이지 373
〈그림 Ⅳ-10〉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Human Tissue Governance 페이지 374
〈그림 Ⅳ-11〉 미국 코넬대학교의 Stem Cell Research 페이지 375
〈그림 Ⅳ-12〉 미국 UCLA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강 및 안전에 관한 부문들 376
〈그림 Ⅳ-13〉 미국 MIT대학교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출 통제의 범위 378
〈그림 Ⅳ-14〉 미국 MIT대학교의 국제 활동과 관련한 페이지 379
〈그림 Ⅳ-15〉 미국 듀크대학교의 이해 충돌에 대한 세부 사항들 380
〈그림 Ⅳ-16〉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의 이해 충돌 처리 절차에 관한 흐름도 380
〈그림 Ⅳ-17〉 벨기에 뢰번카톨릭대학교의 저자 정책에 관한 세부 내용들 381
〈그림 Ⅳ-18〉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의 동료평가에 관한 가이드라인 382
〈그림 Ⅳ-19〉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메디슨의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383
〈그림 Ⅳ-20〉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오픈 엑세스에 관한 페이지 384
〈그림 Ⅳ-21〉 옥스퍼드대학교의 스폰서 연구와 관련한 페이지 385
〈그림 Ⅳ-22〉 뢰번카톨릭대학교의 감독과 멘토링과 관련한 페이지 386
〈그림 Ⅳ-23〉 뢰번카톨릭대학교에서 제시하는 감독과 멘토링의 다섯가지 원칙들 387
〈그림 Ⅳ-24〉 뢰번카톨릭대학교의 감독과 멘토링과 관련한 페이지 388
〈그림 Ⅳ-25〉 영국 글래스고대학교의 표절과 자기표절에 관한 페이지 388
〈그림 Ⅳ-26〉 호주 퀸즐랜드대학교의 상업화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 389
〈그림 Ⅳ-27〉 University of Texas-Austin의 연구 부정 행위 처리 절차 390
〈그림 Ⅳ-28〉 프린스턴 대학교의 연구부정행위 온라인 보고 391
〈그림 Ⅳ-29〉 옥스퍼드대학교의 연간 연구윤리 보고서 392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주요 국가별 연구윤리 관리 체제 조사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