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부는 공공외교법에 의거, 11.13.(목) 제10차 공공외교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하여,「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2023-2027)」을 종료하고,「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2026-2030)」을 확정 의결함
* 공공외교위원회는 외교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중앙행정기관의 차관 또는 차관급 공무원 및 공공외교에 관한 전문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민간위원으로 구성되며, 공공외교 정책의 종합적‧체계적 추진을 위한 주요 사항을 심의‧조정
□ 향후 5년간 범정부 공공외교의 방향성을 제공할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은 ‘국민과 함께 K-이니셔티브를 통한 글로벌 성장과 평화에 기여’를 비전으로 하여 3대 목표*, 11개 중점과제 및 32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됨
* 3대 목표 : ① K-이니셔티브를 통한 국익 증진 ② 글로벌 책임강국으로서의 위상 제고 ③ 통합적‧체계적 공공외교 생태계 구축
□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은 융복합 공공외교 사업 등을 통해 우리 산업의 해외 진출 지원,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글로벌 도전과제 대응, 재외공관 중심 협업 강화를 제시하고 있음
□ 또한, 동 계획에 근거하여 정부는 민‧관 공공외교 관련 협업을 강화하고, 우리 국민의 공공외교 역량을 제고함과 동시에 국민의 공공외교 직접 참여 기회를 확대해나갈 예정임
[출처]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2026-2030) 수립 (2025.11.13.) / 외교부 보도자료
* 공공외교위원회는 외교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중앙행정기관의 차관 또는 차관급 공무원 및 공공외교에 관한 전문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민간위원으로 구성되며, 공공외교 정책의 종합적‧체계적 추진을 위한 주요 사항을 심의‧조정
□ 향후 5년간 범정부 공공외교의 방향성을 제공할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은 ‘국민과 함께 K-이니셔티브를 통한 글로벌 성장과 평화에 기여’를 비전으로 하여 3대 목표*, 11개 중점과제 및 32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됨
* 3대 목표 : ① K-이니셔티브를 통한 국익 증진 ② 글로벌 책임강국으로서의 위상 제고 ③ 통합적‧체계적 공공외교 생태계 구축
□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은 융복합 공공외교 사업 등을 통해 우리 산업의 해외 진출 지원,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글로벌 도전과제 대응, 재외공관 중심 협업 강화를 제시하고 있음
□ 또한, 동 계획에 근거하여 정부는 민‧관 공공외교 관련 협업을 강화하고, 우리 국민의 공공외교 역량을 제고함과 동시에 국민의 공공외교 직접 참여 기회를 확대해나갈 예정임
[출처]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2026-2030) 수립 (2025.11.13.) / 외교부 보도자료
목차
I. 수립 환경 1
II. 제2차 기본계획 평가 및 개선 사항 4
III. 제3차 기본계획(안) 7
1. 기본 방향 7
2. 세부 과제 8
(목표1) K-이니셔티브를 통한 국익 증진 8
① K-이니셔티브에 대한 이해 증진 및 확산 8
② 공공외교를 통한 한국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 11
③ 한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제고 13
④ 신기술 활용 디지털 공공외교 강화를 통한 한국 정책 이해 제고 15
(목표2)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의 위상 제고 17
① 한국 경험의 공유 및 글로벌 도전 대응 주도 17
② 국가별‧지역별 한국 정책에 대한 이해와 신뢰 강화 18
③ 공공외교 활성화를 위한 인적교류 및 네트워크 강화 19
(목표3) 통합적‧체계적 공공외교 생태계 구축 21
① 통합적‧체계적 공공외교 추진체제 정비 21
② 국민 공공외교를 통한 국민 역량의 외교 자산화 22
③ 지자체‧재외동포 참여 확대 23
IV. 제3차 공공외교 재원 조달 및 배분 계획 25
해시태그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제3차 공공외교 기본계획 (2026~2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