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과 인식 조사 연구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서론 2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과 수행체계 23

가. 연구의 범위 및 체계 23

나. 연구의 수행체계 및 기대효과 24

제2장 기후변화와 생활계 온실가스 관련 국내외 동향 26

1.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배출 26

가. 전 지구적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배출 동향 26

나.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 동향 31

다.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 35

2. 생활계 온실가스의 배출 특성 38

가. 생활계 에너지 소비 38

나. 문헌을 통해 살펴본 생활계 온실가스 50

다. 생활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홍보ㆍ캠페인 61

제3장 녹색생활 실천 현황 조사와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 추정 71

1. 녹색생활 관련 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설계 71

2. 녹색생활 관련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75

가. 탄소중립 관련 인식 현황 75

나. 녹색생활 실천방안 관련 인식 79

3. 녹색생활 실천에 대한 조사 결과 83

가. 녹색생활의 실천도 83

나. 집단별 녹색생활 실천 특성 93

4.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결과 100

가. 생활 주요 부문의 배출량 추정 결과 100

나.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집단별 차이 105

제4장 생활계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방향 112

1. 설문조사 및 배출량 추정 결과의 시사점 112

가. 녹색생활 관련 인식의 시사점 112

나. 녹색생활 실천도와 배출량 분석 결과의 시사점 117

2.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 124

가. 녹색생활 확산을 위한 환경교육 강화 124

나. 시민이 참여하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129

다. 녹색생활 유도를 위한 제도 및 인프라 도입 133

제5장 결론 및 제언 139

1. 결론 139

2. 제언 140

참고문헌 143

[부록 Ⅰ] 설문 조사지 152

[부록 Ⅱ] 생활 주요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방법 162

[부록 Ⅲ] 장소별 녹색생활 실천방법 예시 177

Executive Summary 183

판권기 2

〈표 2-1〉 국내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증감률 32

〈표 2-2〉 세계의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35

〈표 2-3〉 가정 부문의 에너지원 소비 및 에너지원 단위 추이 39

〈표 2-4〉 가정 부문의 에너지원별 소비 40

〈표 2-5〉 상업ㆍ공공 부문의 에너지 소비 추이 43

〈표 2-6〉 건물 부문의 에너지원별 소비(2019년) 45

〈표 2-7〉 건물 부문의 용도별 업체당 에너지 소비 45

〈표 2-8〉 수송 부문의 업종별 에너지 소비 48

〈표 2-9〉 관공서ㆍ자가용 차량의 대당 에너지 소비 49

〈표 2-10〉 탄소발자국 계산기 사례 51

〈표 2-11〉 미국 가정의 부문별 주요 전력 소비 53

〈표 2-12〉 에너지 부문 녹색생활 실천의 감축 효과 57

〈표 2-13〉 소비 부문 녹색생활 실천의 감축 효과 58

〈표 2-14〉 수송 부문 녹색생활 실천의 감축 효과 59

〈표 2-15〉 자원순환 부문 녹색생활 실천의 감축 효과 59

〈표 2-16〉 주요 가전기기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60

〈표 2-17〉 기후행동 1.5℃가 제안하는 기후 행동 64

〈표 2-18〉 탄소포인트제의 추진경과 65

〈표 2-19〉 국내 탄소포인트제 기관별 역할 분담 65

〈표 2-20〉 연도별 탄소포인트제 참여 현황 66

〈표 2-21〉 국내 탄소포인트제 68

〈표 3-1〉 설문조사 설계 개요 72

〈표 3-2〉 설문지 구성 개요 74

〈표 3-3〉 의생활 부문의 녹색생활 실천도 86

〈표 3-4〉 식생활 부문의 녹색생활 실천도 87

〈표 3-5〉 에너지 부문 녹색생활 실천도 88

〈표 3-6〉 구매 부문의 녹색생활 실천도 90

〈표 3-7〉 자원순환 부문의 실천도 91

〈표 3-8〉 에코드라이빙 실천도 93

〈표 3-9〉 주요 집단별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부문 105

〈표 4-1〉 녹색생활의 실천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주요 집단 요인 121

〈표 4-2〉 생활계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주요 집단 요인 122

〈표 4-3〉 부문별 녹색생활 실천도가 낮은 주요 집단 요인 127

〈그림 1-1〉 연구 수행 체계도 24

〈그림 2-1〉 인류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1990~2019년) 27

〈그림 2-2〉 대기 중의 CO₂ 농도 변화(하와이 마우나로아 관측소) 28

〈그림 2-3〉 전 세계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비율 29

〈그림 2-4〉 교통 부문 세부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30

〈그림 2-5〉 우리나라의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1990~2019년) 31

〈그림 2-6〉 우리나라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비율(2019년) 33

〈그림 2-7〉 1인당 온실가스 총배출량(1990~2019년) 34

〈그림 2-8〉 2030년 부문별 감축 옵션 및 예상 비용과 잠재력 범위 37

〈그림 2-9〉 가정 부문의 에너지원별 소비 비중 41

〈그림 2-10〉 가정 부문의 주택 형태별 에너지 소비 비중(2019년) 42

〈그림 2-11〉 상업ㆍ공공 부문의 에너지원별 소비 비중 44

〈그림 2-12〉 건물 용도별 업체당 에너지 소비(건물 부문) 47

〈그림 2-13〉 관공서ㆍ자가용 차량의 대당 주행거리 49

〈그림 2-14〉 정주지 등 공간 범위에 따른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 52

〈그림 2-15〉 식품 유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기여도 54

〈그림 2-16〉 주요 소비 부문의 회피, 이동 및 개선에 따른 감축 잠재성 56

〈그림 2-17〉 그린카드의 주요 혜택 63

〈그림 2-18〉 탄소포인트제를 통한 연도별 온실가스 감축실적 66

〈그림 2-19〉 자동차 탄소포인트제 운영의 주체 69

〈그림 3-1〉 설문조사 및 조사 결과의 활용 흐름도 72

〈그림 3-2〉 탄소중립에 대한 인지 정도 76

〈그림 3-3〉 녹색생활의 확산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주체에 대한 인식 76

〈그림 3-4〉 녹색생활 관련 정보의 입수 경로(매체) 77

〈그림 3-5〉 녹색생활 관련 정보 입수 경로(사람) 78

〈그림 3-6〉 인지하고 있는 녹색생활 관련 캠페인 78

〈그림 3-7〉 녹색생활을 실천하지 않는 이유 80

〈그림 3-8〉 녹색생활의 확산을 위한 방안의 응답 결과 81

〈그림 3-9〉 녹색생활을 가장 잘 실천하는 장소 82

〈그림 3-10〉 녹색생활의 실천 장소 84

〈그림 3-11〉 의생활 부문 녹색생활 실천도 85

〈그림 3-12〉 식생활 부문 녹색생활 실천도 86

〈그림 3-13〉 에너지 부문의 녹색생활 실천도 88

〈그림 3-14〉 구매 부문의 실천도 89

〈그림 3-15〉 자원순환 부문의 실천도 90

〈그림 3-16〉 에코드라이빙의 실천도 93

〈그림 3-17〉 성별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4

〈그림 3-18〉 연령대별 녹색생활 실천 95

〈그림 3-19〉 가구원 수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5

〈그림 3-20〉 환경교육 및 캠페인 참가 경험 유무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6

〈그림 3-21〉 탄소중립 인식 유무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7

〈그림 3-22〉 주변 사람들의 실천도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 97

〈그림 3-23〉 환경 이슈별 인식 정도에 따른 녹색생활 실천도 99

〈그림 3-24〉 주요 부문별 1인당 월 온실가스 배출 추정치 102

〈그림 3-25〉 성별에 따른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6

〈그림 3-26〉 연령대에 따른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7

〈그림 3-27〉 거주지역에 따른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7

〈그림 3-28〉 가구원 수별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8

〈그림 3-29〉 주거유형별 주요 부문별 배출량 109

〈그림 3-30〉 탄소중립 인지 여부에 따른 배출량 110

〈그림 3-31〉 쓰레기 감량의 탄소중립 효과 인지 여부에 따른 배출량 111

〈그림 4-1〉 녹색생활을 실천하지 않는 이유(2010년) 113

〈그림 4-2〉 환경주의 VBN 이론의 가치부터 행동에 이르는 흐름도 126

〈그림 4-3〉 생활양식의 옵션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의 차이 128

〈그림 4-4〉 IPCC가 제안하는 시민이 참여하는 기후변화 완화 과정 129

〈그림 4-5〉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상황적, 구조적 요인 131

〈그림 4-6〉 개인의 영향력 범위 132

〈그림 4-7〉 넛지를 적용한 식판 사례 135

〈그림 4-8〉 2050년까지 수요 측면의 감축 옵션의 잠재성 137

〈부록 표 2-1〉 주요 연료 유형별 온실가스의 기본 배출계수 163

〈부록 표 2-2〉 전력 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과정 164

〈부록 표 2-3〉 소비 연료별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과정 168

〈부록 표 2-4〉 수도 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과정 169

〈부록 표 2-5〉 폐기물의 처리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 및 배출계수 170

〈부록 표 2-6〉 쓰레기 배출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과정 171

〈부록 표 2-7〉 주요 수송수단의 인ㆍkm당 온실가스 배출량 도출 과정 173

〈부록 표 2-8〉 대중교통 유형별 인ㆍkm당 온실가스 배출계수 174

〈부록 표 2-9〉 주요 차량 유형별 km당 온실가스 배출량 176

〈부록 표 3-1〉 가정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77

〈부록 표 3-2〉 직장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78

〈부록 표 3-3〉 유통매장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79

〈부록 표 3-4〉 식당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80

〈부록 표 3-5〉 학교에서 저탄소생활 실천하는 방법 181

〈부록 표 3-6〉 친환경 운전 실천하는 방법 182

해시태그

#기후변화 #탄소중립 #온실가스감축 #환경교육 #자원순환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