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기후변화가 남해안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 2021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책연구용역과제

목차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2

제2절 연구목적 및 범위 13

1. 연구목적 13

2. 연구범위 13

가. 지구온난화와 국내외 해양환경 변화 13

나. 기후변화에 따른 남해안 해양생태계 변화 13

다. 기후변화가 남해안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 14

라. 경남 남해안 수산업의 기후변화 대응 방향 14

제3절 연구방법 15

제2장 지구온난화와 국내외 해양환경의 변화 16

제1절 지구온난화에 따른 글로벌 해양환경 변화 17

1. 해수면 온도 변화 17

2. 해수면 높이 변화 18

3. 해빙 면적 변화 19

4. 염분 변화 20

5. 해양 열용량 변화 20

6. 해양 산성화 변화 21

제2절 지구온난화에 따른 국내 해양환경 변화 22

1. 해수면 온도 변화 22

2. 해수면 높이 변화 23

3. 염분 변화 24

4. 해양 열용량 변화 25

5. 해양 산성화 변화 26

제3절 소결 27

제3장 기후변화에 따른 남해안 해양생태계 변화 28

제1절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역별 해양생태계 변화 29

1. 해역별 해양생물의 출현 종수 변화 29

2. 해양생물의 주기별 출현종수 변화(2015년~2020년) 30

3. 해역별 해조류 31

가. 출현 종수 31

나. 생물량 32

다. 해역별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 특성 양상 변화 33

4/3. 아열대화 모니터링 지역(대마난류 영향권) 난류성 어류 비율 증가 34

5/4. 해양생물 북방한계선 북상 확인 35

6/5. 암반 무척추동물 지시종 도출 37

7/6. 해조류 지시종 도출 38

8/7. 우리나라 해역별 지표종 분포 현황 파악 39

9/8. 기후(수온)변화에 따른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 40

제2절 지구온난화에 따른 남해안 해양생태계 변화 42

1. 해역별 해양생물 출현종수 변화 42

2. 남해안 해양생물의 주기별 출현 종수(2015년~2020년) 43

3. 남해안 해조류 44

가. 남해안 해조류 출현 종수 44

나. 남해안 해조류 생물량 45

다. 남해안 해조류 지리적 분포 변화 46

4. 남해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48

5. 남해안 동물플랑크톤 49

6. 남해안 열대어종 분포 경향 50

7. 남해안 암반 무척추동물 지시종 51

8. 남해안 해양생태계 지표종 52

9. 남해안 갯녹음 분포 경향 52

10.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물(오징어)의 서식지 변화 53

11. 기후(수온)변화에 따른 남해안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 55

제3절 소결 56

제4장 기후변화가 남해안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 57

제1절 기후변화가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 58

제2절 남해안 지역의 기후변화 취약성 59

1. 기후변화가 남해안 어선어업에 미치는 영향 60

2. 기후변화가 남해안 양식어업에 미치는 영향 61

제3절 남해안 수산업의 어획량 변화 63

1. 어획량 변화 63

가. 어선어업의 어획량 변화 63

나. 양식어업의 생산량 변화 64

2. 기후변화에 따른 어선어업 어획량 변화 65

가. 기후변화와 품종별 어획량 변화 65

나. 기후변화와 어업별 어획량 변화 67

3. 기후변화에 따른 양식어업의 생산량 변화 69

가. 양식어류 생산량 변화 69

나. 양식 패류 생산량 변화 69

다. 양식 해조류 생산량 변화 70

제4절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 72

1. 어업인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경험 72

제5절 소결 74

제5장 남해안 수산업의 기후변화 대응 방향 76

제1절 수산업 관련 기후변화 정책 77

1. 관계부처 합동 77

2. 해양수산부 80

3. 지자체 83

가. 제2차 통영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20~2024) 83

나. 제2차 전남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7~2021) 85

다. 제2차 경상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7~2021) 87

제2절 일본의 수산분야 기후변화 대책 89

1. 농림수산성 지구온난화 대책계획 89

2. 농림수산성 기후변화 적응 계획 90

제3절 기후변화 대응방안의 선행연구 결과 93

1. 해양수산 분야 기후변화 적응정책 방향 연구(2014. 12.) 93

2. 경상남도 수산업의 기후변화 적응현황과 대응방안(2015. 12.) 94

3. 수산양식 탄소저감 활용방안 연구(전라남도) 2021. 2024년 공개 95

제4절 경남 남해안 수산업의 기후변화 대응 방향 96

1. 기후변화 피해 대책 96

2. 기후변화 대응 어업 구조 개편 98

3. 기후변화 대응 양식어업 구조 개편 99

4. 어촌 및 수산식품산업과의 연계 100

참고문헌 102

〈표 3-1〉 해역별 해양생물의 출현 종수 29

〈표 3-2〉 주기별 해양생물의 출현 종수 30

〈표 3-3〉 북방한계선이 북상한 생물의 특징 35

〈표 3-4〉 암반 무척추동물의 정점별 집괴 분석 결과와 각 그룹별 특성 38

〈표 3-5〉 해조류의 정점별 집괴 분석 결과와 각 그룹별 특성 39

〈표 3-6〉 해역별 해양생물의 출현종수 42

〈표 3-7〉 남해안 해양생물의 주기별 출현종수 43

〈표 3-8〉 2015년~2020년 남해안 조간대 해조류 출현 종수 45

〈표 3-9〉 2015년~2020년 남해안 조하대 해조류 출현 종수 45

〈표 4-1〉 FAO(2008) 기후변화와 수산업 58

〈표 4-2〉 국립수산과학원(2010) 기후변화와 수산업 58

〈표 4-3〉 남해안의 기후변화 취약성 59

〈표 4-4〉 주요어종별 서식수온 62

〈표 4-5〉 어선어업의 어획량 변화 64

〈표 4-6〉 양식어업의 어획량 변화 64

〈표 4-7〉 남해안의 기간별 어종별 어획량 변화 66

〈표 4-8〉 경남의 기간별 어종별 어획량 변화 66

〈표 4-9〉 기후변화에 취약한 어선어업의 기간별 어획량 변화 67

〈표 4-10〉 기후변화에 덜 취약한 어선어업의 기간별 어획량 68

〈표 4-11〉 남해안 양식어류의 기간별 생산량 변화 추이 69

〈표 4-12〉 남해안 양식 패류의 생산량 변화 69

〈표 4-13〉 남해안 양식해조류 생산량 변화 70

〈표 4-14〉 어업인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경험 72

〈표 4-15〉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들의 예상 73

〈표 4-16〉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어업인들의 인지도 73

〈표 5-1〉 제1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산분야 목표 및 주요 과제 78

〈표 5-2〉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산분야 목표 및 주요 과제 79

〈표 5-3〉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산분야 목표 및 주요 과제 80

〈표 5-4〉 1차 해양수산부문 종합대책 주요 내용 81

〈표 5-5〉 제2차 종합대책(기후변화 대응 해양수산부문 발전방안) 주요 내용 81

〈표 5-6〉 해양수산부 양식분야 기후변화 대응 전략(2017) 83

〈표 5-7〉 제1차 통영시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수산분야 대책 85

〈표 5-8〉 제2차 통영시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수산분야 대책 85

〈표 5-9〉 제1차 전라남도 수산부분 세부실행계획 86

〈표 5-10〉 제2차 전라남도 수산부분 세부실행계획 86

〈표 5-11〉 제1차 경상남도 수산부분 세부실행계획 87

〈표 5-12〉 제2차 경상남도 수산부분 세부실행계획 88

〈표 5-13〉 수산분야 적응정책 중점 추진부문(박수진외, 2014) 93

〈그림 1-1〉 연구체계 15

〈그림 2-1〉 지구의 연평균 해수면 온도 편차 18

〈그림 2-2〉 지구의 연평균 해수면 높이 편차 19

〈그림 2-3〉 지구 해빙 면적의 연 변화 19

〈그림 2-4〉 지구의 수심별 염분 연평균 편차 20

〈그림 2-5〉 해양 열용량의 변화 20

〈그림 2-6〉 전지구 해양표층의 해양산성화 및 이산화탄소 대기 농도 변화 21

〈그림 2-7〉 국내 연평균 해수면 온도 변화 22

〈그림 2-8〉 동해, 남해, 서해안의 해수면 온도 변화 23

〈그림 2-9〉 국내 해수면 높이 편차 추이 23

〈그림 2-10〉 국내 표층 염분 변화 24

〈그림 2-11〉 동해, 남해, 서해안의 표층 염분 변화 25

〈그림 2-12〉 동해, 남해, 서해안의 해양열용량 변화 25

〈그림 2-13〉 동해, 남해, 서해안의 해양 산성화 변화 26

〈그림 3-1〉 해역별 해양생물의 출현 종수 비율 30

〈그림 3-2〉 해조류의 해역별 출현 종수 31

〈그림 3-3〉 해조류의 해역별 생체량 33

〈그림 3-4〉 해역별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 양상 34

〈그림 3-5〉 난류성 어종 출현율 변화 35

〈그림 3-6〉 소라 서식지 북방한계변화 36

〈그림 3-7〉 달랑게 서식지 북방한계변화 37

〈그림 3-8〉 기수갈고둥 서식지 북방한계변화 37

〈그림 3-9〉 해역별 해양생태계의 지표종 서식처 구분 40

〈그림 3-10〉 해역권별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 41

〈그림 3-11〉 남해안 해양생물의 출현비율 42

〈그림 3-12〉 남해안 해조류 출현 종수 44

〈그림 3-13〉 해조류의 남해안 생체량 46

〈그림 3-14〉 남해동부 해역의 정점별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 양상 46

〈그림 3-15〉 남해서부 해역의 정점별 해조류의 지리적 분포 양상 47

〈그림 3-16〉 2015~2020년 남해역의 춘ㆍ하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조성 48

〈그림 3-17〉 남해안 식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인 Skeletonema sp. 48

〈그림 3-18〉 2015~2020년 남해 해역 춘ㆍ하계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 비율 50

〈그림 3-19〉 남해 해역의 열대어종 출현 비율 51

〈그림 3-20〉 부챗말 52

〈그림 3-21〉 남해 산호조류의 피도 변화 양상 53

〈그림 3-22〉 수온 상승에 의한 오징어 서식지 변화 54

〈그림 3-23〉 남해안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 55

〈그림 4-1〉 남해안지역 연근해어업의 기후변화 취약성 61

〈그림 4-2〉 어선어업 연도별 어획량 변화 추이 63

〈그림 4-3〉 양식어업 생산량의 연도별 변화 추이 65

〈그림 5-1〉 국가단위 기후변화 적응계획의 연혁 78

〈그림 5-2〉 통영시 1차 계획의 주요 내용 84

〈그림 5-3〉 일본의 수산분야 지구온난화 대응 방안 89

해시태그

#해양생태계 #해양자원 #해조류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