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보고서는 경제 및 산업구조 변화와 노동시장의 변동성에 큰 영향을 받는 노동시장 취약계층의 평생학습 참여 경험 및 이를 통한 사회적 이동성에 관한 인식 실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노동시장 취약계층을 경력 초기 저숙련 근로자 집단, 노동시장 입직 이후 학위 취득을 위한 형식교육에 참여한 근로자 집단, 경력전환 및 경력단절 근로자 집단으로 분류하여 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통적으로 취업 및 재취업, 숙련 수준 향상을 통한 소득 수준 향상이 취약계층 근로자들이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주요 동기로 나타났다. 또한, 취약계층 근로자가 종사하는 직종에 따라 효과성이 높은 평생학습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고, 지속적인 평생학습 참여와 학습 결과의 축적, 노동시장에서 인정하는 형태의 학습 결과를 획득할 때 사회적 이동성 향상과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평생학습을 통해 자신감, 성취감, 학습·일·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 등 내적 성장 경험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강사나 동료학습자와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사회·정서적 지지 경험이 평생학습 참여를 지속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인 성문주 부연구위원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학습이 사회적 이동성 제고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 취약계층의 평생학습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종합적인 학습상담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실질적인 숙련 수준 향상이 가능하도록 평생학습의 체계성을 향상하며, 평생학습 결과의 사회적 인정체계가 확립 및 정착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Ⅰ. 서론 6
Ⅱ. 연구 방법 개관 7
Ⅲ. 노동시장 취약계층 집단별 주요 연구결과 8
1. [A 집단] 경력 초기 저숙련 근로자 집단 주요 연구결과 8
2. [B 집단] 노동시장 입직 이후 형식교육에 참여한 근로자 집단 주요 연구결과 12
3. [C 집단] 경력전환 및 경력단절 경험 근로자 집단 주요 연구 결과 15
Ⅳ. 정책제언 19
1. 노동시장 취약계층의 평생학습 참여 촉진을 위한 학습상담서비스 체계 구축 19
2. 숙련수준 향상을 위한 평생학습 체계성 확보 및 접근성 향상 20
3. 평생학습과 경력개발지원 서비스의 연계 21
4. 평생학습 결과의 사회적 인정 체계 확립 및 정착 21
5. 사회적 계층이동이 가능한 직종으로의 경력전환 지원 22
Ⅴ. 연구의 의의 및 한계 23
참고문헌 24
판권기 2
[표 1] 노동시장 취약계층 그룹인터뷰 실시 정보 8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노동시장 취약계층 사회적 이동성 향상을 위한 평생학습 정책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