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 과정에서는 우리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의약품산업의 현 주소와 기업의 미래 지형 대응 수준, 정부 정책 수준 평가를 동시에 진행하고, 기업의 정책 수요와 관학연 전문가의 정책 제언도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략산업 정책의 기본 방향과 업종별, 그리고 변화 동인별 정책 방향 및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출처: 산업연구원(KiET))
목차
표제지
목차
머리말 3
요약 16
제1장 서론 62
1. 연구의 배경 62
(1) 연구의 필요성 62
(2) 선행 연구 검토 65
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68
(1) 연구의 목적 및 구성 68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0
제2장 주요 전략산업의 변화 동인과 미래 지형 76
1. 미래 지형 분석의 관점과 개요 76
(1) 국제정치(지정학)와 한국의 산업 발전 76
(2) 기술과 수요(시장) 85
2. 반도체 88
(1) 변화 동인 88
(2) 미래 지형 132
3. 미래차(배터리) 141
(1) 변화 동인 141
(2) 미래 지형 162
4. 바이오의약품 171
(1) 변화 동인 171
(2) 미래 지형 206
제3장 우리 전략산업 및 정책 현황 216
1. 현황과 위상 216
(1) 반도체 216
(2) 미래차(배터리) 221
(3) 바이오의약품 225
2. 전략과 정책 228
(1) 반도체 228
(2) 미래차 234
(3) 바이오의약품 239
제4장 국내 기업의 미래 인식과 대응 실태 244
1. 밸류체인 단계별 경쟁우위 진단 244
(1) 반도체 244
(2) 미래차 251
(3) 바이오의약품 256
2. 업종별 기업의 미래 지형 변화 대응 실태 263
(1) 반도체 263
(2) 미래차 270
(3) 바이오의약품 275
제5장 우리 주요 전략산업 정책 방향과 과제 281
1. 종합 평가 및 정책 수요 281
(1) 반도체 281
(2) 미래차 297
(3) 바이오의약품 309
2. 주요 전략산업 업종별 정책 제언 323
(1) 반도체 323
(2) 미래차 328
(3) 바이오의약품 331
3. 결언 335
(1) 업종별 주요 연구 내용 요약 335
(2) 전략산업 정책의 기본 방향 344
참고문헌 353
[부록] 전문가 포커스그룹 인터뷰(FGI) 설문지(대표 업종: 반도체) 368
Abstract 387
판권기 391
〈표 1-1〉 주요국의 전략 투자 기술 및 산업 64
〈표 1-2〉 연구의 구성 69
〈표 1-3〉 본 연구의 대상 분야 및 이유 72
〈표 1-4〉 FGI에서 살펴볼 주요 검토사항 73
〈표 2-1〉 제1차~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출 계획 및 실적 비교 77
〈표 2-2〉 2030년 인도 및 동남아 소득 구간별 가구 수 전망 83
〈표 2-3〉 제2차 생산연계인센티브(PLI) 부문별 지원 금액 현황 84
〈표 2-4〉 미국의 경제 성장과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 86
〈표 2-5〉 2022년 5월 21일 한ㆍ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한 한ㆍ미 기업인 93
〈표 2-6〉 미국 지도부와 주요 기업 현(現) 글로벌 반도체 분업 구조 인식 101
〈표 2-7〉 미국, EU 및 주요국의 반도체 제조업 강화 정책 동향(2022. 8) 107
〈표 2-8〉 미국, EU 및 주요국 반도체 기업 시설 투자 계획 동향(2022. 8) 110
〈표 2-9〉 2021년 국내외 주요 기업 OSAT 매출 순위 113
〈표 2-10〉 2021~2026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별 시장 규모 전망 115
〈표 2-11〉 2021~2026 인공지능 반도체 소자 종류별 시장 규모 전망 116
〈표 2-12〉 미국 IDM, 팹리스 주요 기업 키워드 분석의 기초 통계량 117
〈표 2-13〉 IBM 최근 3년 USPTO 승인 및 출원 특허 내 주요 빈출 키워드 118
〈표 2-14〉 인텔 최근 3년 USPTO 승인 및 출원 특허 내 주요 빈출 키워드 119
〈표 2-15〉 엔비디아 최근 5년 USPTO 승인 및 출원 특허 내 주요 빈출 키워드 120
〈표 2-16〉 퀄컴 최근 5년 USPTO 승인 및 출원 특허 내 주요 빈출 키워드 121
〈표 2-17〉 2020~2021 CMOS 이미지 센서 매출 순위 및 점유율 124
〈표 2-18〉 2019~2025 기반 아키텍처별 서버 출하량 전망 128
〈표 2-19〉 분기별 인도ㆍ태평양 및 중국 스마트폰, PC 및 태블릿 시장 규모 130
〈표 2-20〉 2022~2025 주요 권역별 스마트폰(이동통신) 시장 규모 전망 131
〈표 2-21〉 반도체산업 글로벌 지형 변화의 핵심 동인 132
〈표 2-22〉 반도체산업 글로벌 지형 변화의 주도 국가 및 기업 135
〈표 2-23〉 반도체산업의 미래 밸류체인 주도 단계(섹터) 전망 137
〈표 2-24〉 반도체산업 밸류체인 단계별 주도 국가 및 위상 전망 139
〈표 2-25〉 반도체산업 밸류체인 각 단계의 지정학적 역할 변화와 미래상 140
〈표 2-26〉 자동차산업 공급망 관련 리스크 요인 142
〈표 2-27〉 주요국 재정 지원정책 발표 사례 144
〈표 2-28〉 국가별 전기동력차 판매 현황 160
〈표 2-29〉 자동차산업 글로벌 지형 변화의 핵심 동인 163
〈표 2-30〉 자동차산업 글로벌 지형 변화의 주도 국가 및 기업 165
〈표 2-31〉 자동차산업의 미래 밸류체인 주도 섹터 전망 169
〈표 2-32〉 자동차산업 밸류체인 단계별 주도 국가 및 위상 전망 170
〈표 2-33〉 자동차산업 밸류체인 각 단계의 지정학적 역할 변화와 미래상 171
〈표 2-34〉 백신 공정별 부족 주요 원부자재 173
〈표 2-35〉 주요국 정책 및 기업 투자 현황 180
〈표 2-36〉 EMA 허가 바이오시밀러 중 국내 제품 192
〈표 2-37〉 주요 바이오의약품 시밀러 국가별 허가 현황(1)(2022. 10 기준) 199
〈표 2-38〉 주요 바이오의약품 시밀러 국가별 허가 현황(2)(2022. 10 기준) 200
〈표 2-39〉 블록버스터 오리지네이터 특허 만료(예정) 현황 201
〈표 2-40〉 국내 주요 기업 시밀러 개발 현황(2022. 10 기준) 202
〈표 2-41〉 바이오의약품산업 글로벌 지형 변화의 핵심 동인 207
〈표 2-42〉 바이오의약품산업 글로벌 지형 변화의 주도 국가 및 기업 209
〈표 2-43〉 바이오의약품산업의 미래 밸류체인 주도 섹터 전망 212
〈표 2-44〉 바이오의약품산업 밸류체인 단계별 주도 국가 및 위상 전망 213
〈표 2-45〉 바이오의약품산업 밸류체인 단계별 지정학적 역할 변화와 미래상 214
〈표 3-1〉 2022년 기업별 메모리반도체 세계시장 점유율 219
〈표 3-2〉 2021년 세계 반도체 기업 매출 상위 10개 기업 220
〈표 3-3〉 2021년 파운드리 기업 매출(외부 고객) 상위 10개 기업 221
〈표 3-4〉 자동차산업 제조업 내 위상 222
〈표 3-5〉 국내 자동차산업 수급 추이 223
〈표 3-6〉 자동차산업 수출입 현황(금액 기준) 223
〈표 3-7〉 배터리 주요 기업 현황 225
〈표 3-8〉 국내 바이오의약산업 추이 226
〈표 3-9〉 미래차 관련 정부 정책 동향 236
〈표 3-10〉 자율차 R&D 부처별 역할 분담 및 패키지 지원(안) 237
〈표 3-11〉 신산업 분야 향후 5년간 신규 인력 수요 전망 238
〈표 3-12〉 미래차 관련 연구개발 핵심 인력 양성 과정 239
〈표 4-1〉 현 반도체산업 글로벌 밸류체인의 주도 단계(섹터) 245
〈표 4-2〉 밸류체인 단계별 부가가치 순위 245
〈표 4-3〉 반도체산업 밸류체인 단계별 주도 국가 및 기업 247
〈표 4-4〉 반도체 밸류체인 각 단계 주요 국가별 기술 수준 248
〈표 4-5〉 반도체산업 주요국의 타 국가 대비 특징 및 차별점 249
〈표 4-6〉 현 자동차산업 글로벌 밸류체인의 주도 단계(섹터) 251
〈표 4-7〉 현 자동차산업 밸류체인 단계별 주도 국가 및 기업 253
〈표 4-8〉 자동차산업 밸류체인 각 단계 주요 국가별 기술 수준 254
〈표 4-9〉 자동차산업 주요국의 타 국가 대비 특징 및 차별점 255
〈표 4-10〉 현 바이오의약품산업 글로벌 밸류체인의 주도 단계(섹터) 257
〈표 4-11〉 바이오의약품산업 밸류체인 단계별 주도 국가 및 기업 259
〈표 4-12〉 바이오의약품산업 밸류체인 각 단계 주요 국가별 기술 수준 260
〈표 4-13〉 바이오의약품산업 주요국의 타 국가 대비 특징 및 차별점 262
〈표 4-14〉 우리 반도체산업의 밸류체인별 미래 기술 변화 대응 수준 264
〈표 4-15〉 반도체산업의 밸류체인별 미래 수요(시장) 변화 대응 수준 267
〈표 4-16〉 반도체산업의 밸류체인별 미래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 269
〈표 4-17〉 자동차산업의 밸류체인별 미래 기술 변화 대응 수준 271
〈표 4-18〉 자동차산업의 밸류체인별 미래 수요(시장) 변화 대응 수준 273
〈표 4-19〉 우리 자동차산업의 밸류체인별 미래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 274
〈표 4-20〉 바이오의약품산업의 밸류체인별 미래 기술 변화 대응 수준 276
〈표 4-21〉 바이오의약품산업의 밸류체인별 미래 수요(시장) 변화 대응 수준 278
〈표 4-22〉 바이오의약품산업의 밸류체인별 미래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 279
〈표 5-1〉 반도체산업 정부 전략 및 정책 수준 평가(관학연) 283
〈표 5-2〉 반도체산업 정부 정책 인식과 지원 수준 평가(기업) 284
〈표 5-3〉 반도체 정책의 기술, 수요,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 평가(산학연) 286
〈표 5-4〉 반도체 정책의 기술, 수요,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 평가(기업) 287
〈표 5-5〉 밸류체인별 정부 정책의 기술 변화 대응 수준 평가 288
〈표 5-6〉 밸류체인별 정부 정책의 수요(시장) 변화 대응 수준 평가 289
〈표 5-7〉 밸류체인별 정부 정책의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 평가 291
〈표 5-8〉 반도체산업 미래 변화 동인별 정책 제언(관학연) 293
〈표 5-9〉 반도체산업 미래 변화 동인별 기업 정책 수요 295
〈표 5-10〉 미래차 산업 정부 정책 수준 평가(관학연) 298
〈표 5-11〉 미래차 산업 정부 정책 인식과 지원 수준 평가(기업) 299
〈표 5-12〉 미래차 정책의 기술, 수요,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관학연) 301
〈표 5-13〉 미래차 정책의 기술, 수요,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기업) 302
〈표 5-14〉 밸류체인별 정부 정책의 기술 변화 대응 수준 평가 303
〈표 5-15〉 밸류체인별 정부 정책의 수요(시장) 변화 대응 수준 평가 304
〈표 5-16〉 밸류체인별 정부 정책의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 평가 305
〈표 5-17〉 미래차 산업 미래 변화 동인별 정책 제언(관학연) 306
〈표 5-18〉 미래차 산업 미래 변화 동인별 기업 정책 수요 308
〈표 5-19〉 바이오의약품산업 정부 정책 수준 평가(관학연) 310
〈표 5-20〉 바이오의약품산업 정부 정책 인식과 지원 수준 평가(기업) 312
〈표 5-21〉 바이오의약품 정책 기술, 수요,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관학연) 313
〈표 5-22〉 바이오의약품 정책의 기술, 수요,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기업) 315
〈표 5-23〉 밸류체인별 바이오의약품 정책의 기술 변화 대응 수준 평가 316
〈표 5-24〉 밸류체인별 바이오의약품 정책의 수요 변화 대응 수준 평가 317
〈표 5-25〉 밸류체인별 바이오의약품 정책의 지정학 변화 대응 수준 평가 318
〈표 5-26〉 바이오의약품산업 미래 변화 동인별 정책 제언(관학연) 320
〈표 5-27〉 바이오의약품산업 미래 변화 동인별 기업 정책 수요 322
〈표 5-28〉 반도체산업 미래 지형 변화의 동인별 정책 제언 327
〈표 5-29〉 미래차 산업 미래 지형 변화의 동인별 정책 제언 330
〈표 5-30〉 바이오의약품산업 미래 지형 변화의 동인별 정책 제언 334
〈표 5-31〉 업종별 산업의 현재와 미래 지형 337
〈표 5-32〉 기업 및 정부 미래 지형 변화 대응 진단: 반도체산업 339
〈표 5-33〉 기업 및 정부 미래 지형 변화 대응 진단: 자동차산업 340
〈표 5-34〉 기업 및 정부 미래 지형 변화 대응 진단: 바이오의약품산업 341
〈표 5-35〉 업종별 기업 정책 수요 및 관학연 전문가 정책 제언 342
〈표 5-36〉 전략산업 업종별 정부 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343
〈표 5-37〉 전략산업 정책의 기본 방향(제안) 346
〈표 5-38〉 반도체-바이오의약품 산업의 밸류체인 비교 347
〈그림 1-1〉 연구 추진 방법 74
〈그림 2-1〉 중국 경제의 총요소생산성 및 총자본형성 변화 추이 80
〈그림 2-2〉 인구 수 상위 주요국의 2022~2050 인구 변화 전망 82
〈그림 2-3〉 2021/2022년 국내외 주요 기업 첨단 패키징 자본투자 규모(전망치) 112
〈그림 2-4〉 2020~2030 차량용 반도체 부문별 시장 규모 전망 123
〈그림 2-5〉 AP 타입별 세계 노트북 출하량 전망 126
〈그림 2-6〉 OS별 ARM AP 탑재 랩톱 출하량 전망 126
〈그림 2-7〉 2021~2026 AP 타입별 랩톱 시장 성장 전망 127
〈그림 2-8〉 반도체산업의 밸류체인 구조 136
〈그림 2-9〉 주요 기업의 북미 지역 배터리 투자 계획 147
〈그림 2-10〉 주요 기업의 유럽 지역 배터리 투자 계획 148
〈그림 2-11〉 2030년까지 자동차산업을 주도할 핵심 트렌드 155
〈그림 2-12〉 지역별 자동차 수요 비중 변화 158
〈그림 2-13〉 선진시장과 신흥시장 자동차 수요 변화 159
〈그림 2-14〉 자동차산업 수요 구조 변화 예상 161
〈그림 2-15〉 모빌리티 서비스 활성화에 따른 자동차 시장 양분화 162
〈그림 2-16〉 자동차산업의 밸류체인 구조 167
〈그림 2-17〉 중국 신약 개발 기술격차 추이 176
〈그림 2-18〉 제품/연도별 의약품 청구 비율 184
〈그림 2-19〉 전 세계 바이오 스타트업 분포 186
〈그림 2-20〉 질환별 파이프라인 개수 196
〈그림 2-21〉 국가별 바이오의약품 비중(2020) 204
〈그림 2-22〉 바이오시밀러 시장 전망(IQUVIA, 2021. 12 기준) 205
〈그림 2-23〉 바이오의약품산업의 밸류체인 구조 211
〈그림 3-1〉 반도체 수출 비중 217
〈그림 3-2〉 한국 자동차산업 전동차 판매 현황 224
〈그림 3-3〉 K-반도체 전략 230
〈그림 3-4〉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 비전과 목표 232
〈그림 3-5〉 반도체 산ㆍ학 협력 4대 인프라 232
〈그림 3-6〉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 주요 내용 233
〈그림 3-7〉 제1, 2, 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경과 240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글로벌 산업지형 변화에 대응한 전략산업 발전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