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6
제1장 서론 3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2
2. 연구 내용 및 수행체계 33
제2장 국내외 SSC 추진 동향 분석 36
1. 국내외 SSC 관련 정책 동향 분석 36
가. 국외 SSC 관련 정책 동향 36
나. 국내 SSC 관련 정책 동향 62
2. 국내외 SSC 관련 연구 동향 분석 95
가. 국외 SSC 관련 연구 동향 95
나. 국내 SSC 관련 연구 동향 211
다. 국내 산업계 SSC 연구 동향 226
라. ESG 평가체계 검토 240
제3장 SSC 진단 지표 개발 및 이행 기준 설정 245
1. SSC 평가 방법 보완 및 진단 지표 개발 245
가. 국외 SSC 현황 분석 245
나. EU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설계(SSbD)와 독일 UBA(2016)의 평가요소 및 인자 비교 분석 253
다. EU SSbD 프레임워크 적용 사례 272
라. 평가요소 및 주요 검토 항목 결정(안) 284
마. 평가방법 결정(안) 285
2. 국내 SSC 인자 도출 287
가. 업체 선정 및 상세현황 분석 추진 절차(안) 287
나. 업체 모집단 선정(안) 및 주요 평가인자 288
다. 업체 선정 289
라. 현황조사 및 상세현황 분석 293
3. SSC 관련 업체 현황 분석 296
가. 화학물질 사업장 현황 296
나. 화학물질 배출 및 이동량ㆍ자가매립량 300
다. 온실가스 배출 현황 308
라. 종합 현황 314
제4장 SSC 진단 지표 시범 적용 및 관련 기반 마련 321
1. SSC 관리를 위한 정보 확보 방안 마련 및 시범 적용 321
가. 인벤토리 구성정보 확보(안) 321
나. SSC 평가방법 및 인자를 활용한 시범 적용 325
다. 시범 적용 결과분석 343
2. SSC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 343
가. 조사목적 343
나. 조사 결과 분석 344
3. SSC 관련 적용 기술 검토 353
가. SSC 평가 지표 및 평가 프레임워크 관련 기술 353
나. SSC 이행에 필요한 기반 기술 유형 검토 354
제5장 SSC와 매체 관리 연계 관련 동향 조사 356
1. EU 관련 동향 조사 356
가. 오염제로 목표 달성 전략 356
나. 오염제로 목표 이행 현황 361
다. 오염제로 목표 이행 전망 363
2. 시사점 367
제6장 결론 및 향후 추진사항 368
1. 결론 368
2. 향후 추진사항 369
참고문헌 371
[부록 Ⅰ] 업체 선정 결과 384
[부록 Ⅱ] 업체별 배출량조사 배출현황 386
[부록 Ⅲ] 업체별 온실가스 현황 417
[부록 Ⅳ] 업체별 굴뚝자동측정기기(TMS) 측정결과 419
[부록 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석결과 421
[부록 Ⅵ] 물질별 국내외 규제정보 426
[부록 Ⅶ] SSC 관련 전문가 설문조사지 435
Executive Summary 447
판권기 3
〈표 2-1〉 EU 그린딜 및 오염제로 달성을 위한 화학물질 관련 정책 활동 경과 37
〈표 2-2〉 KPIs 개발을 위해 제안된 항목과 추가 제안된 항목 39
〈표 2-3〉 OSOA의 비전과 성취전략 41
〈표 2-4〉 LEED의 오염물질 관련 분야별 평가 내용 56
〈표 2-5〉 BREEAM 등급 57
〈표 2-6〉 BREEAM 평가 분야 및 평가 내용 58
〈표 2-7〉 EarthCheck 분야별 평가 내용 60
〈표 2-8〉 CASBEE 분야별 평가 내용 62
〈표 2-9〉 녹색화학 협의체 분과별 안건 및 운영 계획 64
〈표 2-10〉 SSC 적용을 위한 검토 대상 법령과 조항 및 정비 방향 73
〈표 2-11〉 「탄소중립기본법」의 녹색성장 검토 조항 76
〈표 2-12〉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제14조의2 녹색제품 정보관리체계 구축ㆍ운영 77
〈표 2-13〉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제7조(신기술인증과 기술검증) 및 시행령 제18조(신기술인증이나 기술검증의 신청) 78
〈표 2-14〉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제12조(환경기술지원) 및 시행령 제21조(기술 지원 대상시설 등) 79
〈표 2-15〉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 촉진에 관한 법률」의 녹색성장 검토 조항 80
〈표 2-16〉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제24조(위해성 평가) 및 시행규칙 제32조(위해성 평가의 방법 등) 82
〈표 2-17〉 「화학제품안전법」 제8조(위해성 평가) 83
〈표 2-18〉 「화학제품안전법」 제9조(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의 안전기준) 84
〈표 2-19〉 「환경보건법」 제11조(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 및 관리) 및 제12조(새로운 기술 및 물질의 적용 또는 사용 제한) 85
〈표 2-20〉 「잔류성오염물질관리법」 제13조(잔류성오염물질의 제조ㆍ수출입ㆍ사용의 금지와 제한) 및 제14조(배출허용기준) 86
〈표 2-21〉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제6조(통합허가), 제7조(허가기준 등) 및 제24조(최적가용기법 등) 88
〈표 2-22〉 G-SEED 등급 90
〈표 2-23〉 G-SEED 신축 주거용 건축물 인증항목 및 세부평가 기준 90
〈표 2-24〉 G-SEED 신축 비주거용 건축물 인증항목 및 세부평가 기준 91
〈표 2-25〉 건강친화형 주택 평가 의무기준 92
〈표 2-26〉 건강친화형 주택 평가 권장기준 92
〈표 2-27〉 지능형 건축물 인증등급 93
〈표 2-28〉 지능형 건축물 평가항목 중 오염물질 관련 항목 93
〈표 2-29〉 EC의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혁신을 위한 연구 및 정책 추진 내용 96
〈표 2-30〉 SSbD 프레임워크 정책 권고에 대한 주체별 권고 사항 100
〈표 2-31〉 EC가 제시한 초기 버전의 보고 템플릿 구성 103
〈표 2-32〉 EU CSS를 위한 7가지의 SSbD 설계 원칙 111
〈표 2-33〉 EU SSbD 평가를 위한 4가지 절차와 절차별 주요 특성 113
〈표 2-34〉 EU SSbD 평가 1단계에서 고려할 평가 요소 115
〈표 3-35〉 EU SSbD 1단계 평가를 통한 유해성 수준의 분류 117
〈표 2-36〉 EU SSbD 평가 2단계에서 고려할 평가 범주와 지표 120
〈표 2-37〉 EU SSbD 4단계 평가에서 LCA를 위한 주요 평가 범주, 지표, 방법 126
〈표 2-38〉 JRC 발행 SSbD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사례 연구에서 다룬 주요 화학물질 131
〈표 2-39〉 SSbD 프레임워크 사례 분석 연구의 대상 물질 유형 134
〈표 2-40〉 유리병 뚜껑 실링 개스킷에서 사용되는 물질(기준물질)과 대안 물질의 개요 135
〈표 2-41〉 Caldeira et al.(2023)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141
〈표 2-42〉 Caldeira et al.(2023)의 환경 유해성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142
〈표 2-43〉 Caldeira et al.(2023)의 물리적 유해성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143
〈표 2-44〉 추가로 진행된 조사에 따른 인체 유해성 분석 결과(수정표) 147
〈표 2-45〉 추가로 진행된 조사에 따른 환경 유해성 분석 결과(수정표) 149
〈표 2-46〉 추가로 진행된 조사에 따른 물리적 유해성 분석 결과(수정표) 151
〈표 2-47〉 Step 1에 따른 연구 대상 물질별 SSbD 평가 점수 할당 결과 152
〈표 2-48〉 SSbD 프레임워크 사례 분석 연구에서 구성한 2단계 평가 인자 153
〈표 2-49〉 유리병 뚜껑 실링 개스킷의 수명주기와 그에 따른 기여 시나리오 구성 155
〈표 2-50〉 각 공정의 기여 시나리오별 RCR(유해 지수)에 따른 점수 부여 방법 157
〈표 2-51〉 가소제 제조 단계에서의 환경 및 인체 영향 스코어 158
〈표 2-52〉 플라티솔 형성 단계에서의 환경 및 인체 영향 스코어 158
〈표 2-53〉 개스킷 생산 단계에서의 환경 및 인체 영향 스코어 159
〈표 2-54〉 인체 및 환경 영향에 대한 평가 점수와 물질별 2단계 평가의 최종 결과 159
〈표 2-55〉 3단계 평가에서 노출량 추정을 위한 연구 대상 물질별 주요 변수의 구성 160
〈표 2-56〉 SSbD 3단계 평가를 위한 위해성 특성화 비율에 따른 스코어링 방법 161
〈표 2-57〉 8개 식품에서의 적용을 가정한 물질별 영향 수준의 비교 162
〈표 2-58〉 참조 물질(DEHP) 대비 영향 개선 정도 수준에 따른 스코어링 방법 164
〈표 2-59〉 16개 영향 범주에 대한 물질별 분석 결과의 스코어링 결과 166
〈표 2-60〉 2단계 평가 결과에 대한 MCDA 스코어링 결과 169
〈표 2-61〉 4단계 각각의 영향 그룹별 점수 산정 결과와 평가 결과의 종합 170
〈표 2-62〉 1~3단계 평가 결과를 통합한 연구 대상 물질별 안전성 수준 171
〈표 2-63〉 4단계 평가 결과의 재산출 결과와 환경적 영향 수준 171
〈표 2-64〉 최종 SSbD 평가를 위한 안전성과 환경성에 대한 행렬 로직 구성 172
〈표 2-65〉 연구 대상 물질별 SSbD 수준(행렬 로직을 적용한 최종 결과) 172
〈표 2-66〉 EU CSS 산업전환 측정을 위한 핵심 요소와 정의 177
〈표 2-67〉 EU CSS 산업전환 측정을 위한 4개 속성과 38개 하위 요소의 구성 179
〈표 2-68〉 EU CSS와 연계할 수 있는 12개 선행 지표 181
〈표 2-69〉 EU CSS 측정 요소에 대한 12개 지표의 직ㆍ간접 모니터링 매핑 결과 181
〈표 2-70〉 12개 예비 지표의 활용 방안 검토 결과 184
〈표 2-71〉 CSS 산업전환 측정을 위한 새로운 지표 활용 가능성 검토 결과 188
〈표 2-72〉 EU CSS 산업전환 측정을 위한 KPI로 권장된 12개의 지표(안) 192
〈표 2-73〉 미국 '지속가능성을 위한 화학적 안전성(CSS)' 분야 연구 주제 199
〈표 2-74〉 EPA가 선별한 '화학물질 평가' 관련 연구 분야별 주요 연구 주제 200
〈표 2-75〉 EPA가 선별한 '복잡계 과학' 관련 연구 분야별 주요 연구 주제 202
〈표 2-76〉 EPA가 선별한 '안전한 화학물질에 대한 의사결정 지원' 관련 연구 주제 204
〈표 2-77〉 미국 그린스크린 평가에서의 1단계 유해성 평가 항목의 구성 206
〈표 2-78〉 미국 그린스크린 1단계에서 도출된 유해성 요약표(예시) 208
〈표 2-79〉 환경부 SSC 관련 국가R&D과제 목록 213
〈표 2-80〉 녹색혁신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 녹색산업 5대 선도분야 215
〈표 2-81〉 환경부 SSC 관련 연구사업 216
〈표 2-82〉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SSC 관련 국가R&D과제 목록 218
〈표 2-83〉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SSC 관련 국가R&D과제 목록 222
〈표 2-8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SC 관련 국가R&D과제 목록 225
〈표 2-85〉 탄소감축 인증표준 구성 228
〈표 2-86〉 탄소감축 인증표준 기준 원칙 228
〈표 2-87〉 SK아이이테크놀로지 Phase-out 사례 232
〈표 2-88〉 SK아이이테크놀로지 전 과정평가 영역 232
〈표 2-89〉 K-CHESAR 입력 자료 234
〈표 2-90〉 GS칼텍스의 친환경 제품 및 기술을 위한 R&D 238
〈표 2-91〉 환경(E)분야 지표 242
〈표 3-1〉 EU의 SSC 평가 단계별 정의 246
〈표 3-2〉 EU의 SSC 평가 단계별 평가요소 247
〈표 3-3〉 EU SSbD의 평가 단계별 평가요소 및 주요 검토 항목 247
〈표 3-4〉 UBA(2016)의 지속가능한 화학물질 평가 속성과 평가 기준 249
〈표 3-5〉 UBA(2016)의 평가 요소별 평가 기준에 따른 대응 방안 250
〈표 3-6〉 UBA(2016)의 평가요소별 정의 251
〈표 3-7〉 UBA(2016)의 평가요소 및 주요 검토 항목 252
〈표 3-8〉 평가 요소 비교[UBA(2016) - EU SSbD 1단계] 255
〈표 3-9〉 평가 요소 비교[UBA(2016) - EU SSbD 2단계] 256
〈표 3-10〉 평가 요소 비교[UBA(2016) - EU SSbD 3단계] 257
〈표 3-11〉 평가 요소 비교[UBA(2016) - EU SSbD 4단계(1)] 258
〈표 3-12〉 평가 요소 비교[UBA(2016) - EU SSbD 4단계(2)] 259
〈표 3-13〉 평가 요소 비교[UBA(2016) - EU SSbD 4단계(3)] 260
〈표 3-14〉 EU SSbD - 2단계 지표 및 평가 요소(건강위험) 261
〈표 3-15〉 UBA(2016) - '인체 유해성'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262
〈표 3-16〉 EU SSbD - 2단계 지표 및 평가 요소(물리적 위험) 263
〈표 3-17〉 UBA(2016) - '물리화학적 위험성'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264
〈표 3-18〉 EU SSbD - 1단계 지표 및 평가 요소(환경적 요소) 265
〈표 3-19〉 UBA(2016) - '환경 유해성'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265
〈표 3-20〉 EU SSbD - 2단계 지표 및 평가 요소(방출 위험 및 공정에서의 위험) 266
〈표 3-21〉 UBA(2016) - '이동성(매체 간의 이동)'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267
〈표 3-22〉 UBA(2016) '원재료의 원산지'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268
〈표 3-23〉 UBA(2016) '자원 소비'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일부) 269
〈표 3-24〉 EU SSbD, 4단계에서 평가하는 영향 평가 범주 - 기후변화 269
〈표 3-25〉 UBA(2016)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270
〈표 3-26〉 EU SSbD, 4단계 평가에서 고려하는 영향 평가 범주 - 자원 270
〈표 3-27〉 UBA(2016) '자원 소비'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271
〈표 3-28〉 EU SSbD 프레임워크 시범 적용 연구 개요 272
〈표 3-29〉 평가대상 화학물질 273
〈표 3-30〉 평가구분별 평가 인자(Step 1) 274
〈표 3-31〉 Step 1 SSbD 평가 점수 275
〈표 3-32〉 평가구분별 평가 인자(Step 2) 276
〈표 3-33〉 각 공정의 시나리오별 RCR(유해지수)에 따른 점수(Step 2) 277
〈표 3-34〉 평가구분별 평가 인자(Step 3) 278
〈표 3-35〉 각 노출 시나리오별 RCR(유해지수)에 따른 점수(Step 3) 279
〈표 3-36〉 평가구분별 평가 인자(Step 3) 280
〈표 3-37〉 'Safety' 수준 결정 281
〈표 3-38〉 EU SSbD 프레임워크 시범 적용 평가인자 및 가능성 분석 283
〈표 3-39〉 국내 실정에 맞는 평가 요소 및 검토 항목(안) 284
〈표 3-40〉 평가단계 및 평가방법(안) 285
〈표 3-41〉 SSbD 프레임워크 최종평가 로직 286
〈표 3-42〉 사업장 모집단 선정(안) 및 주요 평가 항목 288
〈표 3-43〉 업체 선정(안) 289
〈표 3-44〉 선정업체 규모별 분류 293
〈표 3-45〉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제공 내용 294
〈표 3-46〉 화학물질 배출업종별 사업장 현황 296
〈표 3-47〉 업종별 화학물질(종) 배출 현황 298
〈표 3-48〉 지역별 화학물질 사업장 및 화학물질(종) 배출 현황 299
〈표 3-49〉 연도별 화학물질 배출량ㆍ이동량 및 자가매립량 현황 300
〈표 3-50〉 업종별 화학물질 배출 현황 302
〈표 3-51〉 지역별 화학물질 배출량 304
〈표 3-52〉 지역별 배출저감 대상 화학물질(9종) 배출 현황 306
〈표 3-53〉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308
〈표 3-54〉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309
〈표 3-55〉 업종별 온실가스 사용량 현황 311
〈표 3-56〉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313
〈표 3-57〉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대상 중 온실가스 배출ㆍ에너지 사용 상위 업종 315
〈표 3-58〉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조사 및 배출저감(9종) 업종 온실가스 배출ㆍ에너지 사용 현황 316
〈표 3-59〉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조사 및 화학물질 배출저감 대상 사업장 현황 317
〈표 3-60〉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조사 및 화학물질 배출저감 대상 사업장 근로자 수 319
〈표 3-61〉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조사 및 화학물질 배출저감 대상 사업장 배출 현황 320
〈표 4-1〉 국내 실정에 맞는 SSC 평가 인자(안) 322
〈표 4-2〉 항목별 정보 확보 방안 검토 323
〈표 4-3〉 국내 실정에 맞는 SSC 평가 인자(안) 324
〈표 4-4〉 N,N-디메틸포름아미드 물질정보 325
〈표 4-5〉 N,N-디메틸포름아미드 인체 유해성 관련 규제 327
〈표 4-6〉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인체 유해성 328
〈표 4-7〉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물리적 위험성 329
〈표 4-8〉 N,N-디메틸포름아미드 환경 유해성 329
〈표 4-9〉 Step 1의 SSbD 점수 330
〈표 4-10〉 N,N-디메틸포름아미드 작업환경 노출 시나리오 331
〈표 4-11〉 DMF 작업자에 대한 위해도 332
〈표 4-12〉 공기 호흡으로 인한 위해도 - 일반인(환경을 통한 간접노출) 333
〈표 4-13〉 N,N-디메틸포름아미드 국지적 규모의 매체별 예측환경농도(PEC) 334
〈표 4-14〉 Step 2의 SSbD 점수 기준 334
〈표 4-15〉 Step 2의 최종 SSbD 점수 334
〈표 4-16〉 유아 및 아동용 폴리우레탄 수지제품의 함량 조사 결과 335
〈표 4-17〉 Step 3의 SSbD 점수 기준 336
〈표 4-18〉 Step 3의 최종 SSbD 점수 336
〈표 4-19〉 1kg DEHP 생산을 위한 Life cycle Inventory(예시) 337
〈표 4-20〉 Step 4의 16가지 영향 범주 338
〈표 4-21〉 Step 4 평가방법 제안 - 독일 UBA 지표 활용 339
〈표 4-22〉 독일 UBA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339
〈표 4-23〉 독일 UBA의 '에너지 소비', '물 소비'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340
〈표 4-24〉 독일 UBA의 '원료의 부정적 영향' 평가 요소에 대한 검토 방법 340
〈표 4-25〉 Step 4 평가 방법에 따른 SSbD 점수(안) - 독일 UBA 평가방법 활용 341
〈표 4-26〉 최종 Safety 평가(Step 1~3) 342
〈표 4-27〉 최종 Environmental 평가(Step 4) - 예시 342
〈표 4-28〉 SSbD 프레임워크 최종평가 로직 342
〈표 4-29〉 전문가 설문조사 주요 주제 및 세부 항목 344
〈표 4-30〉 SSC 적용 평가 지표 후보 및 관련 기술 범주(안) 354
〈표 4-31〉 배출 저감 기술 현황 355
〈표 5-1〉 오염제로 행동계획에 제시된 매체 관리 목표(Target)에 대한 상세 설명 359
〈표 5-2〉 첫 번째 오염제로 모니터링과 세 번째 청정 대기 Outlook에 제시된 현황진단, 향후 계획 및 관련 정책 365
〈그림 1-1〉 연차별 주요 연구 내용 35
〈그림 2-1〉 EU REACH 제한 로드맵 롤링 리스트의 Pool 0 목록 예시 43
〈그림 2-2〉 CLP 개정에 따른 새로운 분류 체계 46
〈그림 2-3〉 CLP 개정에 따른 새로운 분류 체계의 적용 단계 46
〈그림 2-4〉 CASBEE 평가분야 및 평가등급 61
〈그림 2-5〉 환경부 녹색화학 추진 동향 63
〈그림 2-6〉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원칙 65
〈그림 2-7〉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 판단 절차 66
〈그림 2-8〉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판단기준 67
〈그림 2-9〉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업무 목표 69
〈그림 2-10〉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 전략」 71
〈그림 2-11〉 G-SEED 건축물 구분 체계 89
〈그림 2-12〉 EU의 SSbD 평가 절차에 대한 요약도 99
〈그림 2-13〉 EU의 SSbD '보고 템플릿' 샘플의 초기 버전(PDF 파일로 제공) 102
〈그림 2-14〉 EU의 SSbD '보고 템플릿' 샘플의 갱신 버전(엑셀 파일로 제공) 107
〈그림 2-15〉 SSbD 보고 템플릿 공개와 권고문서 발표 이후 정책 이행 경과를 볼 수 있는 EC 홈페이지 운영 사례 108
〈그림 2-16〉 연구 대상 가소제가 사용되는 유리병 금속 뚜껑 내 실링 개스킷의 주요 공정과 수명주기 개요도 137
〈그림 2-17〉 유리병 금속 뚜껑 실링 개스킷에 대한 SSbD 평가 설계의 예시 139
〈그림 2-18〉 SSbD 프레임워크 1단계 평가 방법 144
〈그림 2-19〉 IATA에 의거한 SSbD 1단계 평가 추가 정보 조사ㆍ분석 절차 145
〈그림 2-20〉 4단계 LCA 분석을 위한 개스킷 수명주기의 모식도 163
〈그림 2-21〉 안전성 및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통합하는 계층 구조 168
〈그림 2-22〉 EU CSS 측정에 고려되는 4가지 속성 178
〈그림 2-23〉 미국 그린스크린의 유해성 분류를 위한 기준 체계(예시: 발암성 부문) 207
〈그림 2-24〉 미국 그린스크린 평가를 위한 유기화학물질의 벤치마크 기준 209
〈그림 2-25〉 대한상의 탄소감축인증센터 조직도 및 보도자료 226
〈그림 2-26〉 탄소감축 인증표준 227
〈그림 2-27〉 KCS 인증절차 229
〈그림 2-28〉 SK아이이테크놀로지 제품 유해성 관리 프로세스 231
〈그림 2-29〉 롯데케미칼 제품 위해성 평가 절차 233
〈그림 2-30〉 전 과정평가(LCA) 236
〈그림 2-31〉 LCA 수행 프로세스 237
〈그림 2-32〉 ESG 개념 240
〈그림 2-33〉 ESG 평가방식 241
〈그림 2-34〉 한국ESG기준원 ESG 평가 프로세스 243
〈그림 3-1〉 EU SSbD와 UBA(2016) 평가요소 비교 253
〈그림 3-2〉 건강 유해성평가 예시 275
〈그림 3-3〉 가소제 제조공정에서의 시나리오별 점수 277
〈그림 3-4〉 Step 2 SSbD 평가 점수 277
〈그림 3-5〉 Step 3 SSbD 평가 점수 279
〈그림 3-6〉 Step 4 SSbD 평가 점수 280
〈그림 3-7〉 최종 SSbD 평가 로직 282
〈그림 3-8〉 최종 SSbD 점수 282
〈그림 3-9〉 국내 SSC 상세현황 분석을 위한 업체 선정 절차(안) 287
〈그림 3-10〉 A사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쟁광물 정책 및 온실가스 배출량 295
〈그림 3-11〉 B사 에너지 사용량 및 폐기물 발생량 295
〈그림 3-12〉 연도별 배출량ㆍ이동량 및 자가매립량 현황 301
〈그림 3-13〉 지역별 화학물질 배출 현황 303
〈그림 3-14〉 연도별 배출저감 대상물질(9종) 배출량 305
〈그림 3-15〉 배출저감 대상물질(9종)에 대한 화학물질 배출량 307
〈그림 3-16〉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314
〈그림 3-17〉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 상위 업종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315
〈그림 3-18〉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조사 및 배출저감(9종) 대상 업종 온실가스 배출ㆍ에너지 사용 비중 316
〈그림 3-19〉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조사 및 화학물질 배출저감 대상 사업장 현황 317
〈그림 3-20〉 지역별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조사 및 화학물질 배출저감 대상 사업장 현황(2021년 기준) 318
〈그림 3-21〉 화학물질ㆍ온실가스 배출조사 및 화학물질 배출저감 대상 사업장 규모 319
〈그림 4-1〉 국내 실정에 맞는 인벤토리 구축(안) 321
〈그림 4-2〉 DMF의 용도 현황 326
〈그림 4-3〉 SSbD 프레임워크 Step 1 워크플로우 330
〈그림 4-4〉 EU 그린딜오염 제로 및 CSS 전략 인지도 조사 345
〈그림 4-5〉 국내 그린딜 추진을 위한 화학물질 전략 수립 인식 조사 346
〈그림 4-6〉 탄소중립, 화학물질 안전 관리 및 경제 활성화 상대적 중요도 조사 346
〈그림 4-7〉 국내 그린딜 대응 및 SCC 전략 수립 시 고려요소 347
〈그림 4-8〉 국내 SCC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전략 및 정책 방향 수립 시 필요한 접근방법 348
〈그림 4-9〉 국내 화학물질 평가 방법 변경에 대한 동의 정도 348
〈그림 4-10〉 국내 화학물질 평가 방법 변경 동의 수준 349
〈그림 4-11〉 SSC 평가 프레임워크(안) 평가 단계 중요도 349
〈그림 4-12〉 SSC 평가 프레임워크(안) 평가항목 관련 의견 350
〈그림 4-13〉 SSC 평가 프레임워크(안) 평가인자 구성 적절성 351
〈그림 4-14〉 SSC 평가 프레임워크(안) 평가인자 관련 의견 351
〈그림 4-15〉 국내 SSC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고려요소 필요도 352
〈그림 4-16〉 국내 SSC 고려한 화학물질 평가 및 관리체계 도입 시 검토 필요 법령 352
〈그림 4-17〉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화학물질(SSC) 관리체계 마련 관련 의견 353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그린뉴딜 이행을 위한 오염 제로(Zero Pollution) 달성 전략 연구.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