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외교·안보와 북한

목차

표제지

목차

1. 탈냉전 이후 한미동맹에 대한 국민 인식 변화와 특성 / 김병조 7

요약문 7

Ⅰ. 서론 8

Ⅱ. 한미동맹에 대한 국민 인식 추세분석 11

1. 미국에 대한 인식 11

2. 주한미군 및 한미동맹에 대한 인식 18

Ⅲ. 한미동맹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 22

1. 한국에서의 반미감정과 반미시위 22

2. 한미동맹 저해요인에 대한 국민의식 추세분석 24

Ⅳ. 한미동맹 발전을 지속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 27

1. 미군범죄와 환경문제 발생에 유의 27

2. 한미 간 합리적인 방위비 분담금 책정 29

3. 주한미군 주둔지 지역사회, 지역주민에 관심제고 31

4. 평화를 지키는 군으로서 미군 이미지 보완 32

Ⅴ. 결론 34

참고문헌 36

2. 전환기 한국 외교안보정책 담론의 변화와 과제 / 홍태영 37

요약문 37

Ⅰ. 서론 39

Ⅱ. 본론 42

1. '탈냉전'에서 '신냉전'으로? 42

2. 한국 진보/보수정권의 부침과 안보담론의 변화 59

Ⅲ. 결론 67

참고문헌 70

3. 인도-태평양에서의 해양안보 정세와 협력 발전방안: 남중국해와 인도양을 중심으로 / 이숙연;조원득 74

요약문 74

Ⅰ. 서론 76

Ⅱ. 인도-태평양의 안보환경 평가 77

1. 남중국해의 해양안보 환경 77

2. 인도양의 해양안보 환경 91

Ⅲ. 인도-태평양 중견국의 해양안보 전략 98

1. 남중국해의 아세안 98

2. 인도양의 인도 114

Ⅳ. 한국에의 함의 123

참고문헌 129

4. 인도-태평양 시대: 이론과 전략-정치변동과 동아시아 협력 공간 / 정한범;민정훈;최경준 136

요약문 136

Ⅰ. 서론 138

Ⅱ.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미일의 인식 및 각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139

1.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인식 및 인도-태평양 전략 139

2. 중국의 부상에 대한 미국의 인식 및 인도-태평양 전략 144

3. 중국의 부상에 대한 일본의 인식 및 인도-태평양 전략 151

Ⅲ. 한미일 3국의 국내정치적 변동과 상호 협력관계 159

1. 한국의 국내정치적 변동과 상호 협력관계 159

2. 미국의 국내정치적 변동과 상호 협력관계 165

3. 일본의 국내정치적 변동과 상호 협력관계 171

Ⅳ. 동아시아 협력 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 및 한국의 대응 방안 184

1. 한미일 안보 협력과 동아시아 협력 공간 184

2. 한미일 경제 협력과 동아시아 협력 공간 199

3. 한국의 대응 방안 206

Ⅴ. 결론 218

참고문헌 224

판권기 3

1. 탈냉전 이후 한미동맹에 대한 국민 인식 변화와 특성 / 김병조 12

〈표 1〉 미국에 대한 호감도(2002년~2021년) 12

〈표 2〉 한미동맹의 역할 22

〈표 3〉 한미동맹 저해 요인(2003년~2009년, 1가지 선택) 24

〈표 4〉 한미동맹 저해 요인(2010년~2020년, 2022년 2가지, 2021년 1가지 선택) 26

〈표 5〉 주한미군 및 군속 등의 범죄 통계 28

〈표 6〉 주한미군 주둔 이유(2020년~2022년) 31

〈표 7〉 미국이미지 33

3. 인도-태평양에서의 해양안보 정세와 협력 발전방안: 남중국해와 인도양을 중심으로 / 이숙연;조원득 83

〈표 1〉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명백한 목표와 지원 조치 83

〈표 2〉 중국의 회색지대 해양전술 83

〈표 3〉 중국 해안 경비대의 경비함 수 85

〈표 4〉 중국-인도 주요 군사력 비교 95

〈표 5〉 아세안 국가들의 해안 경비대 조직 현황 103

〈표 6〉 해안 경비대의 일반적 임무 125

4. 인도-태평양 시대: 이론과 전략-정치변동과 동아시아 협력 공간 / 정한범;민정훈;최경준 153

〈표 1〉 일본과 중국의 경제력과 국방비 비교(2000년, 2020년) 153

1. 탈냉전 이후 한미동맹에 대한 국민 인식 변화와 특성 / 김병조 14

〈그림 1〉 한국인의 주변국에 대한 친근감 비교(2007년~2021년) 14

〈그림 2〉 안보적 측면에서 한국에 중요한 국가(2004년~2022년) 14

〈그림 3〉 경제적 측면에서 한국에 중요한 국가(2004년~2022년) 16

〈그림 4〉 주한미군의 중요성, 한미동맹의 견고성(2004년~2022년) 19

〈그림 5〉 한미동맹 발전 방향에 대한 찬성 의견(2009년~2022년) 20

〈그림 6〉 주한미군으로 인한 안보 비용 절약에 대한 의견(2008년~2022년) 30

3. 인도-태평양에서의 해양안보 정세와 협력 발전방안: 남중국해와 인도양을 중심으로 / 이숙연;조원득 85

〈그림 1〉 2000년 이후 중국 해양세력의 성장 85

〈그림 2〉 중국의 회색지대 전략이 구사되는 유형의 수 87

〈그림 3〉 2022년 남중국해에서의 중국 해안 경비대 순찰일 88

〈그림 4〉 2021년 휫선암초 포위 사건 89

〈그림 5〉 2023년 CCG의 미스치프 압박 89

〈그림 6〉 필리핀 정부선박에 대한 CCG의 접근 방해 및 항로변경 강요 90

〈그림 7〉/〈그림 6〉 중국의 해군 기지 후보지 97

〈그림 8〉/〈그림 7〉 영토 및 해양 주장의 평균 수(1900~2001) 124

해시태그

#한미동맹 # 외교안보정책 # 한미동맹 # 해양안보 # 인도태평양지역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