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Abstract 8
01. 서론 26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27
1. 연구 배경 27
2. 연구의 목적 29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30
1. 연구 범위 30
2. 연구 방법 31
제3절 선행연구 검토 34
1. 선행연구 현황 34
2.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5
제4절 연구의 주요 내용과 흐름 37
1. 연구의 주요 내용 37
2. 연구 흐름도 38
02. 개발협력 데이터 지식화와 공간정보포털 필요성 39
제1절 개발협력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지식화 40
1. 국제개발협력의 디지털 전환 동향 40
2. 개발협력 데이터의 지식관리 필요성 42
제2절 우리나라 개발협력 데이터 지식화 현황 및 문제점 44
1. 개발협력 데이터의 관리현황 44
2. 공간정보를 활용한 개발협력 데이터 지식화 방안 53
제3절 개발협력 공간정보포털 사례분석 55
1. 개발협력 기관의 공간정보포털 구축사례 55
2. 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원국 개발현황 구축사례 57
제4절 ODA 공간정보포털 필요성과 기대효과 59
03. 캄보디아 개발협력 현황진단 및 개발수요 분석 61
제1절 캄보디아 ODA 일반현황 및 전략 분석 62
1. 캄보디아 개발 환경 및 국가개발전략 62
2. 캄보디아 ODA 현황 78
제2절 부문별 ODA 추진현황과 개발현황 분석 103
1. 보건 분야 ODA 추진현황과 개발현황 분석 103
2. 수자원 분야 ODA 추진현황과 개발현황 분석 118
3. 농촌개발 분야 ODA 추진현황과 개발현황 분석 134
4. 교통 분야 ODA 추진 현황과 개발 현황 분석 151
5. 도시 분야 ODA 추진현황과 개발현황 분석 177
제3절 캄보디아 민간부문 참여현황과 수요 분석 204
1. 캄보디아 인프라ㆍ건설 개발 동향 분석 204
2. 민간기업 진출 여건 및 사례 분석 216
제4절 캄보디아 개발협력 현황 종합분석 및 소결 233
04. 캄보디아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 및 심층분석 235
제1절 ODA 공간정보포털 기본구상 236
1. 개요 236
2. 캄보디아 공간정보포털 데이터 수집과 처리 242
제2절 캄보디아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 250
1. 화면설계 구성 및 구성 목적 250
2. ODA 공간정보포털 구현 251
제3절 공간정보포털을 통한 캄보디아 ODA 심층분석 260
1. 보건 분야 심층분석 260
2. 수자원 분야 심층분석 266
3. 농촌개발 분야 275
4. 교통 분야 282
5. 도시개발 분야 288
05. 캄보디아 ODA 전략패키지 기획 297
제1절 캄보디아 ODA 전략패키지 기획 298
1. ODA 전략패키지 발굴 현황 및 문제점 298
2. 전략 패키지 현황 301
3. 개선방향 305
제2절 공간정보포털을 통한 패키지 발굴 방안 및 기획(안) 308
1. 농업개발 분야 전략패키지 기획(안) 308
2. 도시개발 분야 전략패키지 기획(안) 315
06.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을 위한 정책제언 326
제1절 ODA 공간정보포털의 활용성 및 필요성 검증 327
1. 캄보디아 개발협력 기관 면담 327
2. ODA 공간정보포털의 활용성 및 필요성 검증 335
제2절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 방안 및 정책제언 353
1.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 절차 및 방법 353
2. 실행계획 및 정책제언 363
참고문헌 367
[부록] 382
1. 캄보디아 개발현황 DATA 382
2. ODA 공간정보포털 활용 및 제도화 방안 의견조사지 387
판권기 391
〈표 1-1〉 분야별 외부 전문가 참여현황 33
〈표 1-2〉 분야별 외부 전문가 주요 과업과 세부내용 33
〈표 1-3〉 선행연구 검토 36
〈표 2-1〉 ODA 통계 데이터의 사업별 보유 정보 47
〈표 2-2〉 IATI 사업정보 사업별 보유 정보 47
〈표 2-3〉 우리나라 개발협력 프로젝트의 단계별 비정형 데이터 49
〈표 2-4〉 해외 개발협력 기관의 공간정보포털 사례 비교 55
〈표 2-5〉 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원국 개발현황 구축사례 비교 58
〈표 3-1〉 캄보디아의 주요 경제 지표 65
〈표 3-2〉 캄보디아의 주요 사회 지표 67
〈표 3-3〉 정치 플랫폼 우선사항 및 우선정책프로그램 69
〈표 3-4〉 오각 전략의 목표, 핵심, 선결과제 및 전략적 우선순위 71
〈표 3-5〉 캄보디아의 분야별 전략 73
〈표 3-6〉 TWGs별 의장 및 수석 퍼실리테이터 및 우리나라 CPS 중점분야 76
〈표 3-7〉 캄보디아 분야별 ODA 추이(2016~2022년) 80
〈표 3-8〉 우리나라의 캄보디아 국가협력전략(2019~ ) 기본 방향 81
〈표 3-9〉 우리나라의 캄보디아 지원 비중(2016~2022년) 83
〈표 3-10〉 한국의 캄보디아 ODA 분야별 지원 추이(상위 5개 분야, 2016~2022년) 84
〈표 3-11〉 캄보디아 주요 공여국ㆍ기관 지원 추이(지원 금액 순, 2016~2022년) 85
〈표 3-12〉 주요 공여국ㆍ기관의 캄보디아 지원전략과 중점분야 85
〈표 3-13〉 일본의 캄보디아 지원 중점분야 및 세부 내용 88
〈표 3-14〉 일본의 캄보디아 지원 비중(2016~2022년) 88
〈표 3-15〉 일본의 캄보디아 ODA 분야별 지원 추이(상위 5개 분야, 2016~2022년) 89
〈표 3-16〉 일본의 캄보디아 대표 ODA 사업 90
〈표 3-17〉 프랑스의 캄보디아 지원 비중(2016~2022년) 91
〈표 3-18〉 프랑스의 캄보디아 ODA 분야별 지원 추이(상위 5개 분야, 2016~2022년) 92
〈표 3-19〉 미국의 캄보디아 국가개발협력전략(2020~2025) 목표 93
〈표 3-20〉 미국의 캄보디아 지원 비중(2016~2022년) 93
〈표 3-21〉 미국의 캄보디아 ODA 분야별 지원 추이(상위 5개 분야, 2016~2022년) 94
〈표 3-22〉 미국의 캄보디아 대표 ODA 사업 94
〈표 3-23〉 중국의 란창-메콩 협력 메커니즘(LMC)의 주요 추진방향 및 핵심 내용(3+5+X 협력 프레임) 95
〈표 3-24〉 중국의 캄보디아 대표 ODA 사업 98
〈표 3-25〉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캄보디아 지원 비중(2016~2022년) 100
〈표 3-26〉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캄보디아 ODA 분야별 지원 추이(상위 5개 분야, 2016~2022년) 100
〈표 3-27〉 세계은행 국제개발협회(WB IDA)의 캄보디아 ODA 분야별 지원 추이(상위 5개 분야, 2016~2022년) 102
〈표 3-28〉 HSP3의 전략적 목적 및 이를 위한 개입(intervention) 영역 105
〈표 3-29〉 공공의료기관의 등급과 기능 108
〈표 3-30〉 캄보디아의 출생시 기대수명(2000~2020년) 109
〈표 3-31〉 전염성 질환과 비전염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110
〈표 3-32〉 SDGs 달성 현황(2022년) 113
〈표 3-33〉 한국국제협력단 지원사업 내역 114
〈표 3-34〉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지원사업 내역 116
〈표 3-35〉 대외경제협력기금 지원사업 내역 117
〈표 3-36〉 캄보디아 수자원 관리 법률 구분 및 주요내용 119
〈표 3-37〉 농촌 물 공급 및 위생에 대한 국가 전략(2011~2025) 주요 내용 121
〈표 3-38〉 수자원 관련 정부기관 현황 121
〈표 3-39〉 수자원 관련 지방정부기관 현황 125
〈표 3-40〉 수자원 관련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126
〈표 3-41〉 캄보디아 ODA 분야별(2016~2022년) 126
〈표 3-42〉 우리나라의 캄보디아 수자원 분야 ODA 사업 지원 현황(2010~2023년) 129
〈표 3-43〉 캄보디아의 사각 전략과 오각 전략 비교 134
〈표 3-44〉 캄보디아 농촌개발 관련 부처 및 기관의 주요 전략방향 141
〈표 3-45〉 캄보디아 농촌개발 분야 ODA 사업 상위 145
〈표 3-46〉 우리나라의 캄보디아 농촌개발분야 ODA 사업 지원 현황(2017~2024) 146
〈표 3-47〉 캄보디아의 사회-지리적 분포에 따른 해당 주의 구분과 주요 작물 및 농가수 148
〈표 3-48〉 캄보디아 역내 GMS 사업 155
〈표 3-49〉 2023~2025년 추진 도로 사업 159
〈표 3-50〉 캄보디아 교통 및 물류 사업 이해관계자 160
〈표 3-51〉 국가교통 및 도시교통 관련 이해관계자 분석 161
〈표 3-52〉 캄보디아 도로 현황(2021년) 162
〈표 3-53〉 캄보디아 차량등록대수 추이 162
〈표 3-54〉 아세안 주요국 인프라 현황 165
〈표 3-55〉 캄보디아 인프라 평가 결과 166
〈표 3-56〉 대상국가의 PPP 제도 평가 166
〈표 3-57〉 캄보디아 교통 분야에 대한 우리나라의 지원 방향 167
〈표 3-58〉 원조국별 교통분야 캄보디아 ODA 지원 현황 168
〈표 3-59〉 우리나라의 캄보디아 교통 분야 ODA 추진 현황 169
〈표 3-60〉 교통수단 분담률 변화 171
〈표 3-61〉 씨엠립 주와 시의 면적 및 인구 174
〈표 3-62〉 각 오각 정책별 핵심 추진 방향 178
〈표 3-63〉 Pentagon 2의 핵심 도시개발 분야 정책 이슈 179
〈표 3-64〉 Pentagon 4의 핵심 도시개발 분야 정책 이슈 180
〈표 3-65〉 캄보디아 산업개발정책의 핵심 추진 전략 181
〈표 3-66〉 캄보디아 산업개발정책의 도시개발 분야 핵심 실행계획(Action Plan) 182
〈표 3-67〉 도시개발 분야 핵심 중앙 행정 부처 189
〈표 3-68〉 경제특구 및 산업단지 개발 관련 핵심 중앙 행정 부처 190
〈표 3-69〉 프놈펜의 주요 대규모 도시개발사업 192
〈표 3-70〉 프놈펜 마스터플랜 2035의 부문별 우선사업 현황 197
〈표 3-71〉 바탐방 지역 인구 현황 199
〈표 3-72〉 시엠립 마스터플랜의 주요 내용 요약 201
〈표 3-73〉 시엠립 관광 마스터플랜(2021~2035)의 주요 내용 요약 201
〈표 3-74〉 캄보디아 건설시장 규모 및 성장률 추이 205
〈표 3-75〉 캄보디아 건설 프로젝트 승인 건수 및 금액 205
〈표 3-76〉 CITLS 마스터플랜 프로젝트 목록 206
〈표 3-77〉 연도별 캄보디아 해외건설 수주현황 211
〈표 3-78〉 공종별 캄보디아 해외건설 수주현황 211
〈표 3-79〉 공종별 세부 누계 수주현황 212
〈표 3-80〉 공종별 대표 수주 사례 213
〈표 3-81〉 중국이 일대일로로 캄보디아에 지원한 대규모 사업 219
〈표 3-82〉 우리 건설ㆍ엔지니어링ㆍ설계사 EDCF 사업 수주 목록 222
〈표 3-83〉 우리 건설ㆍ엔지니어링ㆍ설계사의 MDB, JICA 사업 수주 목록 222
〈표 3-84〉 우리 기업의 캄보디아 진출 사례 분류 및 시사점 230
〈표 3-85〉 캄보디아 전략패키지 기획에 참고할 핵심 내용 233
〈표 4-1〉 캄보디아 ODA 사업데이터(2017년~2023년) 243
〈표 4-2〉 개발현황 공간정보데이터 출처 245
〈표 4-3〉 캄보디아 개발현황 데이터 8개분야 119개 지표의 공간정보데이터 구축 247
〈표 4-4〉 분야별 개발현황 공간정보데이터와 출처 249
〈표 4-5〉 한국 ODA 현황 메뉴 구분 253
〈표 4-6〉 캄보디아 개발 현황 메뉴 구분 255
〈표 4-7〉 공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수자원 분야 개발현황 데이터 항목 267
〈표 4-8〉 공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농림수산 분야 개발현황 데이터 항목 276
〈표 4-9〉 공간정보포털 교통 분야 자료항목 284
〈표 4-10〉 공간정보포털 내 도시개발 연계 교통 및 산업에너지 분야 ODA 사업 현황 288
〈표 4-11〉 도시개발 분야 현황 분석대상 및 주요 기본 데이터 현황 295
〈표 4-12〉 도시개발 분야 공간정보 데이터 활용 전략 296
〈표 5-1〉 가나 농촌개발 전략패키지 해당 사업현황(2024년) 309
〈표 5-2〉 탄자니아 농촌개발 전략패키지 해당 사업현황(2024) 309
〈표 5-3〉 캄보디아 전략패키지에 참여 가능한 농촌개발 ODA 사업리스트 313
〈표 5-4〉 도시개발분야 공간정보포털 활용 체계 315
〈표 5-5〉 용도지역시스템 구축 협력사업추진 방안(안) 317
〈표 5-6〉 공간정보포털을 활용한 북부 및 서부 시가지 확장 계획/사업대상지 검토 방안 317
〈표 5-7〉 프놈펜 북부 및 서부 지역 중 적정 개발 가용지 확보 가능 코뮌 지역 319
〈표 5-8〉 프놈펜 북부 및 서부 지역의 5개 코뮌 지역의 개발 잠재력 320
〈표 5-9〉 프놈펜 동부 외곽지역 중 적정 개발 가용지 확보 가능 코뮌 지역 322
〈표 5-10〉 프놈펜 동부 외곽지역의 3개 코뮌 지역의 개발 잠재력 322
〈표 5-11〉 공간정보포털을 활용한 바탐방 상케 강변 개발사업 검토 방안 323
〈표 5-12〉 바탐방 상케 강변 지역 중 적정 개발 가용지 확보 가능 코뮌 지역 325
〈표 6-1〉 ODA 공간정보포털 전문가 설문조사 개요 335
〈표 6-2〉 ODA 공간정보포털의 우리나라 ODA 사업단계별 활용도 분석결과 336
〈표 6-3〉 추진단계별 ODA 공간정보포털의 활용성 338
〈표 6-4〉 ODA 공간정보포털의 우리나라 ODA 이해관계자별 활용도 분석결과 340
〈표 6-5〉 우리나라 개발협력 이해관계자별 ODA 공간정보포털의 활용성 341
〈표 6-6〉 ODA 공간정보포털의 협력국 ODA 이해관계자별 활용도 분석결과 343
〈표 6-7〉 협력국 개발협력 이해관계자별 ODA 공간정보포털의 활용성 344
〈표 6-8〉 ODA 공간정보포털 개선 요구사항 346
〈표 6-9〉 ODA 공간정보포털의 우리나라 ODA 사업단계별 활용도 분석결과 347
〈표 6-10〉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을 위한 선행사항 및 전제조건 350
〈표 6-11〉 정보화전략 및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유사사례 353
〈표 6-12〉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을 위한 국제개발협력기본법 및 시행령 개정(안) 355
〈표 6-13〉 아세안 중점협력 6개국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 예시 364
〈그림 1-1〉 연구 대상국가 선정 과정 31
〈그림 1-2〉 연구의 흐름 38
〈그림 2-1〉 데이터의 지식화 40
〈그림 2-2〉 개발협력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구분 44
〈그림 2-3〉 개발협력 데이터의 유형별 세부 종류 45
〈그림 2-4〉 통합적 ODA 추진의 개발협력 데이터 관리 문제점 51
〈그림 2-5〉 USAID Geospatial Strategy의 일곱 가지 가이드 원칙 54
〈그림 2-6〉 해외 기관의 개발협력 공간정보포털 사례 56
〈그림 2-7〉 해외 기관의 개발협력 공간정보포털 사례 57
〈그림 2-8〉 ODA 공간정보포털의 기대효과 60
〈그림 3-1〉 캄보디아의 제1기 오각 전략의 주요 내용 70
〈그림 3-2〉 캄보디아 ODA 규모 추이(2003~2022년) 78
〈그림 3-3〉 캄보디아 유ㆍ무상 ODA 추이(2016~2022년) 79
〈그림 3-4〉 한국의 캄보디아 ODA 지원 추이(2016~2022년) 83
〈그림 3-5〉 캄보디아에 대한 중국의 개발협력 추이(2013~2022년) 97
〈그림 3-6〉 캄보디아에 대한 중국의 개발협력 지원 분야별 구조 변화 97
〈그림 3-7〉 캄보디아에 대한 아시아개발은행(ADB)의 ODA 전략(2019~2023년) 99
〈그림 3-8〉 캄보디아에 대한 세계은행 국제개발협회(WB IDA)의 ODA 전략(2019~2023년) 101
〈그림 3-9〉 보건전략계획 2016~2020 105
〈그림 3-10〉 HSP4를 위한 공공 보건 시스템 재편 초안 106
〈그림 3-11〉 캄보디아의 3단계 공공의료체계 107
〈그림 3-12〉 캄보디아 인구 피라미드(1990년, 2019년 및 2100년 예측) 109
〈그림 3-13〉 주요 사망원인과 비율 변화(2005~2015년) 111
〈그림 3-14〉 10대 조기사망(premature death) 원인 111
〈그림 3-15〉 불구의 원인 10대 질환 112
〈그림 3-16〉 캄보디아 및 주변 국가 산모사망률 추이 112
〈그림 3-17〉 2016~2022년 OECD 공여국의 캄보디아 ODA 총액과 수자원(급수 및 위생) 지원액 127
〈그림 3-18〉 2016~2022년 OECD 공여국의 캄보디아 수자원 분야 지원 규모 127
〈그림 3-19〉 2016~2022년 OECD 공여국의 캄보디아 ODA 총액과 수자원 세부 분야 지원 규모 128
〈그림 3-20〉 가구별 식수공급원 동향 및 주요 가정 식수 공급원 130
〈그림 3-21〉 지속가능한 개발과 비교한 캄보디아 농촌 및 도시의 물 공급(캄보디아 SDG 6.1) 131
〈그림 3-22〉 (좌)1995~2012년 소득 5분위별 도시 위생시설 접근성 추이 추정치 및 (우) 1990~2015년 캄보디아 도시의 위생 접근성 추정 추세 132
〈그림 3-23〉 캄보디아 국가 학교급식 프로그램 정부 이양계획 138
〈그림 3-24〉 OECD 공식공여국(Official donor)의 캄보디아 농업부문 지원액 및 비중 변화추이 142
〈그림 3-25〉 OECD DAC 회원국의 캄보디아 농업부문 지원액 및 비중 변화추이 143
〈그림 3-26〉 (좌) OECD DAC 회원국별 캄보디아 전체 분야 지원총액(2013~2022년) 및 (우) OECD DAC 회원국별 캄보디아 농업분야 지원총액(2013~2022년) 144
〈그림 3-27〉 OECD DAC 회원국의 캄보디아 농업부문 세부분야별 지원총액(2013~2022년) 144
〈그림 3-28〉 OECD DAC 회원국의 캄보디아 임업 부문(좌) 및 수산업 부문(우) 세부분야별 지원총액(2013~2022년) 145
〈그림 3-29〉 캄보디아의 사회-지리적 여건에 따른 지역 구분 148
〈그림 3-30〉 (좌) 캄보디아의 지역별 쌀 재배면적 분포 현황 및 (우) 캄보디아의 지역별 쌀 재배 농가 수 현황 149
〈그림 3-31〉 캄보디아 지역별 농장 크기 분포 149
〈그림 3-32〉 (좌) 캄보디아의 지역별, 축종별 농가 현황 및 (우) 캄보디아의 지역별 어가 현황 149
〈그림 3-33〉 쌀, 옥수수, 채소(고무 제외)의 주별 생산 현황 150
〈그림 3-34〉 BAU 시나리오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결과 152
〈그림 3-35〉 캄보디아 정부에서 설정한 에너지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153
〈그림 3-36〉 프놈펜 지속가능개발 개념도 154
〈그림 3-37〉 GMS 경제개발축 156
〈그림 3-38〉 MPAC 아세안 연계성 파이프라인 사업 157
〈그림 3-39〉 ASCN 시범 도시 158
〈그림 3-40〉 쌀 공급사슬의 경우 이해관계자 160
〈그림 3-41〉 1인당 GDP와 차량등록대수와의 관계 163
〈그림 3-42〉 캄보디아 철도 화물 수송 실적 164
〈그림 3-43〉 캄보디아 물류 성적 평가 순위 165
〈그림 3-44〉 프놈펜시 Sangkats별 인구 증가율 및 인구 밀도 170
〈그림 3-45〉 프놈펜시 도로 현황 172
〈그림 3-46〉 씨엠립 위치 및 행정구역 현황 174
〈그림 3-47〉 씨엠립 교통수단 이용률 175
〈그림 3-48〉 씨엠립 스마트 모빌리티 기본 목표 및 구현 방안 176
〈그림 3-49〉 GMS 프로그램의 주요 경제회랑(Economic Corridors) 현황 184
〈그림 3-50〉 남부경제회랑(the SEC) 내의 프로젝트 타운 현황 185
〈그림 3-51〉 포이펫 용도지역계획(Land Use Plan) 186
〈그림 3-52〉 낵로엉 용도지역계획 187
〈그림 3-53〉 바벳 용도지역계획 188
〈그림 3-54〉 캄보디아 공간계획의 위계 191
〈그림 3-55〉 프놈펜 마스터플랜 2035 196
〈그림 3-56〉 바탐방 마스터플랜 2030 199
〈그림 3-57〉 시엠립 마스터플랜 2035 200
〈그림 3-58〉 부문별 건설승인 및 FDI 추이 205
〈그림 3-59〉 2028 캄보디아 전력망 연결 계획 209
〈그림 3-60〉 캄보디아 공적대외채무의 채권국별 비중 216
〈그림 3-61〉 캄보디아 부동산 관련 세금제도 218
〈그림 3-62〉 캄보디아 부동산 관련 등기제도 218
〈그림 3-63〉 부영타운 부지(프놈펜 센속구(區) 러시아로(路)(Russian Federation Blvd)) 223
〈그림 3-64〉 부영타운 부지(프놈펜 센속구(區) 러시아로(路)(Russian Federation Blvd)) 224
〈그림 3-65〉 프린스 프놈펜 타워(프놈펜 445 Preah Monivong Blvd) 225
〈그림 3-66〉 누리E&C의 최고급 아파트 드 캐슬 로얄(Street 288 BKK1, Phnom Penh 12000) 226
〈그림 3-67〉 캄코시티(프놈펜 중심부에서 북서부에 위치) 227
〈그림 3-68〉 골드타워(Preah Monivong Blvd(93)) 228
〈그림 4-1〉 ODA 공간정보포털 구성요소 237
〈그림 4-2〉 ODA 공간정보포털 사용자별 활용기능 239
〈그림 4-3〉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절차와 연구범위 240
〈그림 4-4〉 캄보디아 ODA 사업데이터 구축 243
〈그림 4-5〉 분야별 개발현황 공간정보데이터 수집 과정 246
〈그림 4-6〉 캄보디아 개발현황 공간정보데이터 목록(일부) 247
〈그림 4-7〉 ODA 공간정보포털 화면구성 및 구성 목적 250
〈그림 4-8〉 ODA 공간정보포털 화면구성(한글) 예시 252
〈그림 4-9〉 ODA 공간정보포털 화면구성(영문) 예시 및 포털 화면의 각 기능 설명 252
〈그림 4-10〉 ODA 공간정보포털에서 한국 ODA 현황 화면 예시 254
〈그림 4-11〉 KRIHS ODA 공간정보맵스에서 ODA 사업발굴 및 탐색 개념도 255
〈그림 4-12〉 KRIHS ODA 공간정보맵스 분석 방법 예시 257
〈그림 4-13〉 KRIHS ODA 공간정보맵스에서 교통인프라 공간정보 탐색 및 예시 258
〈그림 4-14〉 캄보디아 보건 ODA 사업현황(상) 및 5세 미만 아동출생 신고비율(하) 중첩 결과 261
〈그림 4-15〉 캄보디아 보건지표 현황분석 262
〈그림 4-16〉 공간정보포털의 우리나라 수자원 분야 ODA 사업 현황 266
〈그림 4-17〉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수력댐 현황(1993-2020) 268
〈그림 4-18〉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상수도 공급 현황 268
〈그림 4-19〉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상수도 공급 현황 269
〈그림 4-20〉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의 정수 처리시설 현황 270
〈그림 4-21〉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위생 관련 현황 271
〈그림 4-22〉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조곡 생산성, 수력댐, 전력선 관련 현황 272
〈그림 4-23〉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농가 호수와 수력댐 현황(1993~2020년) 273
〈그림 4-24〉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지역별 빈곤율 및 위생시설 보급률 274
〈그림 4-25〉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수력댐 및 전력선 현황 274
〈그림 4-26〉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수력댐 및 태양광발전소 현황 275
〈그림 4-27〉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농촌개발 분야 사업현황과 조곡 생산량(좌) 및 빈곤율(우) 현황 276
〈그림 4-28〉 공간정보포털의 연도별 캄보디아 조곡 생산량 변화추이(2015~2017년) 277
〈그림 4-29〉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주별, 축종별 생산현황 277
〈그림 4-30〉 (좌) 캄보디아 정부의 주(Province)별 전략작물과 (우) 공간정보포털에 표기된 농촌개발사업 278
〈그림 4-31〉 (좌) 공간정보포털 상 전력망 및 에너지 인프라 현황 및 (우) 도로망 현황 279
〈그림 4-32〉 (좌) 공간정보포털상 공항/철도 현황 및 (우) 공항/철도/운하 현황 279
〈그림 4-33〉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산림피복률 및 자연보호지역 등의 현황 280
〈그림 4-34〉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산림피복률 현황과 빈곤율 280
〈그림 4-35〉 공간정보포털의 농가현황과 수자원 개발현황 281
〈그림 4-36〉 (좌)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교통분야 사업 현황과 도로망 및 (우) 인구 282
〈그림 4-37〉 (좌) 공간정보포털의 캄보디아 도로 및 (우) 철도, 수운, 공항 개발 현황 283
〈그림 4-38〉 (좌) 캄보디아 GMS 교통개발축과 (우) 우리나라 교통 분야 ODA 지원 현황 286
〈그림 4-39〉 (좌) 농작물 생산량 및 자연보호구역과 (우) 교통인프라 관계 287
〈그림 4-40〉 (좌) 공간정보포털의 주변 작물생산량과 공항, 철도 및 (우) 운하 현황 287
〈그림 4-41〉 한-캄 우정의 다리 건설 대상지역 289
〈그림 4-42〉 연간 토지이용현황(Annual Land Cover, 2015) 290
〈그림 4-43〉 수도 프놈펜의 시가지 확산 현황(2015~2019년) 290
〈그림 4-44〉 캄보디아 경제특구(Special Economic Zone) 현황 291
〈그림 4-45〉 주요 도시의 공간정보포털 내 마스터플랜 정보 현황 292
〈그림 4-46〉 프놈펜 주변지역 내 경제특구(SEZ) 현황 293
〈그림 4-47〉 수도 프놈펜의 Annual Land Cover Data(2020년) 295
〈그림 5-1〉 전략패키지 발굴과정 301
〈그림 5-2〉 전략패키지 의사결정 과정 303
〈그림 5-3〉 국무조정실의 가나 농촌개발 전략패키지 사례 308
〈그림 5-4〉 국무조정실의 탄자니아 농촌개발 전략패키지 사례 310
〈그림 5-5〉 캄보디아 농촌개발 ODA 사업의 전략방향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312
〈그림 5-6〉 캄보디아 농촌개발 전략패키지 개요도 312
〈그림 5-7〉 캄보디아 농촌개발 전략패키지(안) 313
〈그림 5-8〉 프놈펜 마스터플랜 2035와 연간토지이용(Annual Land Cover, 2019) 비교 현황 318
〈그림 5-9〉 프놈펜 북부 및 서부 지역 중, 적정 개발 가용지 확보 가능 코뮌 319
〈그림 5-10〉 한-캄 우정의 다리 연계 칸달주 핵심 지역 및 토지이용(Annual land cover) 현황 321
〈그림 5-11〉 바탐방 마스터플랜 2030 및 토지이용(Annual land cover) 현황 324
〈그림 6-1〉 캄보디아 KOICA 사무소 ODA 사업 자료 구축 328
〈그림 6-2〉 캄보디아 CDC 사업관리 홈페이지 332
〈그림 6-3〉 캄보디아 관련기관 면담 활동사진 333
〈그림 6-4〉 ODA 공간정보포털의 우리나라 ODA 사업단계별 활용도 분석 336
〈그림 6-5〉 ODA 공간정보포털의 우리나라 ODA 이해관계자별 활용도 분석 339
〈그림 6-6〉 ODA 공간정보포털의 협력국 ODA 이해관계자별 활용도 분석 342
〈그림 6-7〉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 제도화 평가 347
〈그림 6-8〉 사업개요서(양식) 항목 중 포털 활용 표기란 추가 356
〈그림 6-9〉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 단계 36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ODA 공간정보포털 구축을 통한 민관협력 전략패키지 기획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