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1
목차 8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3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14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17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9
제2장 러-우 전쟁과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 22
1. 러-우 전쟁과 국제질서의 변화 23
가. 전쟁의 발생 배경과 전략적 의미 23
나. 전후 유라시아 국제관계 구도와 미국의 정세 인식 25
다. 전쟁의 성격과 국제질서의 변화 28
라. 서방의 경제제재와 새로운 협력의 축 34
2.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과 전략적 함의 41
가.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 배경 41
나. 글로벌 사우스의 전략적 행보 45
다. 지정학적 실체로서 글로벌 사우스 48
라. 인도 예외주의와 실용적 균형외교 52
3. 소결 55
제3장 러시아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 - 개념,정세 인식, 목표와 과제 57
1. 개념: '글로벌 사우스'와 '세계 다수' 58
가. '글로벌 사우스'의 개념 58
나. '세계 다수'의 개념 60
2. 정세 인식과 글로벌 사우스의 위상 63
가. 정세 인식 63
나. 대외정책에서 글로벌 사우스의 위상 66
3. 목표와 과제 72
가.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한 세계질서의 다극화 촉진 74
나.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의 안보에 대한 개입 76
다.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경제협력 확대 79
라.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에서 러시아에 대한 우호적 인식 확산 83
4. 소결 86
제4장 러시아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 - 다자적맥락 90
1. 브릭스의 출범과 발전 과정 92
가. 브릭스의 출범 배경과 발전 과정 92
나. 브릭스의 확장과 경제적 함의 100
2. 러시아의 브릭스 정책 방향과 경제관계 106
가. 러시아의 브릭스 정책 방향 106
나. 러시아의 대브릭스 경제관계 114
3. 소결 124
제5장 러시아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 - 지역적맥락 126
1. 러시아-중동 관계 130
가.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의 지정학적 변화 130
나. 러시아의 중동 외교 전개 140
2. 러시아-아프리카 관계 148
가. 우크라이나 전쟁과 아프리카의 지정학적 변화 148
나. 러시아의 아프리카 외교 전개 158
3. 러시아-중남미 관계 172
가.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남미의 지정학적 변화 172
나. 러시아의 중남미 외교 전개 184
4. 소결 193
제6장 결론: 정책 시사점 및 제언 197
1. 정책 시사점 200
가.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과 실용주의적 균형 외교 200
나. 러시아의 새로운 대외전략 추진과 세계질서의 변화 모색 201
다. 브릭스 확대의 의미와 발전 잠재력 요인 203
라. 러시아의 글로벌 지역 전략 추진 수단과 도전 과제 205
2. 정책 제언 207
가. 글로벌 사우스 대상 중견국 외교 강화 및 확대 207
나. 글로벌 사우스에 대한 전략적 협력방안 마련 211
다. 글로벌 차원의 다자간 의제 개발 및 육성을 위한 새로운 관점과 전략 수립 213
라. 러시아에 대한 전략적 관리방안 마련 214
참고문헌 218
Executive Summary 243
판권기 3
표 2-1. 글로벌 사우스의 불만 원인과 관련 이슈 49
표 3-1. 러시아가 수행하는 글로벌 사우스 전략의 목표와 과제 73
표 4-1. 역대 브릭스 정상회의 주요 내용 96
표 4-2. 브릭스 국가들의 다자플랫폼 참여 현황 102
표 4-3. 브릭스의 경제 규모(2023년 기준) 103
표 4-4. 브릭스 회원국별 수출입 구조(2022년 기준) 106
표 4-5. 브릭스 경제 파트너십 전략 2025(2020년 11월 채택)의 주요 내용 108
표 4-6. 브릭스 역내 교역 비중(2023년 기준) 115
표 4-7. 브릭스 역내 교역 현황(2023년 기준) 116
표 4-8. 브릭스 주요 회원국 및 파트너국의 대러시아 교역관계 117
표 4-9. 비우호국의 대러시아 교역관계 119
표 4-10. 중국, 인도의 대러시아 주요 수출입 품목(2023년 기준) 121
표 4-11. 브라질, 튀르키예의 대러시아 주요 수출입 품목(2023년 기준) 121
표 4-12. EU, 독일의 대러시아 주요 수출입 품목(2023년 기준) 122
표 4-13. 한국, 일본의 대러시아 주요 수출입 품목(2023년 기준) 123
표 5-1.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2022~24년 라브로프 외무장관의 아프리카 순방 160
그림 1-1. 연구의 기본적인 프레임워크 21
그림 2-1.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의 구매력 기준 GDP 비중 추이 43
그림 3-1. UNCTAD가 분류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지역 59
그림 3-2. 브릭스의 확대 70
그림 3-3. 상하이협력기구(SCO)의 확대 71
그림 4-1. 브릭스 회원국 및 파트너국 현황 91
그림 4-2. 브릭스 4개 회원국의 GDP 성장률 추이 94
그림 4-3. 브릭스의 GDP(PPP) 추이 104
그림 4-4. 브릭스 회원국별 경제 규모: GDP(PPP) 기준 104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러시아의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전략과 정책 시사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