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ㅇ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9월 16일 발표한 이 글로벌 혁신지수(GII)*에서 한국은 아시아 지역 1위도 달성함
*글로벌 혁신지수(GII)는 WIPO와 유럽경영대학원(INSEAD), 미국 코넬대 등이 WIPO 회원국을 대상으로 미래 경제 발전 등의 주요 원동력이 되는 혁신 역량을 측정한 지수임
ㅇ지난해 종합 6위에서 두 계단 상승한 기록이며, 2020년 이후 6년 연속 글로벌 혁신 지수 10위권에 안착함
ㅇ글로벌 순위는 스위스(1위), 스웨덴(2위), 미국(3위)에 이어 한국이 4위를 차지했으며, 싱가포르(5위), 영국(6위), 중국(10위), 일본(12위)보다 높은 순위임
□ 한국이 글로벌 혁신 G4 반열에 오를 수 있었던 핵심 동력은 ‘인적자본·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경쟁력으로 평가됨
ㅇ한국은 ‘인적자본·연구’ 분야에서 7년 연속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세부 지표에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특허출원, 정부 온라인 서비스, 기업의 연구역량 등 3개 지표에서 세계 1위를 기록함
ㅇ국내총생산(GDP) 대비 국제특허(PCT) 및 디자인 출원도 세계 3위로 최상위권에 해당됨
ㅇGII는 ▲제도 ▲인적자본·연구 ▲인프라 ▲시장 고도화 ▲기업 고도화 등 5개 투입부문과 ▲지식·기술 산출 ▲창의적 산출 등 2개 산출부문을 합쳐 총 78개 세부지표를 종합하여 산출함
- 한국은 이 중 투입 부문에서 4위, 산출 부문에서 6위를 차지함
[출처] 韓, 사상 첫 ‘글로벌 혁신 G4’ 진입 (2025.09.16.) / 매일경제
한국, 글로벌 혁신 강국 세계 4위 올랐다…아시아선 1위 (2025.09.16.) / 뉴시스
목차
Foreword 8
Acknowledgments 9
Advisory Committee 12
Advisory Committee members 12
Industry Association Network 13
Academic Network 14
The GII Partners 15
Preface 15
GII 2025 at a glance 17
Key takeaways 20
Global Innovation Tracker 27
Global Innovation Tracker Dashboard 28
Science and innovation investment 30
Technological progress 40
Technology adoption 43
Socioeconomic impact 48
Conclusion 50
Data notes 50
References 53
GII 2025 results 54
Innovation leaders in 2025 55
Innovation overperformers: a consistent group amid global competition 63
Innovation efficiency leaders: maximizing output from available inputs 65
Innovation across the world's regions 70
Conclusion 75
References 77
Cluster ranking 78
2025 GII Ranking of World’s Top 100 Innovation Clusters 79
Clusters by economy 82
Regional distribution 84
Beyond the top 100 87
Top innovation intensity clusters per capita 88
References 92
GII 2025 Economy briefs and profiles 93
Framework of the Global Innovation Index 2025 94
GII Economy briefs and the GII Innovation Ecosystems and Data Explorer 94
How to read the Economy profiles 95
Appendix I – Conceptual and measurement framework of the Global Innovation Index 2025 236
Rationale and origins 236
Defining innovation in the GII 237
The GII conceptual framework 238
Adjustments to the GII model in 2025 240
Data limitations and treatment 241
Missing values 242
Treatment of series with outliers 242
Normalization 243
Weights 243
Strengths and weaknesses 243
Caveats on the year-to-year comparison of rankings 244
Appendix II – Joint Research Centre (JRC) statistical audit of the 2025 Global Innovation Index 245
Conceptual and statistical coherence within the GII framework 246
The impact of modeling assumptions on the GII results 252
Uncertainty analysis results 254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260
Best-practice frontier in the GII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261
Conclusion 264
References 265
Appendix III – Sources and definitions 267
1 Institutions 267
2 Human capital and research 269
3 Infrastructure 272
4 Market sophistication 274
5 Business sophistication 277
6 Knowledge and technology outputs 282
7 Creative outputs 285
Appendix IV – Global Innovation Index innovation cluster methodology 289
References 295
Index to Economy Profiles 97–235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