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체계 개선을 위한 과제 및 국회의 역할

2010년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이 제정되면서 우리나라 ODA 정책의 법적 근거는 확보되었으나, 추진체계는 총괄·조정기관, 유·무상 주관기관, 41개의 시행기관(2025년 기준)으로 분절되어 있다. 우리나라 ODA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각 부처가 자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면서 국가 전략과의 정합성이 떨어지거나, 중복사업이 발생하면서 ODA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독일, 영국, 일본 등 주요 ODA 공여국 사례와 같이 ODA 정책적 기능의 통합, 독립 평가기관의 설립, 의회 내 전담 위원회의 설치 등을 정책과제로 검토할 수 있다.




(출처: 국회입법조사처)

목차

목차 1

1. 들어가며 1

2. 우리나라 ODA 추진체계 현황과 문제점 1

(1) 우리나라 ODA 추진체계 1

(2) 우리나라 ODA 추진체계의 문제점 2

가. 통합적ㆍ전략적 접근의 제약 2

나. 사업평가 거버넌스의 분절성 2

다. 국회의 감시기능 한계 3

3. 해외사례: 독일, 영국, 일본 3

(1) 독일 3

(2) 영국 3

(3) 일본 4

4. 제도개선 과제 및 국회의 역할 4

[그림 1] 우리나라 ODA 추진체계 2

해시태그

#공적개발원조 # ODA # 국제개발협력 # 이슈와논점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공적개발원조(ODA) 추진체계 개선을 위한 과제 및 국회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