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농업환경자원 정보관리 현황과 개선과제

□ 최근 국가 차원의 ‘탄소제로 2050’, ‘그린뉴딜’ 선언으로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공재로서 농업환경자원의 개선, 관리 및 보전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농업환경자원은 농업 생산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원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의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환경적 자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에 대해 국내외적으로 효율적인 정보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그러나 국가 및 지역 차원의 농업환경자원 지표는 각 부처별 개별적 사업에 따라 분산적으로 수집·관리되고 있어 과학적 예측 가능성이 낮고, 기후변화 등 위기대응에 취약한 상황임


□ 이 보고서는 농업환경자원별 지표 및 정보관리체계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농업환경자원관리를 위해 선행적으로 정비하여야 하는 농업환경자원정보관리체계의 개선과제를 살펴봄
- 농촌·농업의 지속가능성 확대를 위해 농업환경자원정보 관리 범위의 확대, 활용 가능성 제고, 정보의 디지털화,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질을 향상시켜 정책 활용도를 높여야 함
- 농업환경자원 정보는 공간적 이질성 때문에 행정구역에 따라 관리하기 어려우므로 수계별로, 농업용수의 공유권별로 지역 특성에 맞게 관리지표의 유연성, 자율성을 높여 실효성을 제고하고, 국가 공동관리지표와 지역 개별정보로 나누어 관리할 필요가 있음

(출처: 국회입법조사처)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1

Ⅰ. 서론 2

Ⅱ. 농업환경자원 정보의 종류와 관련 법령 3

1. 농업환경자원의 종류와 정보관리의 필요성 3

2. 농업환경자원 정보관리 범위와 관련 법령 6

Ⅲ. 농업환경자원 정보관리 부문별 현황 7

1. 토양 자원 환경 부문 7

2. 물 환경 부문 9

3. 생태 자원 환경 부문 11

4. 농촌 경관 및 문화자원 부문 11

5. 농업 유래 대기 환경 부문 12

Ⅳ. 문제점 및 개선과제 13

1. 문제점 13

2. 개선과제 15

참고문헌 17

표 1. OECD 농업환경 공공재와 농가의 농업환경 활동 5

표 2. 농업환경자원 관리에서 요구되는 정보 6

표 3. OECD 주요국 양분(질소ㆍ인산) 수지 비교 8

표 4. 한국농어촌공사 농업용 저수지 수질등급 10

그림 1. 우리나라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의 농업환경 범위 4

해시태그

#친환경농업 #화학비료 #농업생산 #그린뉴딜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