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교육 불평등과 계층이동성

목차

표제지

목차

간략 요약 11

상세 요약 14

제1장 서론 26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7

제2장 한국의 대학 진학에서 나타나는 교육 기회의 불평등 35

제1절 서론 36

제2절 한국 대학 진학에서의 기회 불평등을 이해하기 위한 역사적ㆍ이론적 배경 40

1. 역사적 배경: 한국 대학 교육의 변화와 사회경제적 변화 40

2. 이론적 배경: 대학 진학과 기회 불평등 47

3. 소결 54

제3절 연구 전략: 자료의 소개 및 분석 방법 55

1. 자료 55

2. 변수 측정 59

3. 분석 방법 61

제4절 가족 배경에 따른 대학 진학의 격차 추세 64

1. 가족 배경에 따른 교육 기회 불평등 추세에 대한 기존 연구들 64

2. 부모 학력의 절대적 지표에 따른 자녀 학력의 격차 추세 66

3. 부모 학력의 상대적 지위에 따른 자녀 학력 격차의 추세 70

4. 소결 74

제5절 성별과 가족 배경에 따른 대학 진학에서의 격차 추세 75

1. 성별과 가족 배경에 따른 교육 기회 불평등 추세: 이론적 쟁점은? 75

2. KIEOD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 76

3. 소결 81

제6절 성별과 가족 배경에 따른 수평적 계층화 추세 82

1. 성별과 가족 배경에 따른 수평적 계층화 문제의 이론적 쟁점 82

2. KIEOD를 통한 분석 결과 84

3. 소결 89

제7절 결론 90

제3장 대졸 직후의 대학원 진학과 가족 배경의 사회경제적 계층: 성별 격차를 중심으로 91

제1절 서론 92

제2절 이론적 검토 95

1. '최대한으로 유지되는 불평등론'과 '효과적으로 유지되는 불평등론' 95

2. '위대한 평등의 촉진자'로서의 대학 교육 99

3. 한국의 대학원 진학에 대한 기존 연구 103

제3절 방법론 107

1. 자료 107

2. 변수 108

3. 분석 전략 111

제4절 분석 결과 113

1. 대학원 진학 확률에 관한 기술적 분석 116

2. 4년제 대졸자의 대학원 진학 확률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22

3. 가족 사회경제적 배경과 대학원 진학 확률의 성별 격차 128

4. 대학의 수평적 계층화와 대학원 진학 확률의 성별 격차 133

제5절 결론 138

제4장 정책제언 141

제1절 하위 계층 출신 남성들의 낮아지는 대학 진학률 142

제2절 1990년대 대학 교육 확대 정책이 기회 불평등(사회이동성)에 가져온 결과 평가 146

제3절 엘리트 대학 중심 이공계 지원 정책과 젠더 및 계층 불평등 150

제4절 대학원 이상 교육의 출신 계층 및 젠더 효과 감소 필요성 152

제5절 기회의 평등이 아닌 결과의 평등에 대한 정책적 고려 154

참고문헌 158

Abstract 171

[부록] KIEOD의 가중치 구성 방법 174

판권기 178

[표 1-1] 연도별 대학 진학률 29

[표 2-1] KIEOD 하위 표본별 응답자의 최종 학력 수준 분포 57

[표 2-2] 상위권 대학 구성 59

[표 2-3] 출생 시기 및 자녀 교육 변수별 가용 자료 60

[표 2-4] 한국 교육 기회 불평등 추세에 대한 출판 연구 65

[표 3-1] 기술통계 113

[표 3-2] 교육 배경별 대학 졸업 직후 대학원 진학률 116

[표 3-3] 가족 배경별 대학 졸업 직후 대학원 진학률 119

[표 3-4] 4년제 대졸자 대학원 진학 확률의 로지스틱 회귀 모형 추정 122

[표 3-5] 4년제 대졸자 대학원 진학 확률의 로지스틱 회귀 모형 추정: 여성과 가족 배경의 상호작용 효과 129

[표 3-6] 대학 유형별 대학원 진학 확률에 끼치는 성별 효과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34

[표 3-7] 대학 전공별 대학원 진학 확률에 끼치는 성별 효과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36

[표 4-1] 성별에 따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교 및 학생 수 143

[그림 1-1] 연도별 대학 취학률 28

[그림 1-2] 대학 진학률(성별) 30

[그림 2-1] 대학 진학률 추세 41

[그림 2-2] 대학 수 추세 43

[그림 2-3] 출생 코호트에 따른 부모의 최종 교육 연수 변화 46

[그림 2-4] 출생 코호트에 따른 대졸자 부모 비율의 변화 47

[그림 2-5] KIEOD 응답자들의 최종 학력 수준 분포 58

[그림 2-6] 부모의 4년제 대졸 여부에 따른 교육 성취에서의 격차 추이 68

[그림 2-7] 부모의 4년제 대졸 여부에 따른 명문대 진학 격차 추이 70

[그림 2-8] 부모 학력 수준에 따른 자녀 교육 성취에서의 상대적 격차 추이(상위 20% 대 하위 20%) 72

[그림 2-9] 부모 학력 수준에 따른 명문대 진학에서의 상대적 격차 추이(상위 20% 대 하위 20%) 73

[그림 2-10] 성별과 가족 배경에 따른 대학 진학에서의 격차 추세 78

[그림 2-11] 성별과 가족 배경에 따른 대졸자 내 계층화 추세 80

[그림 2-12] 명문대 입학 여부 및 STEM 전공 선택 여부에 따라 살펴본 성별 및 가족 배경에 따른 수평적 계층화 추세 85

[그림 2-13] 성별, 계층, 대학 서열에 따른 전공계열 선택 추이(1980년 이후 출생자, GOMS 자료) 87

[그림 3-1] 연도별 대학원 진학률 121

[그림 3-2]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대학원 진학 기대 확률 126

[그림 3-3] 부모 소득 수준별 대학원 진학 기대 확률, 남성과 여성 130

[그림 3-4]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녀의 성별 대학원 진학 기대 확률 132

[그림 4-1] 대학군별 부모 소득계층에 따른 자녀 고소득 진입 확률의 비 147

해시태그

#계층이동 #교육불평등 #교육문제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교육 불평등과 계층이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