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미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 주요 현황과 시사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3

Ⅰ. 개관 7

1. 미국의 제조업 현황 분석 7

2. 미국의 스마트제조 현황 분석 15

Ⅱ. 주요 정책 현황 19

1. 미국의 제조업 주요 정책 19

가. 제조업 확장 파트너십(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 MEP) 19

나. 미국의 첨단제조정책(Advanced Manufacturing Policies) 27

2. 주요 관련 조직 및 추진체계 47

3.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핵심 제조기술 49

Ⅲ.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스마트제조 정책 51

1. 2020년 이후 주요 정책 51

2. 미국 스마트공장 활용 및 코로나 대응 사례 60

Ⅳ. 결론 및 시사점 63

참고문헌 67

판권기 70

〈표 1〉 주요국의 국내총생산 및 1인당 국내총생산 비교(2019년 기준) 7

〈표 2〉 주요국의 제조업 GDP 비중 및 코로나19 위기 전후 성장률과 수출증가율 변화 정도 7

〈표 3〉 미국 주요 부문별 생산지수 9

〈표 4〉 주요국의 연도별 제조업 경쟁력(CIP 지수) 순위 비교 10

〈표 5〉 최근 3년간 美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현황 10

〈표 6〉 주요국의 자동화 준비지수 순위 및 점수(2017) 11

〈표 7〉 국가별 스마트제조 시장 규모 및 예상 성장률 15

〈표 8〉 AI 적용으로 인한 주요국의 노동생산성 향상 예상 비율(2035년 전망치) 16

〈표 9〉 주요국의 스마트제조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비교 16

〈표 10〉 주요국 WEF 미래 생산능력 평가 17

〈표 11〉 미국-독일-미국의 스마트공장 전략 비교 18

〈표 12〉 MEP 프로그램의 지원내용과 방향의 시기별 변화 개요 20

〈표 13〉 MEP 센터의 선정 기준(요건) 21

〈표 14〉 MEP 사무국 조직체계 23

〈표 15〉 미국 MEP 51개 센터 현황 24

〈표 16〉 MEP 센터 공동 프로젝트 지원 예시 25

〈표 17〉 MEP 프로그램의 논란 : 유지 vs. 폐지 26

〈표 18〉 미국의 첨단 제조업 정책 개요 27

〈표 19〉 MIIA의 19개 법안 내용 29

〈표 20〉 첨단 제조업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전략 32

〈표 21〉 국가 첨단 제조업 전략 계획 세부 내용 33

〈표 22〉 제조혁신연구소(IMI) 선정 기준 35

〈표 23〉 'Manufacturing USA' 네트워크 연구소 38

〈표 24〉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분야 성과 사례 40

〈표 25〉 첨단 제조 기술 인력 양성 분야 성과 사례 42

〈표 26〉 전략 목표 및 세부내용 44

〈표 27〉 미국 제조업 혁신 추진체계 기관별 역할 47

〈표 28〉 미국 제조업 혁신 추진체계 기관별 역할 48

〈표 29〉 스마트제조 패러다임 실현을 위한 핵심기술 50

〈표 30〉 美 제조업확장파트너십(MEP)의 주요 활동 및 내용 51

〈표 31〉 기술혁신파트너십 본부(TIP) 2022년 예산요구(안) 53

〈표 32〉 美 Buy America 행정명령 54

〈표 33〉 바이 아메리칸 법, 트럼프 및 바이든 행정명령의 차이점 55

〈표 34〉 Blueprint for an America Built to Last의 주요 내용 56

〈표 35〉 The American Jobs Plan 산업 육성 분야별 세부 계획 57

〈표 36〉 미국 혁신경쟁법(USICA)의 주요 내용 58

〈표 37〉 미국 혁신경쟁법(USICA)의 반도체 생산 및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개발 예산 59

〈표 38〉 미국 혁신경쟁법(USICA)의 연방부처별 R&D 및 제조업 지원 예산 59

〈표 39〉 미국 기업의 스마트공장 활용사례 61

[그림 1] 미국 제조업 취업자 수 추이(2012-2022) 8

[그림 2]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추이 10

[그림 3] 미국의 연평균 GDP 성장률 12

[그림 4] 미국의 전국 실업률 추이 12

[그림 5] 산업용 로봇 밀도 상위국가들(2020) 15

[그림 6] 미국의 미래 생산능력 평가 16

[그림 7] 미국 제조혁신 네트워크 모델 34

[그림 8] 미국 제조혁신연구소(16개소)의 현황 40

[그림 9] 국방부 후원 연구소들의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분야 주요 성과 42

[그림 10] 국방부 및 에너지부 후원 연구소들의 첨단 제조 분야 인력 교육 43

[그림 11] 미국의 스마트제조 관련 주요 정책 및 정부 활동 타임라인 46

[그림 12] 바이든 정부의 신산업정책의 구조 : ST2MT 53

해시태그

#미국산업정책 # 미국과학기술정책 # 기술혁신 # 제조업 # 스마트공장 # 벤처스타트업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