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2023 stability & convergence programmes : European Commission (2023.07.06.) / European Commission
목차
표제지
목차
Ⅰ. 2022년 재정 동향 5
1. 예산 동향 5
2. 공공부채 동향 7
3. 재정기조 9
Ⅱ. 2023년 재정전망 및 2024년 이후 중기 재정계획 12
1. 거시경제 전망 12
2. 재정 전망 15
3. 회원국의 재정기조 22
4. 회복 및 복원 기금(RRF) 집행(2021~2026년) 26
5. 2024년 재정 권고사항 27
Ⅲ. 유로지역 재정기조 및 정책조합 30
1. 2022~2024년 유로지역 재정기조 30
2. 2022~2024년 통화정책 기조 33
3. 2022~2024년 유로지역 정책조합 35
Ⅳ/AI. 부채 지속가능성 분석 37
1. 서론 37
2. 단기 위험 39
3. 중기 위험 41
4. 장기 위험 46
[그림 Ⅰ-1] 2022년 예산 수지 변화 요인 6
[그림 Ⅰ-2] 2022년 결과와 2022년 SCPs의 예산수지 비교 7
[그림 Ⅰ-3] 2022년 GDP 대비 부채 변화 요인 8
[그림 Ⅰ-4] 2022년 재정기조와 그 요소 10
[그림 Ⅰ-5] 2022년 재정기조에 대한 순기초경상지출 및 그 요소의 기여도 11
[그림 Ⅱ-1] SCPs와 집행위의 실질 GDP 성장률 전망 차이(2023년, 2024년) 13
[그림 Ⅱ-2] 2023년과 2024년의 물가상승률(GDP 디플레이터) 14
[그림 Ⅱ-3] 2023년과 2024년 예산수지 전망(2019년과 비교) 16
[그림 Ⅱ-4] 2024년 재정수지 전망 차이의 동인 18
[그림 Ⅱ-5] GDP 대비 부채 비율의 누적 변화(2023~2024년) 20
[그림 Ⅱ-6] GDP 대비 부채 비율 누적 변화 및 동인(2025~2026년) 21
[그림 Ⅱ-7] 공공부채의 내재이자율(2023~2026년) 22
[그림 Ⅱ-8] 2023년 재정기조와 구성요소 23
[그림 Ⅱ-9] 2023년 국가재정 순기초경상지출, 재정기조에 대한 기여 및 동인 24
[그림 Ⅱ-10] 2024년 재정기조와 구성요소 25
[그림 Ⅱ-11] 2024년 재원별 공공투자 및 2019년 국가자금투자 26
[그림 Ⅱ-12] 회원국 간 RRF 보조금 집행 27
[그림 Ⅱ-13] 순기초재정지출 기준 재정노력(2024년) 29
[그림 Ⅲ-1] 유로지역의 재정기조 31
[그림 Ⅲ-2] 유로지역 재정기조에 대한 순기초경상지출 및 그 요소의 기여도 32
[그림 Ⅲ-3] 2022~2024년 유로지역 정책 조합 36
〈표 Ⅳ-1〉/〈표 Al-1〉 2023 춘계전망에 기반한 재정지속가능성 위험 분류 38
[그림 Ⅳ-1]/[그림 AI-1] EU 회원국의 S0 지표(2009년과 2022년) 39
[그림 Ⅳ-2]/[그림 AI-2] 재정, 금융-경쟁력 S0 하위지표(2009년과 2022년) 40
[그림 Ⅳ-3]/[그림 AI-3] EU와 유로지역의 중기 부채 기준선 전망 41
[그림 Ⅳ-4]/[그림 AI-4] 중기 부채 기준선 전망(2022년과 2033년) 42
[그림 Ⅳ-5]/[그림 AI-5] 유로지역의 확률적 부채 전망(2023년~2027년) 43
[그림 Ⅳ-6]/[그림 AI-6] 유로지역의 부채 전망(2022년 DSM과 비교) 45
[그림 Ⅳ-7]/[그림 AI-7] S2 지표 분해 46
[그림 Ⅳ-8]/[그림 AI-8] S1 지표 분해 47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The 2023 stability & convergence programmes : European Com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