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2021년) 국민이전계정

□ 통계청은 11월 28일 「2021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함. 국민이전계정(NTA·National Transfer Accounts)은 연령 간 경제적 자원 배분의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는 지표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정부·가계의 재정부담 등 미래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발견하고 대비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되고 있음

□ 「2021년 국민이전계정」 주요 내용
ㅇ 2021년 총소비는 1148조8000억원, 노동소득은 1040조원으로 108조8000억원의 생애주기 적자 발생
ㅇ 소비는 전년보다 6.2%, 소득은 5.7% 증가. 생애주기 적자는 소비가 더 큰 폭으로 늘면서 11.6% 증가

ㅇ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연령증가에 따라 ‘적자→흑자→적자’ 순서의 3단계 구조로, 27세 흑자 진입 이후 61세에 다시 적자로 전환



ㅇ 1인당 소비가 가장 많은 시기는 17세로 3,575만원이며, 유년층은 교육 소비 영향이 크고, 노년층은 보건 소비 영향이 큼
ㅇ 1인당 노동소득은 16세까지는 없다가 점차 증가하여 43세(3,906만원)가 정점이며 이후 점차 감소



[출처] 통계청 보도자료
백세 인생, 흑자는 34년뿐 (2023.11.29.) / 경향신문

목차

목차

2021년 국민이전계정 1

국민이전계정이란? 4

2021년 국민이전계정 결과(요약) 7

Ⅰ. 경제적 생애주기 9

1. 생애주기적자 9

2. 소비 12

3. 노동소득 15

Ⅱ. 연령재배분 16

1. 이전 16

2. 자산재배분 20

[통계표] 21

1. 2021년 국민이전계정 22

2. 연령계층별 생애주기적자(총액 규모) 30

3. 연령계층별 연령재배분(총액 규모) 31

[부록 1] 국민이전계정 작성 개요 34

[부록 2] 국민이전계정 관련 용어해설 36

[부록 3] 자주하는 질문 및 답변 37

해시태그

#국민이전계정 #경제지표 #자산재배분 #생애주기적자 #노동소득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1년) 국민이전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