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중앙아 3개국 경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향

▶ 2024년 6월 10~15일 윤석열 대통령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중앙아 3개국을 2019년 이후 5년 만에 순방함
- 중앙아 3개국은 풍부한 에너지·광물 부국이자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고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전략적 가치와 중요성이 더욱 증대됨

▶ 2023년 한·중앙아 3개국 교역액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를 회복하여 2019년 대비 상회하였으며,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은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임
- 카자흐스탄은 한국의 대중앙아 최대 교역국(’23년 55억 달러)이고, 우즈베키스탄은 한국의 대중앙아 최대 수출시장(’23년 23.7억 달러)인 한편, 한·투르크메니스탄 교역(’23년 1.7만 달러)은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임

▶ 중앙아 3개국은 글로벌 복합위기 속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경제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주요 경제정책으로 산업다각화 및 고부가가치화, 디지털 전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목표로 함
- [카자흐스탄] 자원에 대한 경제의존도를 낮추고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위해 제조업 경쟁력 제고와 교통·물류 인프라 확충에 집중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기술발전·인적역량 향상을 통한 경제 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강조함
- [우즈베키스탄] 경제의 질적 전환을 위해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 그린·디지털 촉진, WTO 가입을 통한 대외개방정책에 초점을 둠
- [투르크메니스탄] 주력산업인 에너지 부문의 생산량 증대 및 고부가가치화, 산업다각화, 디지털 기술 도입이 목표임

▶ 중앙아 3개국의 경제성장 정책을 토대로 본 한·중앙아 3개국 협력은 △제조업, △에너지·광업, △디지털 전환 부문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카자흐스탄 및 우즈베키스탄과는 자동차, 희소금속,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협력 잠재력이 크며, 카자흐스탄의 교통·물류·에너지 인프라 사업, 우즈베키스탄의 농업 및 그린·디지털 전환 부문에도 관심이 요구됨
- 한·투르크메니스탄 협력은 에너지(가스, 원유, 수소)·비료 플랜트 부문의 잠재력이 높으며, 투르크메니스탄 정부에서 추진하는 알카닥 신도시 건설 스마트 분야도 유망함

목차

표제지

목차

1. 서론 3

2. 한ㆍ중앙아 3개국 경제관계 4

가. 한ㆍ카자흐스탄 경제협력 현황 4

나. 한ㆍ우즈베키스탄 경제협력 현황 5

다. 한ㆍ투르크메니스탄 경제협력 현황 7

3. 중앙아 3개국 경제 현황 및 주요 경제정책 8

가. 카자흐스탄 경제 현황 및 주요 경제정책 8

나. 우즈베키스탄 경제 현황 및 주요 경제정책 10

다. 투르크메니스탄 경제 현황 및 주요 경제정책 12

4. 한ㆍ중앙아 3개국 협력 방향 14

가. 한ㆍ카자흐스탄 협력 방향 14

나. 한ㆍ우즈베키스탄 협력 방향 15

다. 한ㆍ투르크메니스탄 협력 방향 16

표 1.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주요 수출입 품목(2023년) 5

표 2. 한국의 대우즈베키스탄 교역 추이 6

표 3. 한국의 대우즈베키스탄 주요 수출입 품목(2023년) 6

표 4. 한국ㆍ투르크메니스탄 수출입 동향 7

표 5. 카자흐스탄의 주요거시경제지표 추이 9

표 6. 우즈베키스탄의 주요경제지표 11

표 7. 투르크메니스탄 주요경제지표 13

표 8. 중앙아 3개국 주요 경제정책 및 한국과의 협력 방향 18

그림 1. 중부회랑 3

그림 2. 남북회랑 3

그림 3. 한국의 대카자흐스탄 교역 추이 4

그림 4. 한국의 연도별 대카자흐스탄 해외직접투자 추이(1991~2023년) 4

그림 5. 카자흐스탄의 산업구조 추이 9

해시태그

#중앙아시아 # 경제협력 # 대중앙아시아정책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