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연구 개요 1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2. 연구방법 및 범위 12
1) 연구범위 12
2) 연구방법 14
3. 연구추진 체계 14
제2장. 기후변화의 양상 및 예측 16
1. 기후변화의 양상 16
1) 기온변화 16
2) 이상기상 현상 18
3) 해양 열함량의 증가 21
4) 해수면 상승 22
5) 해양 산성화 22
2. 기후변화 예측 23
1) 기온 변화 23
2) 이상기후 24
3.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및 생물종 변화 양상 30
1) 변화의 사례(IPCC, 2022a) 31
2) 생물종 및 개체군 감소 33
3) 해양 생태계 변화 36
4.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및 생물종 변화 예측 37
1) 생태계 37
2) 생물다양성 39
5. 보호지역에 미치는 영향 42
제3장. 기후변화로 인한 낙동강하구 생태계 변화 44
1. 하구 생태계 44
1) 낙동강하구 일원의 기온 상승 44
2) 낙동강하구 해역의 수온 상승 45
3) 낙동강하구 사주의 범람 46
2. 조류 47
1) 겨울철새의 도래 패턴 교란 47
2) 여름철새의 산란지 교란 49
3) 개체군 증가(민물가마우지) 50
4) 외래종 침입(검은이마직박구리) 53
3. 기타 생물종 56
1) 어류 및 저서생물 56
2) 식물 58
제4장.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생태계 관리 사례 62
1.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을 위한 적응 대책 제안(IPCC, 2022a) 62
2.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자연 기반 해법(UNEP과 IUCN, 2021) 64
1) 자연기반 해법의 국제 표준(IUCN, 2020) 64
2) 자연기반 해법을 통해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하는 방식(탄소저감에 관하여) 67
3) 자연기반 해법의 환경적, 사회적 혜택 68
4) 도시에서의 자연기반 해법 68
3. 생태기반 적응(IPCC, 2022a) 69
1)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생태기반 적응이 필요한 분야 69
2) 생태기반 적응(EbA) 시범 프로그램(UNEP, 2024a) 70
4. 생태계 기반 접근법(UNEP, 2024a) 72
1) 생태계 기반 접근법의 적용 73
2) 생태계 기반 접근법의 주류화 74
3) 생태계 기반 접근법의 계획 및 적용과정(CBD, 2019) 75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80
1. 결론 80
2. 정책 제언 83
1) 낙동강하구의 철새 관리 방안 83
2) 낙동강하구 생태계 관리 방안 87
3) 사회적 대처 방안 90
Abstract 93
참고문헌 96
판권기 100
〈표 2-1〉 지구 표면 대기온도의 변화 예측 시나리오와 시나리오별 기후변화 상승 1.5℃, 2℃, 3℃, 4℃ 도달시기 예측 24
〈표 3-1〉 낙동강하구 기수역에서 숭어의 중요치, 개체수, 생체량 변화 57
〈표 3-2〉 낙동강하구 낙동강본류에서 숭어의 중요치, 개체수, 생체량 변화 57
〈표 3-3〉 낙동강하구 새섬매자기 총 생산량(건중량) 60
〈표 3-4〉 낙동강하구 새섬매자기 괴경 총 생산량(건중량) 60
〈표 4-1〉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자연기반해법의 혜택 68
〈표 5-1〉/〈표 3-1〉 기후위기로 인한 낙동강하구의 철새관련 취약성 86
〈표 5-2〉/〈표 4-2〉 기후위기로 인한 생태계 취약성과 이에 대응방안이 될 수 있는 자연시스템의 특성 87
〈그림 1-1〉 연구 대상지 13
〈그림 1-2〉 연구추진 체계 15
〈그림 2-1〉 지구의 연평균기온 변이 16
〈그림 2-2〉 지구의 5년평균기온의 변이 16
〈그림 2-3〉 지구 전체의 연평균기온, 육상의 연평균기온, 연평균일최저기온, 연평균일최고기온의 관측된 변화 17
〈그림 2-4〉 기후 시스템 구성요소 전반에 걸쳐 관측된 변화와 인간 영향에 대한 기여도 18
〈그림 2-5〉 가뭄을 일으키는 기후 변화 인자들과 그 영향 19
〈그림 2-6〉 기후 영향 인자별로 변화가 예상되는 육상과 해안지역 수(전체 55개 지역 중) 20
〈그림 2-7〉 해양 0~2000m 깊이층의 2005~2021년 평균과 비교한 지구 해양 열함량 변이 21
〈그림 2-8〉 위성고도계를 기반으로 한 지구평균 해수면 높이의 변이(1993~2023) 22
〈그림 2-9〉 지구 연평균 해양 표면 pH(1985~2022) 23
〈그림 2-10〉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온 현상의 규모와 가능성의 변화 25
〈그림 2-11〉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기후의 패턴 변화 25
〈그림 2-12〉 기후 영향 인자의 변화 조합을 기반으로 그룹화된 5개 클러스터 분포 26
〈그림 2-13〉 기후변화에 따른 10년주기 및 50년주기 폭염일의 폭염강도 예측 27
〈그림 2-14〉 여름철 폭염과 겨울철 한파의 추세 변화 27
〈그림 2-15〉 기후변화에 따른 10년주기 및 50년주기 폭우강도 예측 28
〈그림 2-16〉 기후변화에 따른 건조지역의 가뭄 강도와 빈도 예측 29
〈그림 2-17〉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의 변화 예측 29
〈그림 2-18〉 기후변화로 인해 관측된 실질적인 영향과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 신뢰도 30
〈그림 2-19〉 생물종에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 요소 31
〈그림 2-20〉 글로벌 지구생명지수: 5,230종의 생물종을 대표하는 31,821 개체군의 규모가 평균 69% 감소 34
〈그림 2-21〉 담수의 지구생명지수: 1,398종의 6,617개체군의 규모가 평균 83%감소(상)와 회유성 어종의 지구생명지수: 247종의 1,406개체군의 규모가 평균 78%감소(하) 35
〈그림 2-22〉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영향 예측 38
〈그림 2-23〉 기후변화로 인한 육상과 담수 생태계의 영향과 위험성 39
〈그림 2-24〉 산업화 이전 시기 대비 육상 및 담수 생물다양성 손실 추정 40
〈그림 2-25〉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종손실 리스크 예상 41
〈그림 2-26〉 분류군별 기후변화로 인한 멸종위기에 처하게 될 생물종의 비율 41
〈그림 3-1〉 낙동강하구의 연평균기온, 8월 및 1월의 평균기온(1997~2023) 44
〈그림 3-2〉 낙동강하구 외해의 연평균 수온 변화 45
〈그림 3-3〉 낙동강하구 사주의 지형 변화 46
〈그림 3-4〉 침식이 발생하고 있는 낙동강하구의 사주의 전경 46
〈그림 3-5〉 낙동강하구에서 가을철(11월)과 겨울철(12월, 1월, 2월) 조류 연간 개체수 47
〈그림 3-6〉 낙동강하구 지역의 지난 26년간 평균 월평균 기온(1997년~2022년)과 2022년 9월~2023년 6월의 월평균 기온 비교 48
〈그림 3-7〉 낙동강하구에서 가을철(11월) 주요 겨울철새 종인 큰기러기(좌상), 청둥오리(우상), 큰고니(좌하), 흰뺨검둥오리(우하)의 연간 개체수 변이개체수 49
〈그림 3-8〉 20년간 낙동강하구 쇠제비갈매기의 최대개체수 변화 50
〈그림 3-9〉 20년간 낙동강하구 쇠제비갈매기의 최대개체수 변화 50
〈그림 3-10〉 20년간 낙동강하구 민물가마우지의 최대개체수 변화 51
〈그림 3-11〉 20년간 낙동강하구 민물가마우지의 권역별 평균개체수 51
〈그림 3-12〉 민물가마우지의 기록적 개체수 현장 사진(대마등 2022년 11월 26일) 52
〈그림 3-13〉 20년간 낙동강하구 민물가마우지의 월별 평균 개체 52
〈그림 3-14〉 20년간 낙동강하구 민물가마우지의 개체수 변화(1월) 53
〈그림 3-15〉 20년간 낙동강하구 검은이마직박구리 최대개체수 변화 54
〈그림 3-16〉 20년간 낙동강하구 검은이마직박구리 권역별 평균개체수 54
〈그림 3-17〉 20년간 낙동강하구 검은이마직박구리의 개체수 변화(1월) 55
〈그림 3-18〉 20년간 낙동강하구 검은이마직박구리의 월별 평균개체수 55
〈그림 3-19〉 낙동강하구 기수역에서 출현한 어류의 출현개체수 변화 56
〈그림 3-20〉 낙동강하구 사주 및 섬지역에서 출현 귀화식물종 수 변화(2006~2021) 58
〈그림 3-21〉 낙동강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의 분포 변화(2005년 vs 2015년, 2018년, 2021년) 59
〈그림 4-1〉 자연기반 해법에 대한 글로벌 표준의 8가지 기준 65
〈그림 4-2〉 CityAdapt프로젝트의 3가지 구성요소 71
〈그림 4-3〉 생태기반 적응과 생태기반 재난리스크저감 사이의 공통점 73
〈그림 4-4〉 생태기반 재난리스크 저감(Eco-DRR)의 재난관리 사이클 73
〈그림 4-5〉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식의 해안공법과 생태계 기반 접근법의 비교 74
〈그림 4-6〉 생태계 기반 접근법의 주류화를 위한 프레임워크 75
〈그림 4-7〉 생태계 기반 접근법의 주류화를 위한 프레임워크 75
〈그림 4-8〉 생태기반 적응(EbA)와 생태기반 재난리스크저감(Eco-DRR)의 계획과 적용을 위한 순환 프로세스 77
〈그림 5-1〉 해양 조류에 대한 위험성 평가 84
〈그림 5-2〉 지속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멸종위기에 직면한 생물종의 감소를 막고, 자연 생태계를 보호하고 보전하기 위해 할 수 있는 행동 88
〈그림 5-3〉 낙동강하구 거버넌스 예시 91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요약·번역 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기후위기 적응형 낙동강하구의 생태적 관리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