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최근 북한의 핵무기 생산 능력 변화 분석과 비핵화 고려사항

◎ 2023년 초 김정은의 “핵무기의 기하급수적 증산” 지시 이후, 북한의 핵물질 생산 능력의 변화와 핵무기 생산에 미친 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 필요
  - 이는 과시적 수사 이상의 실질적인 변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특히 전술핵무기 ‘대량 생산’ 강조는 핵무기 운용의 유연성 및 실전성 중시정책으로의 조정 암시

◎ 영변 핵시설 내 기존 우라늄 농축시설의 증설 및 새로운 농축시설 건설 정황 포착
  - 기존 영변 우라늄농축시설은 2009년 최초공개 후 2013년과 2022년~2023년 사이에 두 차례 증설이 있었으며, 2025년 1월에 김정은이 공개 
    시찰한 것으로 추정
  - 한편, 영변 단지 내 새롭게 건설되고 있는 농축시설은 강선 우라늄 농축 의혹시설과 유사한 외형적 특성과 규모를 보이며, 공사가 상당히 진척된 것으로 식별

◎ 향후 북한 비핵화 추진 과정에서의 전략적 고려사항
  - 북한의 핵물질 생산 능력은 영변 우라늄 농축시설 확충을 중심으로 핵무기 수량 증가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시간을 고려한 단계적 접근’ 요구
  - 대북 비핵화 협상의 중심에는 플루토늄 및 고농축우라늄을 포함한 핵물질의 생산·보관·사용 통제 조치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필요
  - CVID를 최종목표로 하되, 초기 협상 단계에서는 위험감소 등의 현실적 전략 병행 필요


(출처: 한국국방연구원(KIDA))

 

해시태그

#북한핵무기 # 비핵화 # 북한핵시설 # 핵탄두 # 북미협상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최근 북한의 핵무기 생산 능력 변화 분석과 비핵화 고려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