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요국 국가전략
  • 전체

2024년 국가성평등보고서

□ 여성가족부는 17일, 「2024년 국가성평등보고서」를 발표하고 '2023년 국가성평등지수'를 발표함. 발표 결과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국가성평등지수는 65.4점으로 2022년 66.2점 대비 0.8점이 줄어듦
 ㅇ 국가성평등지수는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라 우리나라 양성평등 수준을 계량적으로 파악하고 정책 추진 방향을 수립·평가하고자 2010년부터 매년 발표되고 있음
 ㅇ 남녀 격차를 측정해 완전 평등 상태는 100점, 완전 불평등 상태는 0점으로 나타냄 

□ 2010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로 2023년 처음으로 점수가 하락함
 ㅇ 조사 첫해 66.1점을 시작으로 매년 상승해 2021년 75.4점까지 오름 
 ㅇ 2022년엔 지표를 대폭 개편했는데, 새 지표로 다시 산출한 2021년 지수는 65.7점이었고, 2022년엔 그보다 0.5점이 오름. 2010년 이후 2022년까지는 매년 지수가 전년 대비 상승하다 2023년에 사실상 처음으로 하락한 것임 
 ㅇ 다만, 여가부는 '지금까지 (점수가) 떨어진 적이 없는 건 맞다'면서도 '지표 체계가 2022년 크게 바뀌었기 때문에 동일한 선상에서 비교하기엔 어려운 면이 있다'고 설명함 

□ 2023년 영역별 성평등 수준을 보면 교육(95.6점)이 가장 높았고, 건강(94.2점), 소득(79.4점), 고용(74.4점), 양성평등의식(73.2점), 돌봄(32.9점), 의사결정(32.5점)이 뒤를 이음 
 ㅇ 가장 크게 나빠진 영역은 양성평등의식으로 전년 대비 6.8점 줄어듦
 ㅇ 특히 양성평등의식 영역의 세부 지표인 '가족 내 성별 역할 고정관념'은 60.1점에서 43.7점으로 16.4점 감소함 
 ㅇ 돌봄 영역도 33.0점에서 32.9점으로 소폭 낮아짐 
 ㅇ 반면에 의사결정 영역은 30.7점에서 32.5점으로, 고용 영역은 74.0점에서 2023년 74.4점으로, 소득 영역은 78.3점에서 79.4점으로 개선됨

□ 전국 17개 지역의 성평등 수준을 4등급으로 구분한 지역성평등지수의 경우 '상위 지역(74.05∼71.57점)'은 서울·대전·세종·충남·제주가 꼽힘 
 ㅇ '중상위 지역(70.84∼69.83점)'에는 대구·광주·강원·전북이, '중하위 지역(69.76∼69.07점)'에는 인천·경기·충북·경남이, '하위 지역(68.72∼67.74점)'에는 부산·울산·전남·경북이 분류됨

 
[출처] 국가성평등지수 65.4점…양성평등의식 약화에 첫 '후퇴' (2025.04.17.) / 연합뉴스

목차

I . 서 론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3
 2. 연구내용과 방법 5
  가. 연구내용 5
  나. 연구방법 6

II. 국가성평등지수 개요 7
 1. 지표의 특징과 구성 9
  가. 국가성평등지수의 지표 변화와 법적 기반 9
  나. 국가성평등지수의 목표 및 영역별 지표구성 16
 2. 산정 방법 19

Ⅲ. 우리나라 국가성평등 수준과 추이 27
 1. 우리나라 국가성평등 수준과 특징 29
  가. 국가성평등지수 수준과 변화 추이 29
  나. 정책목표 및 영역별 국가성평등 수준 변화와 특징 31
 2. 영역별 지표의 국가성평등 수준 변화와 특징 33
  가. 동등한 권한 33
  나. 자원의 동등한 접근 37
  다. 평등한 관계 48

IV. 국제성평등지수와 한국의 성평등 수준 55
 1. 세계경제포럼의 성격차지수 57
  가. 세계경제포럼의 성격차지수 소개 57
  나. GGI 로 본 한국의 성평등 수준 62
 2. 유엔개발계획의 성개발지수와 성불평등 지수 71
  가. 성개발지수 소개 71
  나. GDI 로 본 한국의 성평등 수준 75
  다. 성불평등지수 소개 79
  라. GII 로 본 한국의 성평등 수준 85
 3.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사회제도와 젠더지수 89
  가. 사회제도와 젠더지수 소개
  나. SIGI 로 본 한국의 성평등 수준 95
 4. 국제성평등지수 비교와 한국 성평등 수준 차이 98
  가. 국제성평등지수와 한국 성평등 수준 차이 비교 98
  나. 국제성평등지수에서 나타난 한국의 순위 해석 및 시사점 101

V. 양성평등수준 제고 방향 105
 1. 영역별 성평등 추이와 개선 방향 107
  가. 국가성평등지수 변화 분석 107
  나. 영역별 성평등 변화 요인 109
 2. 국가성평등지수 활용과 관리 방안 119

■ 참고문헌 123

■ 부 록 127

< 부록 1 > 국가성평등지수 지표 129
< 부록 2 > 국가성평등지수 영역별 통계표 132
< 부록 3 > 여성폭력지표 통계표 139

해시태그

#국가성평등지수 # 양성평등 # 성역할고정관념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4년 국가성평등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