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U는 양자 기술에서 높은 발전 수준을 보이나 실제 상용화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회원국 간 전략 및 로드맵이 상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음
- 이에, 집행위는 양자 분야 투자 유치와 기술 혁신을 위해 향후 추진할 5대 전략영역과 실행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양자 유럽 연구·혁신 이니셔티브(Quantum Europe Research and Innovation Initiative)’ 출범
- 다국가 임상시험 자금 지원 체계 구축 및 역내 임상 연구 인프라 확충을 위한 EU 차원의 투자 전략 수립
- 이니셔티브는 기초 연구에서부터 상용화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며, 기술 완성도와 시장 접근성 개선
- ‘유럽 고성능 컴퓨팅 공동 사업(EuroHPC JU)’*의 범위를 확대하여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 '디지털 유럽(Digital Europe)', 우주·방위 관련 기타 기금에서의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함
- 또한 양자기술 전반을 다루는 ‘양자법(Quantum Act)’를 제정(’26년 예정), 분산된 회원국 간 역량을 연구·기술·혁신 의제 중심으로 통합하고 공유 목표를 설정하여 일관성 보장
*유럽 고성능 컴퓨팅 공동 사업(EuroHPC, European High-Performance Computing Joint Undertaking): EU, 회원국, 민간 이해관계자와 함께 슈퍼컴퓨팅, 양자컴퓨팅 등의 개발·배포 확대·유지 보수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한 EU 차원의 이니셔티브
□ 양자컴퓨팅·통신·센싱 분야 인프라 개발
ㅇ [양자컴퓨팅 분야] 양자 컴퓨터와 고성능 컴퓨팅(HPC) 시스템의 융합을 통해 ‘유럽 AI 기가팩토리(AI Gigafactory)’에서 양자 컴퓨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AI 대륙 행동 계획(AI Continent Action Plan)’의 목표 달성에 기여
- 2030년까지 오류보정 큐비트* 100개, ‘35년까지는 수천 개의 오류보정 큐비트를 갖춘 양자컴퓨터를 확보하여 EU가 양자컴퓨팅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잡는 것을 목표로 함
- 또한, 2026년까지 EU 양자 컴퓨팅 시물레이션 로드맵을 발표, 다양한 양자 플랫폼의 기술발전과 숙련도를 모니터링 하여 향후 양자 컴퓨팅 공공투자 우선순위 결정에 참고
*큐비트: 양자 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본 단위로, 큐비트 수가 많아질수록 양자컴퓨터는 복잡도 높은 문제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음
ㅇ [양자통신 분야] ‘EuroQCI(European Quantum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사업’을 통해 ‘30년까지 EU 전역에 위성-지상 연계 최고수준의 보안 통신 네트워크 구축- 2026년에 유럽 최초의 양자키분배(Quantum Key Distribution, QKD) 위성(Eagle-1)을 발사하고, 양자인터넷 시범망을 가동하여 양자클라우드 서비스와 보안 네트워킹 시스템에 적용할 예정
ㅇ [양자센싱 분야] 지하에 위치한 석유, 지하수, 가스 등의 탐지를 가능하게 하는 ‘양자 중력계 네트워크(network of mobile and stationary quantum gravimeters)’를 ‘26년부터 개발 및 배포
- 2025년부터 ‘양자 자기공명영상(Q-MRI)’을 구축하여, 조기 암·치매 진단 기술과 글로벌 내비게이션 시스템(GNSS) 없이도 작동 가능한 ‘양자 기반 항법시스템(PNT)’ 개발
□ 양자 연구개발 친화적 환경 조성
- 2026년 내 ‘EU 양자 표준 로드맵(European Quantum Standards Roadmap)’ 발표를 통해 회원국간 기술 호환성 및 새로운 표준 정립
- 수요처 부족과 투자 유치 난항 극복을 위한 개방형 테스트베드와 양자 역량 클러스터(Quantum Competence Clusters, QCC)를 EU 전역으로 확대
- ‘칩스 공동 사업(Chips Joint Undertaking)’ 하에 6개의 새로운 양자칩 시범 생산 라인을 구축하여 양자칩의 초기 모델링, 생산 공정 최적화 및 상용화 검증을 지원
- 유럽투자은행(EIB), 유럽혁신위원회기금(European Innovation Council(EIC) Fund), Invest EU를 활용해 민간투자를 유치하고, 병원·전력망·정부기관이 선도적 사용자가 되는 등 공공조달을 통한 초기 시장 창출 유도
- 민간 투자를 유치해 혁신 기술의 대규모 확산을 지원하는 ‘양자 그랜드 챌린지(Quantum Grand Challenges)’를 ’25년 내 출범시켜 ‘오류 보정형 컴퓨터(fault-tolerant quantum computing systems)’ 등의 기술개발 지원
□ 양자 기술과 우주·안보·방위 기술의 융합
- 보안·통신·국방 분야에서 유럽 우주국(ESA)과 협력하여 양자센서 기반 정밀 위치 탐지, 해저 탐지 및 잠수함 추적, 내열재 설계 등의 기술 개발
- 2026년부터 민간 양자 기술을 군사 목적으로 전환하는 ‘스핀인(spin-in)’ 이니셔티브 가동
□ 전문 인력 양성
- 양자 기술 분야의 인력 부족 해소를 위해 2026년까지 ‘유럽 양자 기술 아카데미(European Quantum Skills Academy)’를 설립, 석·박사 정규 교육, 직업훈련, 장학지원, 글로벌 펠로우십 등을 통한 인재 양성 및 해외 인재 영입
- 스타트업 현장 경험 축적을 위한 ‘상주 연구자(Researchers-in Residence)’ 프로그램, 디지털 기술 경진대회, 중등 교육 교사 연수, 여성 및 비유럽권 인재 영입 확대 전략도 함께 추진
□ 한편, 양자 기술의 개발 시 도래할 보안 위협과 도전 과제를 향한 우려도 제기됨
- 양자 기술은 신약 개발, 배터리 기술,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킬 차세대 기술임과 동시에 현대 암호화 체계인 공개 키 암호화 체계를 완전히 붕괴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
- 다수의 EU 회원국들은 양자 기술 수출 제한을 통해 통신망 노출 우려로 인한 안보 문제에 대응 중인 것으로 알려짐
목차
1.1 Introduction 1
1.2 Quantum Europe: The Vision and the Strategic Implementation Framework 2
2 Quantum Europe Strategic Areas 3
2.1 Area 1: Quantum Europe Research and Innovation 3
2.2 Area 2: Quantum Europe Infrastructures 4
2.2.1 Quantum Computing and Simulation 5
2.2.2 Quantum Communications 7
2.2.3 Quantum Sensing 10
2.3 Area 3: The Quantum Europe Ecosystem 11
2.3.1 From the lab to the fab and to industrialisation 11
2.3.2 Strengthening and scaling up the emerging European quantum ecosystem 12
2.3.3 Investing in quantum startups and scaleups 13
2.3.4 Strengthening the Security of the supply chain 14
2.4 Area 4: Space & Dual-use quantum technologies (Security and Defence) 15
2.5 Area 5: Quantum Skills 17
3 Strategic Implementation Framework for Quantum Europe 19
3.1 The Main Implementation Components of the Quantum Europe Strategy 19
4 International Cooperation 20
5 Governance 21
6 Conclusions 22
APPENDIX: Quantum Europe Strategy Actions Summary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