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본편
1. 심리부검 면담 개관 2
1.1 심리부검 면담의 정의 2
1.2 심리부검 면담의 법적근거 2
1.3 심리부검 면담의 실시 3
(1) 심리부검 면담의 체계와 절차 3
(2) 심리부검 면담의 대상 4
(3) 심리부검 면담 수행인력 5
(4) 심리부검 면담 도구 6
1.4 용어 안내 8
2 장 2022 년 심리부검 면담 시행
1. 2022 년 심리부검 면담 시행 14
1.1 심리부검 면담 의뢰 경로 14
1.2 지역별 심리부검 면담 시행 14
1.3 2022 년 심리부검 대상 자살사망자 사망연도 15
3 장 8 개년 (2015 ~ 2022) 심리부검 면담 분석
1. 분석대상 18
2. 자살사망 관련 정보 19
2.1 인구통계학적정보 19
(1) 사망연도 19
(2) 생애주기 20
(3) 성별 21
(4) 교육수준 22
(5) 고용상태 / 직업종류 23
(6) 동거인 유무 25
(7) 결혼 상태 26
2.2 자살상황 관련정보 27
(1) 사망 장소 27
(2) 사망 방법 28
(3) 최초 발견자 29
(4) 음주 여부 30
(5) 유서 31
2.3 사망 전 방문기관 32
2.4 자살사망 전 언어 · 행동 · 정서 변화 (경고신호) 34
(1) 언어 · 행동 · 정서 변화 (경고신호) 34
(2) 언어 · 행동 · 정서 변화 (경고신호) 내용 35
(3) 언어 · 행동 · 정서 변화 (경고신호) 발생 시기 37
(4) 주변의 인지 및 대처 40
3. 자살사망 위험요인 분석 42
3.1 사망 전 스트레스 사건 42
(1) 직업 스트레스 42
(2) 경제 스트레스 45
(3) 가족관계 스트레스 49
(4) 부부관계 스트레스 51
(5) 연애관계 스트레스 53
(6) 대인관계 스트레스 55
(7) 신체건강 스트레스 56
(8) 기타 스트레스 58
3.2 자살사망자의 정신건강 59
(1) 추정 정신질환 59
(2) 치료 및 상담 61
3.3 기타 위험요인 63
(1) 성장기 외상사건 63
(2) 자살시도 / 자해행동 65
(3) 가족 및 주변인의 자살사망 / 시도 67
4. 자살사별 유족 72
4.1 인구통계학적정보 72
(1) 생애주기 72
(2) 성별 72
(3) 자살사망자와 관계 73
(4) 동거 여부 74
4.2 사별 후 변화 75
(1) 사별 후 변화 75
(2) 자살 사실 통보 여부 78
(3) 심리정서 상태 79
4.3 유족지원 서비스 이용 현황 84
4.4 심리부검 면담 만족도 86
4.5 유족이 보고한 자살예방을 위한 제안사항 86
4 장 결론 및 제언 / 90
- 특별편
1-1 연구 배경 94
1-2. 연구자료 94
1-3. 측정도구 95
1-4. 연구방법 97
2 연구 결과 / 98
2-1. 3개년 자료 비교 분석 98
2-2. 생애주기별 자살사망자 결과 비교 100
2-2-1. 청년기 (20 ~ 34 세) 100
2-2-2. 장년기 (35 ~ 49 세) 104
2-2-3. 중년기 (50 ~ 64 세) 108
3 결론 / 115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2022) 심리부검 면담 결과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