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한ㆍ중남미 기술협력 11
제2장 국제기술협력의 개념 및 목적 13
1. 기술협력의 개념 13
2. 기술협력의 주체와 형태 15
3. 기술협력의 목적 17
제3장 선진국의 국제기술협력 21
1. 미국 21
2. 일본 22
가. ISTC(International Science & Technology Center, 러시아국제과학기술센터)를 통한 기술협력 사례 22
나. 브라질 세하두 농업개발 사업 25
3. 유럽연합 25
가. 유레카(EUREKA) 26
4. 독일 27
가. 연방교육연구부 국제협력청 28
나. 독일연구재단(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29
5. 한국과 선진국의 기술협력 사례 29
가. 2009년 한-유레카 파트너십 협정 체결(지식경제부) 29
나. 한국파스퇴르연구소(IPK) 운영(교육과학기술부) 30
제4장 우리나라의 대중남미 기술협력 현황 31
1. 부처별 과학기술 국제협력 사업 31
2. 한ㆍ중남미 기술협력 현황 33
3. 대중남미 국제개발협력과 기술협력 38
제5장 중남미 국가의 기술지도 42
1. 중남미 주요 국가의 과학기술 현황(자료: RiCyT) 43
2. SCOPUS 논문 출판 수(2000~10년) 49
3. 특허(2000~10 US patent) 52
4. 현시비교우위지수(RCA) 59
제6장 중남미 국가와의 국제기술 협력 전략 70
1. 고소득 국가와의 기술협력 72
가. 브라질 72
나. 멕시코 74
다. 아르헨티나, 칠레 75
2. 저소득 국가와의 기술협력 76
제7장 결론 79
참고문헌 82
Executive Summary 84
판권기 3
표 2-1. 국제과학기술협력 규정[시행 2009. 6. 26] 14
표 2-2. 기술협력의 분류 17
표 2-3. 인력초청 교육프로그램 19
표 3-1. 일본정부 출자 프로젝트일 경우 지적소유권 관계 23
표 3-2. 제7차 프레임워크 중점과제 및 예산 25
표 3-3. 유레카 프로젝트의 구성 27
표 3-4. 독일의 국제기술협력 주요 지원기관 27
표 3-5. 연방교육연구부 국제협력청의 주요 활동 28
표 3-6. 독일연구재단의 연구활동 지원 사업 29
표 4-1. 부처별 국제협력 사업 현황 32
표 4-2. 한ㆍ중남미 기술협력체결 및 기타 협력 현황 35
표 4-3. 한ㆍ중남미 기술협력 사례: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Gray Experts) 38
표 4-4. 한국의 대외원조 금액과 대중남미 비율(2000~10년) 39
표 4-5. 2010년 목적별 지역별 대외무상원조 실적 39
표 4-6. 중남미 국가에 대해 실시한 KOICA 국별 초청연수사업 41
표 5-1. 중남미 주요 국가의 분야별 학위취득 현황 43
표 5-2. 중남미 주요 국가의 분야별 연구원 비중 46
표 5-3. SCOPUS 등재 논문 출판 수 (1) (2000~10년) 49
표 5-4. SCOPUS 등재 논문 출판 수 (2) (2000~10년) 51
표 5-5. 중남미 주요 국가의 특허출원 현황(2000~10년) 53
표 5-6. 중남미 주요 국가별 특허출원 기업 리스트 55
표 5-7. 현시비교우위지수(2005~10): SITC3-1 digit (1) 60
표 5-8. 현시비교우위지수(2005~10): SITC3-2 digits (1) 63
표 5-9. 현시비교우위지수(2005~10): SITC3-1 digit (2) 65
표 5-10. 현시비교우위지수(2005~10): SITC3-2 digits (2) 67
표 6-1. 중남미 주요 국가의 기술지도 내용 정리 70
표 6-2. 브라질과의 과학기술협력 전략 73
표 6-3. 멕시코와의 과학기술협력 전략 74
표 6-4. 아르헨티나, 칠레와의 과학기술협력 전략 75
표 6-5. 중남미 저소득 국가와의 과학기술협력 전략 76
그림 5-1. 주요 국가의 과학 분야별 R&D 지출 비율 48
그림 5-2. 과학 분야에서의 주요 부문별 논문 발표 비중(표 5-3 재가공) (1) 50
그림 5-3. 과학 분야에서의 주요 부문별 논문 발표 비중(표 5-4 재가공) (2) 52
그림 5-4. 브라질, 페루, 칠레의 분야별 현시비교우위지수(표 5-7 재가공) 61
그림 5-5. 콜롬비아, 베네수엘라의 분야별 현시비교우위지수(표 5-7 재가공) 62
그림 5-6. 멕시코, 한국의 분야별 현시비교우위지수(표 5-7 재가공) 62
그림 5-7. 파라과이, 볼리비아의 분야별 현시비교우위지수(표 5-9 재가공) 66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중남미의 기술지도와 한·중남미 기술협력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