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아웃 하시겠습니까?

  • 주제별 국가전략
  • 전체

미 바이든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신남방정책의 연계협력 추진방향

목차

[표지]

판권기

일러두기

서문 / 최원기

목차

1. 신남방정책과 인도태평양 전략의 연계협력 추진방향 / 최원기 12

Ⅰ. 서론 14

Ⅱ. 인태협력 합의 주요내용 17

1. 한미 간 '인도태평양' 비전에 대한 인식 공유 17

2. 한미동맹의 지역적 범위, 역할, 이슈를 지역 및 글로벌 차원 으로 확대 18

3. 인도태평양 연계 협력의 방향성 부여 및 범위 확대 19

4. 핵심 제조업 공급망, 백신, 기후변화 등 글로벌 이슈 협력 강화 20

Ⅲ. 평가 및 전망 22

1.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공감 표시 22

2. 정밀한 조율 및 절제된 표현을 통해 중국 비판 자제 23

3. 미중 간 균형유지 하 미국의 인태전략에 진전된 접근 24

4. 포용적 다자 협력체로서 쿼드에 대한 긍정적 인식 26

5. 미국 주도 안정적 글로벌 공급망 구축 협력 강화 28

6. 기후변화 대응 강화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30

Ⅳ. 향후 정책추진 방향 31

2.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정책과 인도태평양 전략 / 김재천 38

Ⅰ. 서언 40

Ⅱ. 인도태평양 전략의 기원 42

1. 인도양의 전략적 가치 42

2. 지정학적 '지역개념'으로의 인도태평양 43

Ⅲ.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 45

1. 미국 외교전략으로서 인도태평양 전략의 진화 45

2.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 채택 46

3.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 평가 48

Ⅳ. 트럼프 대중정책 평가와 바이든 외교 및 대중정책 56

1. 트럼프 대중정책 56

2. 바이든 외교와 대중국 정책 향배 60

Ⅴ. 바이든의 인도태평양 전략 70

1. 전략의 성격과 내용 70

2. 바이든 인도태평양 전략 성패의 관건 80

Ⅵ. 결어 88

참고문헌 90

3. 바이든 행정부의 아태 지역협력 정책 / 최영종 94

Ⅰ. 문제 제기 96

Ⅱ. 미국에게 아태지역이 갖는 전략적 의미 98

1. 인도태평양 시대와 아태지역 98

2. 미-중 경쟁과 '제도적 균형' 102

3. 인태전략과 아태지역협력의 연관성 107

Ⅲ. 미국의 아태지역 협력체에 대한 정책 114

1. 미국이 참여하지 않는 거대지역무역협정 114

2. 중국과 함께 참여하고 있는 지역기구 121

3. 아세안 중심의 지역협력체 128

Ⅳ. 미-중 패권경쟁과 아태지역 내 제도 간 균형 133

1. 인프라 건설 분야의 제도 간 경쟁 135

2. 개발금융 분야의 제도 간 경쟁 137

3. 안보분야의 제도 간 경쟁 139

Ⅴ. 결론 143

4. 바이든 행정부의 쿼드 플러스 협력전략과 우리의 대응 / 박재적 146

Ⅰ. 서론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쿼드 확장 148

Ⅱ. 미국이 추진중이거나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쿼드 플러스와 우리의 고려사항 155

1. 장관급 또는 국장급 쿼드 회동의 참여국을 확장하는 쿼드 플러스 155

2. 쿼드 국가들이 연합하여 실시하는 군사훈련의 참여국 확장 을 위한 쿼드 플러스 157

3. 인프라 투자 조율·협력을 위한 쿼드 플러스 160

4. 동남아 지역 해양능력배양 기여 등 해양안보를 위한 쿼드 플러스 164

5. 첨단 기술 및 사이버 안보 분야 쿼드 플러스 169

6. 보건 및 백신 공급을 위한 쿼드 플러스 173

7. 기후변화 대응과 친환경 에너지 개발을 위한 쿼드 플러스 175

8. 가치, 규범 선언을 위한 쿼드 플러스 177

9. 공급망 다각화를 위한 쿼드 플러스 179

Ⅲ. 결론 : 쿼드 참여 문제 관련 우리의 대응방안 181

참고문헌 186

5. 인도태평양 전략과 신남방정책 안보분야 연계협력 방안 / 조남훈 188

Ⅰ. 미국과 남방국가의 안보협력 190

1. 남방국가 안보에 대한 미국의 인식 변화 190

2. 남방국가에 대한 미국의 안보협력 현황 191

3. 인도·태평양전략 관점에서 바라본 미국의 안보협력 196

Ⅱ. 신남방국가에 대한 한국의 안보협력 활동 203

1. 신남방국가에 대한 안보협력의 종류 및 내용 203

2. 신남방정책에 기반한 한국의 안보협력 방향 215

Ⅲ. 한국과 미국의 안보협력 활동 연계 노력 222

1. 양국 연계 노력의 배경 222

2. 양국 연계 노력의 내용 223

3. 양국 연계 발전 방향 227

참고 문헌 230

6. 바이든 행정부 하 한미 간 해양안보 협력 방안 / 임경한 232

Ⅰ. 서론 234

Ⅱ.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해양안보 236

1.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중점 236

2. 해양안보 협력 : 쿼드(QUAD) & 오커스(AUKUS) 240

Ⅲ. 미국의 해양전략 특성 242

1. 유럽에서 태평양으로 242

2. 다영역작전에서 전영역작전으로 244

3. 유인(有人)에서 무인(無人)으로 246

Ⅳ. 미 해군의 해양안보 도전과제 250

1. 중국 해군의 공세적인 확장성 250

2. 미 해군의 실질적 대응 제한 253

Ⅴ. 한미 간 해양안보 협력 방안 258

1. 한미동맹 강화의 주도적 역할 259

2. 한미 간 해양영역인식 일체화 262

3. 한미 해군 간 연합훈련 강화 263

4. 인도태평양 전략 협력 강화 265

5. 인도태평양 전략과 신남방정책 연계 추진 268

Ⅵ. 소결론 272

참고문헌 274

7. 바이든 행정부의 동남아 정책 : 기대와 도전 / 이재현 280

Ⅰ. 서론 282

Ⅱ. 바이든 행정부의 동남아 관여 정책 287

Ⅲ. 동남아 다자 제도에 대한 관여와 경제적 관여 303

Ⅳ. 동남아의 민주주의, 인권 문제에 대한 정책 311

Ⅴ. 미-중 갈등과 동남아 320

Ⅵ. 결론 327

[뒷표지] 330

제목 페이지

내용물

약어 및 두문자어 5

요약 7

소개: 제조업과 미국의 미래 8

고급 제조를 위한 비전,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9

목표, 목표 및 권장 사항 10

목표 1.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구현 12

목표 1.1.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활성화 12

목표 1.2.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및 반도체용 제조 가속화 13

목표 1.3. 바이오경제를 지원하는 첨단 제조 구현 14

목표 1.4. 혁신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 15

목표 1.5.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이끌다 16

목표 2. 첨단 제조 인력 육성 17

목표 2.1. 첨단 제조 인재 풀 확대 및 다양화 18

목표 2.2. 고급 제조 교육 및 훈련 개발, 확장 및 촉진 19

목표 2.3. 고용주와 교육 기관 간의 연결 강화 20

목표 3. 제조 공급망에 탄력성 구축 20

목표 3.1. 공급망 상호 연결 강화 21

목표 3.2. 제조 공급망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 확대 21

목표 3.3. 첨단 제조 생태계 강화 및 활성화 22

추가 기관 간 기여자 24

부록 A. 에이전시 참여 및 지표 25

부록 B. 2018 전략 계획의 목표 달성 과정 27

부록 C. 자세한 권장 사항 33

해시태그

#바이든정부 # 인도태평양전략 # 신남방정책 # 한미협력 # 한미동맹 # 대중정책 # 트럼프정부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