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SUMMARY 5
제1장 서론 12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3
1.2. 연구목적 및 내용 17
1.3. 연구추진체계 18
제2장 폭염 전망 및 국내외 폭염 정책ㆍ대응 사례조사ㆍ분석 19
2.1. 국내 폭염 발생 전망 연구 사례 조사 및 통계ㆍ분석 20
2.2. 국내외 폭염 관련 정부부처의 정책 및 대응 사례 조사ㆍ분석 27
2.3. 국내 폭염 정책ㆍ대응 문제점 분석, 국내외 비교 및 개선방안 도출 46
제3장 국내외 폭염 연구ㆍ기술ㆍ교육ㆍ홍보 및 관련산업 추진현황 조사ㆍ분석 48
3.1. 국내외 기관별 폭염 연구ㆍ기술개발 현황 조사 49
3.2. 국내외 폭염 관련 산업 현황 사례조사 및 육성방안 도출 62
3.3. 국내외 특정재난 관련 전담기관 현황 조사 73
제4장 통합폭염관리 방안 및 추진전략 연구 76
4.1. 폭염 관련 정부, 지자체, 연구기관 및 대학 간 연구ㆍ기술 등 통합ㆍ공유 방안 마련 77
4.2. 통합폭염관리를 위한 방향성 검토 및 중장기 추진전략 제시 81
제5장 결론 84
5.1. 요약 및 결론 85
참고문헌 87
판권기 92
표 2.1. 국내 폭염특보 발령 단계(2020.05.15. 기준) 20
표 2.2. 국내 폭염 영향예보단계 25
표 2.3. 2021년 폭염대응종합대책 부처별 역할 28
표 2.4. 2020년 폭염 종합대책 32
표 2.5. 2021년 달라지는 주요 개선대책 33
표 2.6. 미국의 폭염특보 발령 단계 36
표 2.7. HHA에 따른 폭염특보 단계 39
표 2.8. 일본 폭염 대책에 따른 관계부처의 역할 45
표 3.1. 폭염관련 한국연구재단 연구 성과 49
표 3.2. 영국 녹색산업혁명을 위한 10대 계획과 주요 내용 59
표 3.3. 일본 혁신적 환경이노베이션전략 60
표 3.4. 녹색건축인증 등급 인센티브 72
그림 1.1. 연도별 온열질환 발생률 13
그림 1.2. 소득에 따른 온열질환자 발생률 14
그림 1.3. 폭염 피해 현황 14
그림 1.4. 현재 폭염 관리체계 요약도 16
그림 1.5. 연구 추진체계 및 비전 18
그림 2.1. 전국 평균 폭염일수(ˊ01년~ˊ20년) 21
그림 2.2. 총 인구 대상폭염 취약성 평가 22
그림 2.3. 65세 이상 노인대상 폭염 취약성 평가 22
그림 2.4. 5세 미만 영유아대상 폭염 취약성 평가 22
그림 2.5. 야외노동자와 그 외 직업군의 온열질환자 발생률(ˊ11-ˊ18년) 23
그림 2.6. 기상청 폭염 영향예보(2019.06.24.) 24
그림 2.7. IPCC 6차 평가보고서에 따른 미래 기후 변화 시나리오 25
그림 2.8. 현재(1995년~2014년)와 미래 기간별 한반도의 일 최고/최저기온 미래 전망(℃) 26
그림 2.9. 현재(1995년~2014년)와 미래 기간별 한반도 온난일(a)과 온난야(b) 전망 27
그림 2.10. 제 3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비전체계도 34
그림 2.11. HI의 4단계 구분 35
그림 2.12. 영국 지역별 임계온도 38
그림 2.13. 영국 폭염 경보 과정 40
그림 2.14. 캐나다 지역별 폭염 특보 기준 42
그림 2.15. 일본 환경성 폭염경보 단계 44
그림 2.16. 유럽형 통합적인 폭염 관리 시스템 47
그림 3.1. 폭염위험지도(좌 : 실제 폭염사망자, 우 : 계산된 폭염위험) 53
그림 3.2. 도시녹화 예시 54
그림 3.3. 도로포장 자제에 따른 온도 저감효과 54
그림 3.4. SCoPEx 고고도 풍선 모식도 56
그림 3.5. 도시 녹화로 인한 도시열섬효과 저감 62
그림 3.6. 2021년 국제쿨산업전 63
그림 3.7. 쿨링용접헬멧(국제쿨산업전 2021) 64
그림 3.8. 환경부 인증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65
그림 3.9. 기후변화교육교사 연구회 66
그림 3.10. 시민대상 기후환경교육 66
그림 3.11. 뉴욕시 LiDAR 지도 데이터 예시 67
그림 3.12. 런던 중심부의 녹색 벽 표면 온도를 보여주는 열화상 68
그림 3.13. 캐나다 Green Globes 프로그램으로 인한 녹색 건축 사업 일자리 70
그림 3.14. 일본의 타지마사 옥상녹화 시공순서 71
그림 3.15. 폭염 관계부처 T/F 구성 74
그림 3.16. 미국 통합폭염건강정보 시스템(NIHHIS) 예시. 6-10일 후 온도가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시각화하여 정보를 제공함 75
그림 4.1. 산림청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 78
그림 4.2. 산불위험등급 산정 알고리즘 개념도 79
그림 4.3. 통합폭염관리 정보공유시스템 80
해시태그
관련자료
AI 100자 요약·번역서비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요약·번역한 내용입니다.
통합폭염관리를 위한 추진전략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