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보고서는 정량적·정성적 연구를 상호결합함으로써, 코로나 시대 중장기 환경변화 양상을 특징짓는 메가트렌드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시나리오별 정책대안을 제안하였다.
그에 따라, 코로나 발발 이후 다양한 미래 가능성을 탐색하고 회복탄력적 혁신체제로의 이행을 뒷받침하는 정책과제를 탐색했다. 이를 통해, 미래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확보하고, 중장기 국가 혁신정책 설계 및 이행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그에 따라, 코로나 발발 이후 다양한 미래 가능성을 탐색하고 회복탄력적 혁신체제로의 이행을 뒷받침하는 정책과제를 탐색했다. 이를 통해, 미래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확보하고, 중장기 국가 혁신정책 설계 및 이행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출처: 국회미래연구원)
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4
Ⅰ. 문제의식 5
Ⅱ. 연구 방법 7
Ⅲ. 코로나 시대 주요 환경변화 시나리오 탐색과 정책과제 제안 8
Ⅳ. 시사점 17
참고문헌 19
판권기 2
[표 1] 코로나 발발 이후 분석시기 별 키워드 커뮤니티 구조 변화('20년 1분기~'21년 2분기) 9
[표 2] 코로나 발발 이후 주요 환경변화 메가트렌드 시나리오 도출 12
[표 3] 코로나 시대 회복 탄력적 혁신체제로의 이행을 위한 전략과제 제안 16
[그림 1] 본 연구의 주요 구성과 목적 7
[그림 2] 코로나 시대 환경변화 시나리오 발굴 및 정책과제 도출 흐름도 8
[그림 3] 코로나 시대 환경변화 메가트렌드 시나리오 유니버스 14
[그림 4]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메가트렌드 시나리오별 가능성 및 파급력 산포도 15
[그림 5] 회복탄력적 혁신체제로 전환 위한 핵심 구성요소 제안 17
[그림 6] 회복탄력적 혁신체제로 전환 위한 핵심 구성요소별 세부 전략과제(안) 제안 18
[부표 1] 혁신체제의 리질리언스(resilience) 역량 확보에 대한 이해 6